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유형이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Types of Multicultural Parents on the School Life and Career Decisiv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5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점점 더 비중이 커지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진로결정성에 학부모의 문화적응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주관하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4차년도(2014) 자료를 활용하여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중 주변화 수준은 중학생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중 동화 수준이높아질수록 자녀의 교우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분리 및 주변화 수준은 각각 높아질수록 부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중 동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진로결정성에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반면, 분리 및 주변화 수준은 각각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중학생 학부모들의 학교문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차원의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학부모들의 학교참여 기회 확대를 통해 전 구성원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할 필요성이있음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점점 더 비중이 커지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진로결정성에 학부모의 문화적응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점점 더 비중이 커지고 있는 다문화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진로결정성에 학부모의 문화적응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주관하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4차년도(2014) 자료를 활용하여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중 주변화 수준은 중학생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중 동화 수준이높아질수록 자녀의 교우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분리 및 주변화 수준은 각각 높아질수록 부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학부모의 문화적응 중 동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진로결정성에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반면, 분리 및 주변화 수준은 각각 높아질수록 진로결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중학생 학부모들의 학교문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차원의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학부모들의 학교참여 기회 확대를 통해 전 구성원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할 필요성이있음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103-138, 2008

      2 김기영,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9 (9): 371-393, 2017

      3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8) : 57-95, 2008

      4 김세리 ; 이수현 ; 구예진 ; 이강이, "학부모 학교참여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139-154, 2016

      5 박찬옥 ; 이은경,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6 정예화 ; 정제영,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7 김은영 ; 권순범 ; 진미정,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다층모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21-540, 2018

      8 정세진 ; 윤혜미 ; 정다영 ; 박설희,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연구-개인, 가족, 다문화배경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23-50, 2018

      9 노하나,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0 김소영 ; 홍세희,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 프로파일이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한국조사연구학회 20 (20): 1-32, 2019

      1 김영란,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역사학회 11 (11): 103-138, 2008

      2 김기영,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국회입법조사처 9 (9): 371-393, 2017

      3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8) : 57-95, 2008

      4 김세리 ; 이수현 ; 구예진 ; 이강이, "학부모 학교참여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139-154, 2016

      5 박찬옥 ; 이은경, "출신 국가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교육관 및 부모역할 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2) : 65-94, 2012

      6 정예화 ; 정제영,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5 (35): 1-20, 2017

      7 김은영 ; 권순범 ; 진미정, "중학교 학부모의 학교참여 영향 요인에 대한다층모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21-540, 2018

      8 정세진 ; 윤혜미 ; 정다영 ; 박설희,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연구-개인, 가족, 다문화배경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4) : 23-50, 2018

      9 노하나,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문화적응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0 김소영 ; 홍세희, "외국인 학부모의 문화적응유형 프로파일이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한국조사연구학회 20 (20): 1-32, 2019

      11 JINGYA DING ; 진미정, "외국인 어머니의 문화적응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습활동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 내 교육참여, 공적 교육 지원, 사교육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24 (24): 65-84, 2019

      12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척도 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1 (81): 103-146, 2011

      13 김오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33-76, 2006

      14 서울경제, "어느새 16만명 넘은 다문화 청소년…정부도 첫 지원 방안 마련"

      15 임양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31): 41-55, 2019

      16 정진경 ; 양계민,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 23 (23): 101-136, 2004

      17 신혜진,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69-193, 2018

      18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2012

      19 성윤희 ; 장은영,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성의 관계: 진로장벽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43-64, 2020

      20 김지연 ; 이윤희, "다문화청소년 진로발달 연구 동향과 과제: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9-2019.6)"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05-1230, 2019

      21 양계민,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Ⅳ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22 김지영 ; 이윤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부모의 역할: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43 (43): 77-104, 2020

      23 이병철 ; 송다영,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31-154, 2011

      24 곽지영,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문화수용태도 변화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65 : 165-188, 2020

      25 김이선, "다문화가족 내 성 불평등 실태와 정책방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26 남부현,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2 : 19-58, 2011

      27 박용한 ; 이신동,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초-중 전환기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발달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5 (35): 1-19, 2017

      28 박봉환,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한국다문화복지학회 4 (4): 21-39, 2022

      29 이종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와의 관계만족도가 우울, 자아존중감,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5 (25): 877-897, 2019

      30 박정윤 ; 채지은 ; 조몽적,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중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14 (14): 101-121, 2020

      31 천호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2 (2): 416-444, 2012

      32 장덕희 ; 신효선,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환경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23-147, 2010

      33 이현주 ; 손승남,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삶과 자녀교육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2 (12): 209-236, 2014

      34 김선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95-115, 2010

      35 김원영 ; 정나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적 탐색" 교육연구소 41 (41): 257-289, 2020

      36 임은의 ; 박미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과 자녀진로지원행동의 관계: 자존감의 조절효과" 다문화평화연구소 15 (15): 136-156, 2021

      37 이지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7 (17): 105-125, 2012

      38 김상용,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자녀의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K교육연구학회 7 (7): 107-132, 2022

      39 이래혁 ; 장혜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66) : 65-95, 2019

      40 김혜미 ; 문혜진,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과 비다문화가정(한국인 부모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7-31, 2013

      41 장미 ; 전종설,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일반가정 아동과의 비교" 한국가족학회 25 (25): 182-213, 2013

      42 김명숙 ; 이미현, "다문화가정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9-34, 2019

      43 이아라 ; 손보영 ; 이주영, "다문화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장벽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5 (25): 35-64, 2018

      44 박선우 ; 정제영,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연구소 28 (28): 223-246, 2022

      45 연합뉴스, "다문화 교사 가장 큰 어려움은 ‘학부모와 의사소통'"

      46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47 정기선 ; 한지은,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회 32 (32): 87-114, 2009

      48 임양미,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이 중학생 자녀의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 진로지원행동과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및 성별비교" 한국생활과학회 30 (30): 79-94, 2021

      49 노연희 ; 이상균 ; 박현선 ; 이채원,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59-183, 2012

      50 김순옥 ; 임현숙 ;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21-235, 2013

      51 임양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청소년기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참여와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8 (28): 615-627, 2019

      52 김미우 ; 김영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 역할 정체감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 (5): 111-142, 2012

      53 세계일보, "“교내 차별 너무 힘들어요”… 학업 중단 30%가 ‘부적응’ [학교 밖 떠도는 다문화 청소년들]"

      54 교육과학기술부, "’11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계획(안)" 2011

      55 Becker, B.,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language, and cultural skills from age 3 to 6 : A comparison between children of Turkish Origin and children of native-born German parents and the role of immigrant parents’ acculturation to the receiving society" 50 (50): 616-649, 2013

      56 Sam, D. L., "The Cambridge handbook of acculturation psychology" 11-26, 2006

      57 Graves, T. D., "Psychological acculturation in a tri-ethnic community" 23 (23): 337-350, 1967

      5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59 Redfield, R., "Memorandum for the study of acculturation" 38 (38): 149-152, 1936

      60 Berry, J. 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46 (46): 5-34, 1997

      61 Levitt, M. J., "Immigration stres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in the first postmigration year : An intergenerational analysis" 2 (2): 159-177, 2005

      62 Barry, D. T., "D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acculturation :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EAAM)" 3 (3): 193-197, 2001

      63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a new society" 30 : 69-69, 1992

      64 Berry, J. W., "Acculturation :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29 (29): 697-712, 2005

      65 교육부, "2022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22

      66 교육부,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21

      67 김이선,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여성가족부 2022

      68 법무부, "2021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21

      69 최윤정,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70 교육부, "2017년 교육부 업무계획" 2017

      71 교육부, "2016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2016

      72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계획"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