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조직은 운동과 같은 역학적 환경에 의해 골흡수와 골형성의 발란스를 변동시켜 그 결과로써 골량, 골의 형태 및 미세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수영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1916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골조직은 운동과 같은 역학적 환경에 의해 골흡수와 골형성의 발란스를 변동시켜 그 결과로써 골량, 골의 형태 및 미세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수영운...
골조직은 운동과 같은 역학적 환경에 의해 골흡수와 골형성의 발란스를 변동시켜 그 결과로써 골량, 골의 형태 및 미세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동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수영운동이나 런닝운동에 비하여 웨이트트레이닝 등의 레지스턴스 운동이 골량 증가에 유효하다고 하는 많은 보고가 있으며 흰쥐의 신경절제, 무중력 등 역학적 부하의 감소환경에서는 골량이 감소하며 성장기 쥐의 장기적 트레드밀운동에 의해 대퇴골 및 경골의 골밀도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이러한 것은 골에 대한 역학적 부하의 증대를 의도한 운동이 골량증가에 보다 유효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운동에 의한 역학적 자극 중 웨이트트레이닝과 같이 일회의 동작에 걸리는 부하가 큰 레지스턴스 운동이 골량증가 및 골량감소를 억제하는데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운동에 의한 역학적 부하 중 골에 주어지는 부하가 강할수록 골강도를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응하여 골은 그 자극의 강도에 의해 골량의 증대 및 형태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나 그 상세한 메카니즘은 아직 확실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지스턴스 운동의 동물모델을 확립하는 것과 함께 골강도 및 형태가 운동강도의 차이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 형태계측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초록은 연구목적으로 대체함. 보고서제목과 대등제목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
저자초록은 연구목적으로 대체함.
보고서제목과 대등제목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