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잠수함 지원업무 요구일정과 부두 가용자원을 고려한 선석할당계획 = Requirements for Berth-Allocation Planning When Taking Pier-Available Resources and Submarine Support Service Request Schedules into Accou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1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 paper looks more closely at the Republic of Korea’s (ROK) Navy submarine berth-allocation strategies, with the study’s results ultimately resulting in the proposition of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Current submarine berth-allocation planning...

      His paper looks more closely at the Republic of Korea’s (ROK) Navy submarine berth-allocation strategies, with the study’s results ultimately resulting in the proposition of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Current submarine berth-allocation planning problems include the need for more minimal berth-shifting and general support service failures, as a lack of efficient submarine berth-allocation often leads to submarines unable to receive the support service they need due to the inadequacy of their assigned berths. Currently, the ROK Navy allocates berths by only taking available reserve resources and the full-capacity limits of support services into account. This paper expands upon this strategy, and proposes a model which would allow for submarine berth allocation planning to also take submarine support service scheduling into account, allowing for more efficient and timely submarine servicing. This proposed model in turn minimizes berth shifting, support service failures, and allows for full coordination with the submarine support service request schedule. The construction of this model was carried out through data gathered on the ROK Navy’s fleets and forces, allowing for a more nuanced analysis of existing issues with submarine berth-allocation plan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한국 해군 잠수함 선석할당방법을 반영하여 기존의 잠수함 선석 할당계획문제를 확장하고 해당문제를 해결하는 정수계획모형을 제안한다. 기존의 잠수함 선석 할당계획 문...

      본 논문은 현재 한국 해군 잠수함 선석할당방법을 반영하여 기존의 잠수함 선석 할당계획문제를 확장하고 해당문제를 해결하는 정수계획모형을 제안한다. 기존의 잠수함 선석 할당계획 문제는 정박 중 선석 이동과 지원업무 실패를 최소화하면서, 잠수함이 필요한 지원업무가 가능한 선석에 잠수함을 할당하는 것이다. 반면, 한국 해군에서는 선석이동과 지원업무실패 최소화뿐만 아니라 부두 가용자원을 고려하여 잠수함이 요구하는 지원업무의 일정을 최대한 보장하면서, 선석을 할당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 해군의 운용상황에 맞게 기존의 잠수함 선석 할당계획 문제를 확장하고, 부두가용자원의 특징과 잠수함 지원업무 일정의 조율을 포함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모형은 선석 이동 횟수, 지원업무 지원 실패 횟수, 잠수함 지원업무 요구 일정 조율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한국 해군의 상황을 바탕으로 고려한 가상의 데이터로 실험을 수행하여 기존의 잠수함 선석 할당계획 문제와 비교·분석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2. 선행연구 3. 최적화 모형 수립 4. 실험결과 및 분석 5. 결 론 References
      • 1. 서 론 2. 선행연구 3. 최적화 모형 수립 4. 실험결과 및 분석 5. 결 론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현식, "함정 가동률 최대화를 위한 선석할당문제"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8 (18): 19-27, 2009

      2 박영만, "크레인 대수의 제약을 고려한 선석계획 문제에 대한 발견적 해법" 한국항해항만학회 35 (35): 63-70, 2011

      3 이원봉,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선석계획과 안벽크레인할당의 동시 결정" 한국SCM학회 10 (10): 51-62, 2010

      4 정환식, "서비스 전후 우선순위를 고려한 해군함정의 선석 할당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8 (28): 83-90, 2004

      5 정환식, "불확실성을 고려한 해군함정 선석 할당 방안"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13 (13): 748-758, 2010

      6 Daganzo, C. F., "“The crane scheduling problem" 23 (23): 159-175, 1989

      7 Brown, G. G., "optimizing submarine berthing with a persistence incentive" 44 (44): 301-318, 1998

      8 Lim, A., "The berth planning problem" 22 (22): 105-110, 1998

      9 Jung. W. S., "The Berth Allocation Method for the Navy Surface Vessels Considering Persistence Incentive" 286-297, 2009

      10 Brown, G. G., "Optimizing ship berthing" 41 (41): 1-15, 1994

      1 원현식, "함정 가동률 최대화를 위한 선석할당문제"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8 (18): 19-27, 2009

      2 박영만, "크레인 대수의 제약을 고려한 선석계획 문제에 대한 발견적 해법" 한국항해항만학회 35 (35): 63-70, 2011

      3 이원봉,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선석계획과 안벽크레인할당의 동시 결정" 한국SCM학회 10 (10): 51-62, 2010

      4 정환식, "서비스 전후 우선순위를 고려한 해군함정의 선석 할당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28 (28): 83-90, 2004

      5 정환식, "불확실성을 고려한 해군함정 선석 할당 방안"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13 (13): 748-758, 2010

      6 Daganzo, C. F., "“The crane scheduling problem" 23 (23): 159-175, 1989

      7 Brown, G. G., "optimizing submarine berthing with a persistence incentive" 44 (44): 301-318, 1998

      8 Lim, A., "The berth planning problem" 22 (22): 105-110, 1998

      9 Jung. W. S., "The Berth Allocation Method for the Navy Surface Vessels Considering Persistence Incentive" 286-297, 2009

      10 Brown, G. G., "Optimizing ship berthing" 41 (41): 1-15, 1994

      11 Hong, D. H., "Optimized Module Design for Berth Planning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Using Tabu Search Algorithm" 11-B (11-B): 63-70, 2004

      12 Thurman, K. P., "Optimal ship berthing plans" Naval Postgraduate 1989

      13 "Ministry of Defense Press Release"

      14 Hwang, J. Y., "Korean Navy Underwater Power Enhancement and Export Strategy" 58-75, 2015

      15 Imai, A., "Efficient Planning of Berth Allocation for Container Terminals in Asia" 31 (31): 75-94, 1997

      16 Lai, K. K., "A Study of Container Berth Allocation" 26 (26): 45-60, 1992

      17 Jeong, D. H., "A Quay Crane Scheduling Method Considering Congestions in the Yard of Container Terminals" 1178-118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68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