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불안 및 은퇴 후 삶의 기대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 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K1, K2, K3, 내셔널 축구선수를 모집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03317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67-577(1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불안 및 은퇴 후 삶의 기대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 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K1, K2, K3, 내셔널 축구선수를 모집단...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불안 및 은퇴 후 삶의 기대 차이를 검증하는데 있 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된 K1, K2, K3, 내셔널 축구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 추출방 법을 사용하여 각 구단별 선수들을 대상으로 총 90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거나 문항의 누락이 발생한 59명을 제외한 84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각 구단에 방문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패키지 프로 그램인 SPSS 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분석방법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프로축구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불안의 모든 변인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축구 선수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의 모든 변인에서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축구 선수들의 은퇴불안 저하 및 은퇴 후 삶에 대한 기대의 향상에 기초자료 또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retirement anxiety and the expectation of life after retir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a professional soccer players. As the population, K1, K2, K3, and national soc...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retirement anxiety and the expectation of life after retir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a professional soccer players. As the population, K1, K2, K3, and national soccer players belonging to the Korea Football Association was selected and a total of 900 players was collected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841 of the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ept for 59 players where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cy in the double response or the omission of the statement. The survey tools were used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researchers and research assistants visited each team to conduct the research. Data processing was based on the analysis methods of t-test and ANOVA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 22.0.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the factors in retirement anxie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soccer players. Second,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professional soccer players, partial differences appeared in variables of expectation for life after retirement. It was believed that the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 material or indicator for future soccer players' declining retirement anxiety and improving expectations about life after retir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명왕성, "현직 K리그 선수들의 은퇴에 관한 인식 및 준비과정"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54-266, 2015
2 이철웅, "학생선수와 은퇴선수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학회 56 (56): 275-286, 2017
3 김지태, "프로축구 2군 선수의 은퇴 후 사회적응과 지원요인" 한국사회체육학회 (56) : 105-121, 2014
4 조상현, "프로농구 선수들의 은퇴와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최금재, "축구 은퇴선수들의 직장팀에로의 재사회화 적응경험"
6 윤지선, "중년기 은퇴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김경오, "은퇴한 여자운동선수들의 사회적 장벽과 대안 모색: 포토보이스"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6 (26): 25-52, 2013
8 전효수, "은퇴준비가 은퇴 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2
9 김소라, "은퇴선수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 55 (55): 67-83, 2016
10 채진석, "운동선수출신의 은퇴요인 탐색과 측정도구의 타당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 (20): 67-82, 2018
1 명왕성, "현직 K리그 선수들의 은퇴에 관한 인식 및 준비과정"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6 (26): 254-266, 2015
2 이철웅, "학생선수와 은퇴선수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학회 56 (56): 275-286, 2017
3 김지태, "프로축구 2군 선수의 은퇴 후 사회적응과 지원요인" 한국사회체육학회 (56) : 105-121, 2014
4 조상현, "프로농구 선수들의 은퇴와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최금재, "축구 은퇴선수들의 직장팀에로의 재사회화 적응경험"
6 윤지선, "중년기 은퇴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김경오, "은퇴한 여자운동선수들의 사회적 장벽과 대안 모색: 포토보이스"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6 (26): 25-52, 2013
8 전효수, "은퇴준비가 은퇴 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2
9 김소라, "은퇴선수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 55 (55): 67-83, 2016
10 채진석, "운동선수출신의 은퇴요인 탐색과 측정도구의 타당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 (20): 67-82, 2018
11 서연희, "운동선수의 은퇴기대, 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수준 및 재사회화 간의 구조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1 (21): 393-406, 2012
12 임지현, "예비퇴직자의 은퇴기대와 노후만족예측의관계에서 퇴직준비와 재무교육의 매개효과" 교육종합연구소 15 (15): 285-307, 2017
13 황명구, "엘리트 축구선수의 은퇴 후 경력개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제조건 탐색" 한국스포츠학회 16 (16): 509-516, 2018
14 조정훈,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은퇴 후 10년, 반성과 조언" 33 (33): 59-68, 2015
15 서성만, "베이비부머 세대 남성 예비은퇴자의 은퇴불안과 관련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16 원영인, "대학운동선수의 은퇴불안 척도개발 및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 56 (56): 351-362, 2017
17 원영인, "대학 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 9 (9): 105-125, 2018
18 박진종, "김영주, 은퇴선수 40% 취업 못했다"
19 장미란, "국가대표 선수의 은퇴기대와 심리적 위기감 및 재사회화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6) : 229-241, 2016
20 장미란, "국가대표 선수의 은퇴기대와 심리적 위기감 및 재사회화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5
21 정휘성, "경륜선수들의 은퇴기대 및 은퇴준비가 재사회화에 미치는 요인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2 Baba, M. M., "Pre-Retirement anxiety among nigerian public servants :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itigating effects for self-reliance and n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Sociology" 7 (7): 21-29, 2015
23 Hornstein, G. A., "Modes of Experiencing and adapting to retirement" 21 (21): 291-315, 1985
24 Vordzorgbe, P. K., "Managing pre-retirement anxiety among teachers in the Yilo-Krobo municipality in the eastern region of Ghana" 8 (8): 89-105, 2018
25 조윤경, "An Investigation of Retirement Expectation among Medical Technologists in Korea" 대한임상검사과학회 49 (49): 171-179, 2017
중고교 및 대학 수영선수들의 높은 영양보충제 섭취와 부작용 실태 및 낮은 안전성지식 수준
배드민턴선수의 절실함, 자아탄력성 및 훈련관여의 구조적 관계
붓스트랩 기법을 적용한 축구 스타 휴먼 브랜드 효과 검증 : 프로모션 광고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0.8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72 | 0.665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