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OECD의 %PSE 추정 시 %PSE를 구성하는 MPS 추정 대상 품목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행 %PSE 추정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직접적인 농업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06367
2017
-
522
학술저널
427-446(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OECD의 %PSE 추정 시 %PSE를 구성하는 MPS 추정 대상 품목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행 %PSE 추정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직접적인 농업생...
본 연구의 목적은 OECD의 %PSE 추정 시 %PSE를 구성하는 MPS 추정 대상 품목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행 %PSE 추정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직접적인 농업생산 보조액 변동없이 품목 확대, 품질 계수도입 같은 기술적인 방법으로 %PSE 지표 개선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OECD의 2016 PSE 메뉴얼의 계산 방법을 적용하고 OECD에서 제시한 계산법을 현실에 부합하도록 세밀하고 정교하게 분류하여 조금 더 다양한 시나리오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MPS 추정 시 추정 대상 품목 확대를 통한 %PSE 개선 방안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현행 MPS 추정이 과대 추정의 문제가 있음을 보였고 따라서 추정 대상 품목 확대가 현실 여건을 더 잘 반영하고 지표를 완화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MPS 추정 대상 품목 확대 시 가장 엄격한 시나리오에서는 약 0.34%의 지표 개악,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약 9%의 지표 개선, 농업 시장 여건을 가장 적절히 반영한 시나리오에서 약 4%의 지표 개선이 확인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농업소득 변동성을 고려한 농외소득활동 참여 및 농외소득 결정요인 분석
급변하는 소매 유통환경 속에서 친환경 식품 유통의 과제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 실현을 위한 농촌정책 위상과 방향
미투상품의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라면시장과 음료시장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