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낙관성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90157
2009
Korean
305.000
학술저널
49-67(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낙관성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낙관성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잘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 지각하며,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의 수가 많았고 심리적 안녕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셋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가 있는 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즉 지각된 부모의 지지, 지각된 친구의 지지, 친구의 수는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부모 및 친구의 지지를 높이 지각하고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관계를 더 넓게 형성하고 있기에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대학생들의 안녕감을 높이고 심리적인 문제의 예방적인 측면에서 특히 낙관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346 Korean under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346 Korean undergraduates in Seoul and Gyeonggi completed the optimism scal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the number of friend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ndard regression showed that optim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and positive reappraisal i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that is, perceived parent support, perceived friend support, the number of friends partially mediate the e딴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a stepwise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in order to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follow certain procedure: optimism,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perceived friend support, positive refocusing, blaming others, and self blam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to understanding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