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립익산박물관에서 백제 정원 활용방안 시론 = A discussion on the use of the Baekje Garden by the Iksan National Muse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various projects related to the Mireuksa Temple Site, Iksan National Museum, and Mireuksaji Tourist Area are being carried out separately. However, as these sites are complementary, there is a need to link all of them together as one integrated zone. This paper discusses the creation of special zones at Iksan National Museum and the Mireuksaji Tourist Area with the Baekje Royal Palace Garden as the main theme. The purpose of these zones would be to increase organic connections with Mireuksa Temple.
      This paper begins with an evaluation of the elements of the landscapes at the two sites and discusses their limitations, before going on to examine recent research findings and existing historical records on the Baekje Royal Palace Garden in order to determine which aspects of the garden are particularly special.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ill be used to develop a tentative model for organizing the zones.
      To fully showcase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landscapes in the planned zones, work must be done to restore not only the historically accurate landscapes but also various natural landscape features, such as waterways. Furthermore, the most critical areas at the two sites are the community spaces, primarily because visitors use them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feature. As the Baekje Royal Palace Garden at the Archaeological Site in Wanggung-ri is considered to be an internationally presentable heritage, it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community areas.
      The remains of the garden at Wanggung-ri will not be simply recreated in the zones of the two sites. Rather, they will be recreated with a modern interpretation in order to give visitors to the sit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Baekje garden more fully.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garden will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mains at Wanggung-ri and the Mireuksa Temple Site in the Baekje Historic Areas, which collectively have been designated by UNESCO as a world heritage site.
      번역하기

      Currently, various projects related to the Mireuksa Temple Site, Iksan National Museum, and Mireuksaji Tourist Area are being carried out separately. However, as these sites are complementary, there is a need to link all of them together as one integr...

      Currently, various projects related to the Mireuksa Temple Site, Iksan National Museum, and Mireuksaji Tourist Area are being carried out separately. However, as these sites are complementary, there is a need to link all of them together as one integrated zone. This paper discusses the creation of special zones at Iksan National Museum and the Mireuksaji Tourist Area with the Baekje Royal Palace Garden as the main theme. The purpose of these zones would be to increase organic connections with Mireuksa Temple.
      This paper begins with an evaluation of the elements of the landscapes at the two sites and discusses their limitations, before going on to examine recent research findings and existing historical records on the Baekje Royal Palace Garden in order to determine which aspects of the garden are particularly special.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ill be used to develop a tentative model for organizing the zones.
      To fully showcase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landscapes in the planned zones, work must be done to restore not only the historically accurate landscapes but also various natural landscape features, such as waterways. Furthermore, the most critical areas at the two sites are the community spaces, primarily because visitors use them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feature. As the Baekje Royal Palace Garden at the Archaeological Site in Wanggung-ri is considered to be an internationally presentable heritage, it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community areas.
      The remains of the garden at Wanggung-ri will not be simply recreated in the zones of the two sites. Rather, they will be recreated with a modern interpretation in order to give visitors to the sit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Baekje garden more fully.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garden will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mains at Wanggung-ri and the Mireuksa Temple Site in the Baekje Historic Areas, which collectively have been designated by UNESCO as a world heritage si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개별적으로 사업이 추진 중인 미륵사지와 국립익산박물관, 미륵사지 관광지는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보완적인 하나의 공간처럼 연계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익산박물관과 미륵사지 관광지를 계획대상지로 설정하여 미륵사지와 유기적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백제 정원을 활용을 통한 공간 구성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 대상지의 경관 요소를 분석하고 그 특성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백제 정원에 대한 역사적 기록과 최근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백제 정원의 특징적 요소를 파악하였다. 앞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공간 구성 방안을 시론적으로 제시 하였다.
      계획 대상지의 경관적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역사적 경관 복원뿐만 아니라 물길 복원 등 자연 경관 복원이 필요하다. 대상지 내의 핵심 공간은 관람객의 이용이 가장 많은 커뮤니티공간이다. 이 공간에 백제적이면서도 국제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는 왕궁리 유적의 백제 정원을 접목시켰다.
      계획 대상지의 핵심 공간을 왕궁리 정원 유적의 단순한 재현이 아닌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조성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백제 정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미륵사지와 왕궁리 유적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번역하기

      개별적으로 사업이 추진 중인 미륵사지와 국립익산박물관, 미륵사지 관광지는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보완적인 하나의 공간처럼 연계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

      개별적으로 사업이 추진 중인 미륵사지와 국립익산박물관, 미륵사지 관광지는 상보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보완적인 하나의 공간처럼 연계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익산박물관과 미륵사지 관광지를 계획대상지로 설정하여 미륵사지와 유기적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백제 정원을 활용을 통한 공간 구성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 대상지의 경관 요소를 분석하고 그 특성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백제 정원에 대한 역사적 기록과 최근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백제 정원의 특징적 요소를 파악하였다. 앞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공간 구성 방안을 시론적으로 제시 하였다.
      계획 대상지의 경관적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역사적 경관 복원뿐만 아니라 물길 복원 등 자연 경관 복원이 필요하다. 대상지 내의 핵심 공간은 관람객의 이용이 가장 많은 커뮤니티공간이다. 이 공간에 백제적이면서도 국제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는 왕궁리 유적의 백제 정원을 접목시켰다.
      계획 대상지의 핵심 공간을 왕궁리 정원 유적의 단순한 재현이 아닌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조성함으로써 관람객들에게 백제 정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미륵사지와 왕궁리 유적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栗野隆, "한일문화재논문집 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2 국립전주박물관, "특별전 『益山』"

      3 익산시·마한·백제문화연구소, "익산역사유적지지구"

      4 최문정, "익산 왕궁리유적의 후원에 관한 검토, 고대정원 비교연구"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2

      5 龔國强, "익산 왕궁리유적 발굴20주년 성과와 의의" 주류성 2009

      6 노재현, "익산 왕궁리 백제궁원에서 출토된 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13, 2010

      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서 Ⅹ" 2015

      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서 Ⅶ" 2010

      9 문화재청, "부록 1. 백제역사유적지구 보존관리계획"

      10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 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2010

      1 栗野隆, "한일문화재논문집 Ⅰ"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2 국립전주박물관, "특별전 『益山』"

      3 익산시·마한·백제문화연구소, "익산역사유적지지구"

      4 최문정, "익산 왕궁리유적의 후원에 관한 검토, 고대정원 비교연구"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2

      5 龔國强, "익산 왕궁리유적 발굴20주년 성과와 의의" 주류성 2009

      6 노재현, "익산 왕궁리 백제궁원에서 출토된 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8 (28): 1-13, 2010

      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서 Ⅹ" 2015

      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리 발굴중간보고서 Ⅶ" 2010

      9 문화재청, "부록 1. 백제역사유적지구 보존관리계획"

      10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 정비 기본계획 보고서" 2010

      1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 2015

      12 下部行弘, "고대정원 비교연구"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2

      13 국립문화재연구소,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21" 1990

      14 오승연, "韓國 古代 宮苑池의 展開樣相과 思想的 背景에 관한 硏究"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65-87, 2004

      15 국립전주박물관, "益山 雙陵"

      16 김낙중, "百濟 宮城의 苑池와 後苑" 백제연구소 (53) : 21-49, 2011

      17 小野健吉, "日本庭園-空間の美の歷史" 岩波書店 2009

      18 傳熹年, "中國古代建築史-第二卷"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

      19 백제세계유산센터, "2015년 7월 백제역사유적지구, 전인류의 유산이 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