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창가곡 《반엽》의 선율 구조 분석 = Analysis of the Melody Structure of Male Gagok “Banye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9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반우반계(半羽半界)의 악곡들 중 하나인 《반엽(半葉)》은, 우조계열 악곡에서 계면조계열 악곡으로 넘어갈 때 악조를 부드럽게 연결시켜주며 남창과 여창에 모두 불린다. 《반엽》은 가곡 ...

      반우반계(半羽半界)의 악곡들 중 하나인 《반엽(半葉)》은, 우조계열 악곡에서 계면조계열 악곡으로 넘어갈 때 악조를 부드럽게 연결시켜주며 남창과 여창에 모두 불린다. 《반엽》은 가곡 연창에 있어 악조를 연결시켜주고, 중간에 변조를 이루는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본고는 구성음에 의해 악조를 파악하는 기존의 선법론에서 벗어나, 음악 자체를 들여다보는 분석 방법인 ‘음군론’을 활용하여 남창가곡 《반엽》 선율의 움직임 경향과 흐름을 새롭게 살펴보았다.
      현행 남창가곡 《반엽》의 노래 선율을 대상으로 중심 골격을 이루는 선율선을 살펴본 결과, 우조 부분은 ‘太-㑣’ 음군, 계면조 부분은 ‘黃(潢)-㑣(林)’ 음군으로 악조가 바뀌며 주요 음군 또한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두 악조의 최종 종지음인 ‘㑣(林)’은 가장 안정적인 음으로, 선율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편, 가곡의 우조가 ‘황종평조’라 하는 것과 달리 황종이 주음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태주가 대신하는데, 이는 오용록의 《우조초수대엽》을 중심으로 다룬 음관계론에 대한 글에서도 우조 부분의 주요 음군을 ‘太-㑣’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필자가 살펴본 《반엽》 우조 부분의 주요 음군과도 동일하다. 두 악곡의 주요 음군이 동일하다면, 다른 우조 악곡들도 앞의 두 악곡과 동일한 주요 음군을 형성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데, 이는 앞으로 다양한 악곡들이 음군론을 활용하여 선율적 구조가 더욱 명확하게 파악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nyeop”, one of the pieces of Banubangye, smoothly connects the tones when transitioning from the U-jo series to the Gyemyeonjo series, and is sung by both male gagok and female gagok. “Banyeop” has a unique structure that connects the tones...

      “Banyeop”, one of the pieces of Banubangye, smoothly connects the tones when transitioning from the U-jo series to the Gyemyeonjo series, and is sung by both male gagok and female gagok. “Banyeop” has a unique structure that connects the tones in singing a song and modulates it in the middle. The movement trend and flow of the melody of the male gagok “Banyeop” was newly examined by using ‘tonal group theor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lodic lines forming the central skeleton of the song melody of the current male gagok “Banyeop”, the U-jo part is in the ‘太-㑣’ tonal group and the Gyemyeonjo part is the ‘黃(潢)-㑣(林)’ tonal group. You can see that the main tonal group has also changed. At this time, ‘㑣 (林)’, the final ending sound of the two tonal, is the most stable tonal and occupies a large proportion in the melody. On the other hand, although Gagok's U-jo is ‘Hwangjongpyeongjo’, Hwangjong does not function as the main yin and Taejoo takes over. In the writing of Oh Yong-rok's “U-jo Chosudaeyeop”, the main tonal group in the U-jo part is described as ‘太-㑣’, and this is the same as the main tonal group in the U-jo part of my “Banyeop”. If the main tonal group of the two gagok are the same,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other U-jo pieces also form the same main tonal group as the previous two piece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elodic structure of various pieces of music more clearly in the future by using the tonal group theo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