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젝, 슬라보예, "헤겔 레스토랑: 헤겔과 변증법적 유물론의 그늘" 새물결 2013
2 허진호, "허진호-이용주 대담: [8월의 크리스마스]에 대해 묻고 싶은 것들" 1735호 스페셜무비 에디션
3 김현, "행복한 책읽기: 김현 일기 1986-1989" 문학과지성사 2015
4 유지나, "한국 멜로드라마, 원형과 의미작용 연구: 낡은 것과 새로운 것 사이 틈새, <미워도 다시 한번>과 <아낌없이 주련다>" 13 : 7-27, 1997
5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6 제임슨, 프레드릭,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7 조은선, "전후 한국 멜로드라마 담론을 통해 본영화적 근대성과 근대적 여성상" 문학과영상학회 8 (8): 231-252, 2007
8 김미경, "일상의 구조, 사랑의 구조: <8월의 크리스마스>와 <봄날은 간다>를 보고 나서" 1 : 245-251, 2002
9 그레마스, A. J,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10 모레티, 프랑코, "세상의 이치: 유럽 문화 속의 교양소설" 문학동네 2005
1 지젝, 슬라보예, "헤겔 레스토랑: 헤겔과 변증법적 유물론의 그늘" 새물결 2013
2 허진호, "허진호-이용주 대담: [8월의 크리스마스]에 대해 묻고 싶은 것들" 1735호 스페셜무비 에디션
3 김현, "행복한 책읽기: 김현 일기 1986-1989" 문학과지성사 2015
4 유지나, "한국 멜로드라마, 원형과 의미작용 연구: 낡은 것과 새로운 것 사이 틈새, <미워도 다시 한번>과 <아낌없이 주련다>" 13 : 7-27, 1997
5 들뢰즈, 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6 제임슨, 프레드릭,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7 조은선, "전후 한국 멜로드라마 담론을 통해 본영화적 근대성과 근대적 여성상" 문학과영상학회 8 (8): 231-252, 2007
8 김미경, "일상의 구조, 사랑의 구조: <8월의 크리스마스>와 <봄날은 간다>를 보고 나서" 1 : 245-251, 2002
9 그레마스, A. J,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10 모레티, 프랑코, "세상의 이치: 유럽 문화 속의 교양소설" 문학동네 2005
11 바르트, 롤랑, "밝은 방" 동문선 2006
12 이다운, "멜로드라마의 관습적 장르 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현대문학이론학회 (45) : 327-343, 2011
13 싱어, 벤,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문학동네 2001
14 유지나,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9
15 머서, 존, "멜로드라마"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6 김만수, "김승옥 시나리오 <안개>의 구조와 장면 분석" 한국현대문학회 (40) : 355-382, 2013
17 김승옥, "김승옥 소설 전집 제4권" 문학동네 1995
18 안준용, "기억과 향유를 통한 영화수용에 관한 연구 : <8월의 크리스마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9 Žižek, Slavoj,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Verso 2008
20 Smith, Harry J., "The Melodrama"
21 Wegner, Phillip E., "Greimas avec Lacan; Or from the Symbolic to the Real in Dialectical Criticism" 51 : 211-245, 2009
22 Rorty, Richard, "An Ethics for Today: Finding Common Ground Between Philosophy and Religion" Colombia UP 2010
23 "<8월의 크리스마스>. 허진호 감독. 한석규․심은하 주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