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주 황남대총 출토 칠제품의 재질 및 기법조사 = A Study o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Lacquer Ware from Hwangnamdaechong in Gyeo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6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들은 경주지역 최대 고분인 황남대총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기의 재질과 기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깨어진 칠기편을 이용하여 태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막단면(약2㎜)의 박편을 제작, 현미경하에서 하지의 혼 입재 종류와 도막구조를 분류함으로써 칠기의 유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분에서 출토된 칠이배, 칠완, 칠장방형합자 등 협저제칠기의 하지에는 골분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칠기는 동시대 동아시 아에 있어서 중국의 진~한대 이후 발달된 고급칠기의 계보에 위치된다. 2.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배, 완, 장방형합자 등은 식기류, 화장도구의 일부로서 세트로 부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남분과 북분 출토 칠기에는 품질면에서 차이가 있다. 남분에는 중국칠기의 계보를 잇는 협저제칠기, 포태칠기 등 고급 품이 다수 부장되어 있다. 북분에는 남분에서 출토된 칠기보다 제작방법이 간단한 목심제칠기가 많다. 4. 북분에서 출토된 흑칠지에 동물이나 새 문양이 그려진 용기류는 대부분 목심제칠기로 제작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번역하기

      필자들은 경주지역 최대 고분인 황남대총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기의 재질과 기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깨어진 칠기편을 이용하여 태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막단...

      필자들은 경주지역 최대 고분인 황남대총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기의 재질과 기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깨어진 칠기편을 이용하여 태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막단면(약2㎜)의 박편을 제작, 현미경하에서 하지의 혼 입재 종류와 도막구조를 분류함으로써 칠기의 유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분에서 출토된 칠이배, 칠완, 칠장방형합자 등 협저제칠기의 하지에는 골분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칠기는 동시대 동아시 아에 있어서 중국의 진~한대 이후 발달된 고급칠기의 계보에 위치된다. 2.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배, 완, 장방형합자 등은 식기류, 화장도구의 일부로서 세트로 부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남분과 북분 출토 칠기에는 품질면에서 차이가 있다. 남분에는 중국칠기의 계보를 잇는 협저제칠기, 포태칠기 등 고급 품이 다수 부장되어 있다. 북분에는 남분에서 출토된 칠기보다 제작방법이 간단한 목심제칠기가 많다. 4. 북분에서 출토된 흑칠지에 동물이나 새 문양이 그려진 용기류는 대부분 목심제칠기로 제작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port i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lacquer ware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known as an old tomb in the Gyeongju maximum district. First, the fragment of lacquer ware was classified by the shape of it. Next, the thin section of lacquer film (all sides about 2mm) was made based on the result. Then they were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and classified the kind of the foundation mixture and the applied structure. It is a result as follows. 1 The bone dust was mixed by the foundation of the made of cloth-body lacquer ware such as eared lacquer cup, lacquer bowl, and the lacquer rectangular containers excavated from the south tomb. 2 Eared lacquer cup and lacquer bowl, and rectangular box excavated from south and north tomb had the possibility they were the set of articles partially of tableware and the cosmetic box. 3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burial lacquer ware between in south tomb and north tomb. A lot of highlevel lacquer ware such as eared lacquer cup, lacquer bowl and the rectangular lacquer containers were discovered from the south tomb. 4 Many of containers where animal and bird had been drawn on the black lacquered ground excavated from north tomb were wooden bath.
      번역하기

      This report i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lacquer ware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known as an old tomb in the Gyeongju maximum district. First, the fragment of lacquer ware was classified by the shape of it...

      This report i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he lacquer ware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known as an old tomb in the Gyeongju maximum district. First, the fragment of lacquer ware was classified by the shape of it. Next, the thin section of lacquer film (all sides about 2mm) was made based on the result. Then they were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and classified the kind of the foundation mixture and the applied structure. It is a result as follows. 1 The bone dust was mixed by the foundation of the made of cloth-body lacquer ware such as eared lacquer cup, lacquer bowl, and the lacquer rectangular containers excavated from the south tomb. 2 Eared lacquer cup and lacquer bowl, and rectangular box excavated from south and north tomb had the possibility they were the set of articles partially of tableware and the cosmetic box. 3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burial lacquer ware between in south tomb and north tomb. A lot of highlevel lacquer ware such as eared lacquer cup, lacquer bowl and the rectangular lacquer containers were discovered from the south tomb. 4 Many of containers where animal and bird had been drawn on the black lacquered ground excavated from north tomb were wooden ba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79 서론
      • 179 황남대총 출토 칠기 분류
      • 1. 남분 출토 칠기 기종
      • 2. 북분 출토 칠기 기종
      • 3. 남,·북분 출토 칠기의 문양
      • 179 서론
      • 179 황남대총 출토 칠기 분류
      • 1. 남분 출토 칠기 기종
      • 2. 북분 출토 칠기 기종
      • 3. 남,·북분 출토 칠기의 문양
      • 4. 소지 종류
      • 183 황남대총 출토 칠기의 도막 분석
      • 1. 조사 방법
      • 2. 결과
      • 188 고찰
      • 1. 황남대총 남·북분 출토 칠기군의
      • 고고학적 위치설정
      • 2. 남·북분 출토 칠기의 유래
      • 191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