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석목곽묘는 목곽 외부에 석재를 쌓거나 채운 다음 목개 위에 일정한 두께로 적석하고 점토로 밀봉한 구조이다. 경 주 중심부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거의 모든 지배자가 지속적으로 한 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적석목곽묘는 목곽 외부에 석재를 쌓거나 채운 다음 목개 위에 일정한 두께로 적석하고 점토로 밀봉한 구조이다. 경 주 중심부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거의 모든 지배자가 지속적으로 한 묘...
적석목곽묘는 목곽 외부에 석재를 쌓거나 채운 다음 목개 위에 일정한 두께로 적석하고 점토로 밀봉한 구조이다. 경 주 중심부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 거의 모든 지배자가 지속적으로 한 묘제를 사용하였다는 점, 타 지역에서 확인되는 적석 형태와 전혀 다르다는 점 등에서 경주식 적석목곽묘로 정의하고자 한다. 적석목곽묘는 경주 중심부에서 5C 전반대부터 축조되기 시작한다. 평면형태, 목곽, 이중곽, 석재충전, 석단, 순장 등은 이전시기의 목곽묘에서 계보를 잇고 있다. 이외에 석축과 목주, 적석, 성토분구는 적석목곽묘의 출현과 함께 새롭게 나타 나는 요소이다. 특히 석축과 목주는 황남대총을 비롯한 지상식 초대형분에서만 확인된다. 석축과 목주, 적석은 모두 성토 분구 축조과정 속에서 하나의 공정을 이루고 있다. 석축은 지상에 설치된 목곽의 외벽을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면서 성토 분구의 하중을 분산·수용한다. 목주는 석축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장치로서 횡가목, 버팀목 등과 함께 사용되었다. 적석은 일정 크기의 석재를 갖고 일정한 두께로 목개 상부에 덮었다. 그리고 그 위에 점토로 밀봉한 다음 분구를 성토하 였다. 적석은 경주지역의 입지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경주 중심부의 적석목곽묘는 하천부지가 넓고 평탄한 형 산강 동안을 따라 분포한다. 기반층은 대부분 모래와 냇돌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성토분구는 모래성분을 많이 함유하 고 있다. 목개를 횡가한 다음 바로 성토할 경우 유수에 의한 붕괴 가능성 또한 크다. 고분의 외형을 유지하면서 내부구조 물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석과 점토밀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상부의 봉토가 유실되더라도 하부의 적석은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성토분구는 국가 혹은 단위정치체가 성장단계에 진입하면서 나타나는 하나의 특징이다. 국가 출현단계 이후 성장단계 에 진입하면서 사회구조에 변화가 나타나고 이와 맞물려 새롭게 출현한 지배등급에서 전대의 목곽묘와는 다른 적석목곽 묘를 축조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과정에서 분구를 함께 성토한 것으로 파악되며, 지배등급의 성격에 따라 규모 와 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평면형태, 곽과 석단, 순장자의 수, 유물의 양과 질 등은 지배등급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적석목곽묘는 신라가 성장단계에 접어든 시점에 전대의 묘제로부터 분화·발전된 양상을 보이면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finition of the structure of wooden chamber tomb(piled stone-type) is as follows. It is a tomb with wooden chamber, and stones were piled on top of the wooden chamber, and then a wooden structure was placed on top of the piled stones, and more s...
The definition of the structure of wooden chamber tomb(piled stone-type) is as follows. It is a tomb with wooden chamber, and stones were piled on top of the wooden chamber, and then a wooden structure was placed on top of the piled stones, and more stones were piled on top of the wooden structure, and sealed with clay. Of course this definition can vary according to periods, the buried, etc. Gyeongju-style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have som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compared to general definition of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Outside the wooden chamber, either stone embankments or filled-in stones were layed out, and pilet-in stones are positioned right above the wooden chamber, and almost every class used this type, and finally, it is exclusively found in Gyeongju area. First generations of this Gyeongju-style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appeared in first half of 5th century. These tombs inherited characteristics like ground plan, wooden chamber, double chamber(inner chamber and outer chamber), piled stones,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piled stones, from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However these tombs have explicit new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found in the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such as stone embankments, wooden pillars, piled stones(above ground level), soil tumuluses. stone embankments and wooden pillars are exclusively found on great piled stone type above-ground level wooden chamber tombs such as the Hwangnamdaechong(皇南大塚). Stone embankments, wooden pillars, piled stones(above ground level) are all elements of building process of soil tumuluses. stone embankments support outer wall of above-ground level wooden chambers and disperse the weight of tumuluses. Wooden pillars functioned as auxiliary supports with wooden structures to prevent the collapse of stone embankments. Piled stones are consists of stones of regular size, placed on the wooden structure. And after the piled stones were sealed with clay, tumulus was built with soil. Piled stones ar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reflects the environment of Gyeongju area.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are located on the vast and plain river basin of Hyeongsan river(兄山江). Which makes vast source of sands and pebbles. Therefore, tumulus of these tombs contains large amount of sands and are prone to collapse if soil tumulus was built directly on the wooden structure. Consequently, to maintain external shape of the tumulus and to prevent collapse of inner structure, piled stones and clay-sealing was made. In this way, they can prevent total collapse of the tombs even if the tumulus was washed away. The soil tumulus is a characteristic which emerges when a nation or political entity reaches certain growing stage. It can be said that after birth of a nation, growing stage follows and social structure will change, and a newly emerged ruling class starts building new tombs, instead of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In this process, soil tumulus was built and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tombs differ according to the ruling class. Ground plan, stone embankments, number of the persons buried alive with the dead, quantity and quality of artifacts reflect social status of the ruling class. In conclusion, Gyeongju-style piled stone type wooden chamber tombs emerged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cedent wooden chamber tombs when Shilla reached growing st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李鍾宣, "오르도스後期갏屬文化와韓國의 鐵器文化" (2) : 1989
2 권용대, "영남지방 위석목곽묘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4) : 157-201, 2008
3 박진욱, "신라무덤의편년에대하여" (4) : 1964
4 김용성,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56 (56): 115-141, 2007
5 조영현, "고령 지산동제73·74·75호분발굴조사" (8) : 2008
6 이 재 흥,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회 (43) : 33-57, 2007
7 李熙濬, "경주 皇南大塚의연대" (17) : 1995
8 李熙濬, "경주 月城路가-13號積石木槨墓의연대와 의의, in: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9 金基圭, "鳩岩洞古墳發掘調査報告" 嶺南大學校 1978
10 東國大學校慶州캠퍼스博物館, "隍城洞古墳群"
1 李鍾宣, "오르도스後期갏屬文化와韓國의 鐵器文化" (2) : 1989
2 권용대, "영남지방 위석목곽묘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4) : 157-201, 2008
3 박진욱, "신라무덤의편년에대하여" (4) : 1964
4 김용성,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56 (56): 115-141, 2007
5 조영현, "고령 지산동제73·74·75호분발굴조사" (8) : 2008
6 이 재 흥,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회 (43) : 33-57, 2007
7 李熙濬, "경주 皇南大塚의연대" (17) : 1995
8 李熙濬, "경주 月城路가-13號積石木槨墓의연대와 의의, in: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9 金基圭, "鳩岩洞古墳發掘調査報告" 嶺南大學校 1978
10 東國大學校慶州캠퍼스博物館, "隍城洞古墳群"
11 趙榮濟, "陝川玉田古墳群ⅣM4·M6·M7號墳" 慶尙大學校博物館 1993
12 趙榮濟, "陝川玉田古墳群Ⅳ67-A·B, 73~76號墳" 慶尙大學校博物館 2000
13 趙榮濟, "陝川玉田古墳群ⅢM1·M2號墳" 慶尙大學校博物館 1992
14 趙榮濟, "陝川玉田古墳群ⅡM3號墳" 慶尙大學校博物館 1990
15 慶星大學校博物館, "金海大成洞古墳群Ⅰ" 2000
16 釜山大學校博物館, "蔚州겵東遺蹟調査槪報" 1985
17 蔚山發展硏究院文化財센터, "蔚山茶雲洞바區域遺蹟" 2005
18 蔚山發展硏究院文化財센터, "蔚山茶雲洞마 區域遺蹟" 2003
19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茶雲洞遺蹟Ⅱ" 2006
20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茶雲洞遺蹟Ⅰ" 2004
21 李盛周, "蔚山中山里遺蹟發掘을通하여 본 新羅墓制의起源" 1992
22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中山里遺蹟Ⅱ" 2006
23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中山里遺蹟Ⅰ" 2006
24 釜山大學校博物館, "蔚山下垈遺蹟-古墳Ⅰ" 1997
25 金載元, "義城塔里古墳" 1986
26 김두철, "積石木槨墓의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3) : 57-86, 2009
27 國立慶州博物館, "盈德槐市里16號墳"
28 權龍大, "皇南洞109號墳에 대한 一考察-3·4槨을 中心으로-" (1) : 2002
29 崔秉鉉, "皇南大塚의構造와新羅 積石木槨墳의 變遷·起源, in:皇南大塚의諸照明"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0
30 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皇南大塚南墳發掘調査報告書" 1993
31 慶尙겗道文化財硏究院, "浦項鶴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Ⅱ" 2002
32 慶尙겗道文化財硏究院, "浦項鶴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2002
33 嶺南埋藏文化財硏究院, "浦項玉城里古墳群Ⅱ" 1998
34 嶺南埋藏文化財硏究院, "浦項玉城里古墳群Ⅰ" 1998
35 釜山大學校博物館, "東萊福泉洞古墳群第2次調査槪報" 1989
36 釜山大學校博物館, "東萊福泉洞古墳群Ⅲ" 1996
37 釜山廣域市立博物館福泉分館, "東萊福泉洞古墳群-52·54號-"
38 釜山廣域市立博物館福泉分館, "東萊福泉洞93·95號墳"
39 穴澤和光, "昌寧校洞古墳群-梅原考古資料を中心とした谷井濟一氏發掘資料の檢討" 60 (60): 1974
40 崔秉鉉, "新羅의成長과 新羅 古墳文化의展開" (4) : 1990
41 金基雄, "新羅고분의編年에關하여-積石木槨墳의 內部構造를중심으로, in:李相玉博士回甲紀念論文集" 1969
42 李熙濬, "新羅高塚의특성과의의" (20) : 1997
43 李盛周, "新羅式木槨墓의 展開와意義, in:신라고고학의 제문제" 韓國考古學會 1996
44 姜仁求, "新羅古墳硏究에있어서 몇가지補正, in:先史와 古代" 韓國古代學會 1991
45 崔秉鉉,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8
46 李恩碩, "新羅 皇南大塚에관한 硏究" 東亞大學校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98
47 유네스코東아시아문화연구센터, "慶州皇吾里第16號墳, in:朝鮮古蹟硏究會遺稿Ⅰ" 2000
48 齋藤忠, "慶州皇南里第109號墳·皇南里第14號墳發掘調査報告" (1) : 1937
49 權龍大, "慶州皇南里第109號墳·皇南里第14號墳發掘調査報告" 慶尙考古學硏究會 (1) : 2002
50 李熙濬, "慶州皇南洞第109號墳의 構造再檢討, in: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Ⅰ" 1987
51 國立慶州博物館, "慶州市月城路古墳群" 1990
52 文化財管理局慶州史蹟管理事務所, "慶州地區古墳發掘調査報告書 第一輯" 1975
53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九於里古墳群Ⅰ" 2002
54 國立慶州博物館, "慶州九政洞古墳" 2006
55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林堂遺蹟Ⅱ" 2001
56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新上里遺蹟Ⅳ" 2006
57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新上里遺蹟Ⅲ" 2006
58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新上里遺蹟Ⅱ" 2006
59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新上里遺蹟Ⅰ" 2006
60 慶南發展硏究院歴史文化센터, "密陽新安遺蹟Ⅱ" 2007
61 慶南發展硏究院歴史文化센터, "密陽新安遺蹟Ⅰ" 2006
62 文化財硏究所, "安溪里古墳群" 文化財硏究所 1981
63 文化財硏究所, "天馬冢" 文化財硏究所 1974
64 梅原末治, "大正13年度古蹟調査報告書" 1924
65 姜仁求, "古墳文化" 學硏文化社 2000
66 崔鍾圭, "中期古墳의性格에대한 약간의 考察" (7) : 198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2 | 0.57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