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 A Study on the‘Naksubaji(horizontal gutter)’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6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한 백제, 신라~통일신라의 목탑지 에서는 고구려의 목탑지에서 확인된 물받이시설, 중국 건축물의 산수(散水), 일본 목탑지에서 확인된 이누바시리(犬走り)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는 우수로부터 기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서까래는 기단선 이상으로 내밀어져야 하며 이 때 떨어지는 낙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설을 낙수받이로 명명하였다. 기 발굴조사된 5~7세기의 한국, 중국, 일본 목탑지 검토를 통해 6세기에 조영된 백제 목탑지와 7세기에 조영 된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에서 낙수받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의 경우 6세기에 조영된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으며, 특히 왕흥사지 목탑지의 경우 기단토의 굴광 범위가 당초 백제시대의 기단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실시되어 일본 초기 목탑지에서 확인된 경우와 유사하다. 목탑지 조영에는 고려척이 사용되었고 서까래내밀기를 검토하기 위해 평면을 복원한 결과 기단부 길이: 일층탑신 길이:어칸:퇴간의 비례는 군수리사지와 왕흥사지 목탑지가 4.9:2.7:1:0.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왕흥사지 목 탑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군수리사지 목탑지와 왕흥사지 목탑지의 주망관계는 어칸 2.49m, 퇴칸 2.14m로 동일하 게 나타나 당시 목탑 조영에 있어서 일정한 척도 적용 및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용 정리사지, 제석사지, 미륵사지 등 전사기는 다른 대형 기단부를 가진 목탑지가 출현하면서 더 이상 낙수받이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의 경우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 다. 영묘사지 목탑지의 경우 폭 1.8m 할석렬이, 황룡사지 목탑지는 제2탑구석의 범위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는 하층기 단 지대석의 설치 형상이 능산리사지 목탑지와 유사함을 검토하여 낙수받이임을 확인하였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는 그 조영 자체가 7세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초기에는 비교적 목탑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표현하였지만 사천왕사지 목탑지 조영 시점을 경계로 이러한 낙수받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 consist of the stylobate soil, exteriors, stairways and etc. The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region and the architects. As a result of many archaeological researches, we have the data of horiz...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 consist of the stylobate soil, exteriors, stairways and etc. The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region and the architects. As a result of many archaeological researches, we have the data of horizontal gutters as a part of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Gogureyo, China, Japan. But so far archaeological researches have not revealed such data in Baekje and Silla~Unified Silla period wooden pagodas. In genarally, the eaves must protrude as much as the outer line of the foundation to protect its upper side from rain. The purpose of the aforementioned horizontal gutter was to protect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this article, we call this horizontal gutter the Naksubaji. After researching many archaeological findings of ancient wooden pagodas of China, Korea and Japan from 5th century to 7th century, it is suggested that the Naksubaji was installed to wooden pagodas of Baekje period in 6th century and Silla~Unified Silla periods in 7th century. In wooden pagodas of Baekje period in 6th century, Naksubajis were found in wooden pagodas of Gunsurisaji temple site, Neungsanrisaji temple site, Wangheungsaji temple site. Especially in case of the Wangheungsaji temple site, presumed line to make stylobate of wooden pagoda in Baekje period was confirmed by archaeological research and this case is similar to the early period wooden pagodas in Japan. Goryeocheok(ruler used in the Three Kingdoms) was used to construct wooden pagodas.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plan of wooden pagodas to verify the protrusion of eaves,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foundation:the length of 1st storied building:the length of the center:the length of the corner was 4.9:2.7:1:0.9 between Gunsurisaji temple site pagoda and Wangheungsaji temple site pagoda . Also I found tne same length of tne 1st storied building between Gunsurisaji temple site pagoda and Wangheungsaji temple site pagoda. Therefore the exact scales and planning were adapted to the establishment of wooden pagodas in 6th century in Baekje period. But the Naksubaji was not producted after 6th century in Baekje period. Because the big wooden pagoda had been appeared, they were needed other style of the foundation. In wooden pagodas which were made in Silla~Unified Silla periods in 7th century, I found the Naksubaji in wooden pagodas in Youngmyosajl temple site, Hwangnyongsaji temple site, Sacheonwangsa temple site. The line of stone in Youngmyosajl temple site, the 2nd line expressed the area of pagoda, the relative analysis of the lower foundation between Neungsanrisaji temple site pagoda and Sacheonwangsa temple site pagoda were examined the Naksubaji. In Silla~Unified Silla periods, the establishment of wooden pagodas was started at 7th century. So they had the exactly details of wooden pagoda, but we had no data of the Naksubaji after the time made Sacheonwangsa temple si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07 서론
      • 09 사례검토
      • 1. 고구려
      • 2. 국내 목탑지 외 건물지
      • 3. 중국
      • 07 서론
      • 09 사례검토
      • 1. 고구려
      • 2. 국내 목탑지 외 건물지
      • 3. 중국
      • 4. 일본
      • 18 남한 목탑지 낙수받이
      • 1. 발굴조사 현황
      • 2. 백제 목탑지
      • 3. 신라~통일신라 목탑지
      • 4. 구조와 특성
      • 3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8) : 2008

      2 扶餘文化財硏究所, "龍井里寺址" 1993

      3 남일룡, "황해북도봉산군 토성리고구려 절터에대하여"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4) : 1987

      4 정자영,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105-135, 2007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고대사지 비교연구-목탑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6 박원호, "판축(版築)공법의 해석 오류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7 劉敦楨, "중국고대건축사" 圖書出版世進社 2003

      8 한인호, "정릉사건축의 평면구성에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81 (81): 1981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지발굴조사성과와의의, in:신라호국의염원四天王寺" 2008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지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8) : 2008

      2 扶餘文化財硏究所, "龍井里寺址" 1993

      3 남일룡, "황해북도봉산군 토성리고구려 절터에대하여"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4) : 1987

      4 정자영, "한국 고대 목탑의 기단 및 심초부 축조기법에 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105-135, 2007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고대사지 비교연구-목탑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6 박원호, "판축(版築)공법의 해석 오류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7 劉敦楨, "중국고대건축사" 圖書出版世進社 2003

      8 한인호, "정릉사건축의 평면구성에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81 (81): 1981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지발굴조사성과와의의, in:신라호국의염원四天王寺" 2008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지발굴조사 현장설명회자료"

      1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현장설명회자료" 2007

      12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부여 정림사지발굴조사(제8차) 약보고서"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8

      1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군수리사지제4차 발굴조사약보고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6

      14 조원창, "백제 熊津期 扶餘 龍井里 下層 寺院의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42 : 87-108, 2003

      15 전제헌, "동명왕릉에대한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94

      16 백제문화재연구원, "대전 서남부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내상대동(중동골) 유적 현장설명자료"

      17 佐川正敏, "고대 일본과 백제의 목탑기단 구축기술 및 사리용기·장엄구 안치형식의 비교검토, in:夫餘王興寺址出土舍利器의 意味" 立夫文化財硏究所 2008

      18 한인호, "고구려의탑터와 관련한몇가지 문제" 과학백과사전출판사·사회과학출판사 (2) : 1988

      19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 "고구려문화" 사회과학출판사 1975

      20 奧村淸一郞, "高麗寺跡(京都府)" (174) : 1989

      21 金正基, "高句麗定겓寺址및 土城里寺址發掘報告槪要와考察" 東國大學校博物館 10 : 1991

      22 金聖雨, "高句麗佛寺計劃의變遷-上五里寺址를중심으로-" 4 (4): 1988

      23 이강근, "高句麗 八角形建物址에 대한 연구" 한국고대학회 (23) : 5-35, 2005

      24 奈良立文化財究所, "飛鳥寺掘調査報告 제4판" 真陽社 1972

      25 尹張燮, "韓國의造營尺度" 大韓建築學會 19 (19): 1975

      26 權鍾湳, "韓國古代木塔의 構造및 意匠에 관한 硏究: 皇龍寺木塔의 겖元的考察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1998

      27 尹武炳, "金剛寺-扶餘郡恩山面琴公里百濟寺址發掘報告" 國立博物館 1969

      28 羽曳野市敎育委員, "野中寺一搭跡掘調査報告一" 羽曳野市敎育委員 1986

      29 韓旭, "遺構를 通한 6·7世紀百濟伽걄 建物의겖原的硏究" 弘益大學校博士論文 2008

      30 申昌秀, "興輪寺의 發掘成果 檢討" 신라문화연구소 (20) : 287-308, 2002

      31 石田茂, "第四夫餘に於けろ百濟寺址の調査, in:昭和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古蹟硏究會 1940

      32 小泉顯夫, "第五泥佛出土地元五里廢寺址の調査, in:昭和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古蹟硏究會 1938

      33 小泉顯夫, "第二平壤淸岩里廢寺址の調査槪報, in:昭和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古蹟硏究會

      34 慶州市, "皇龍寺겖元整備基本計劃報告書" 1995

      35 文化財管理局文化財硏究所, "皇龍寺發掘調査報告書" 1984

      36 金東賢, "皇龍寺9層木塔의5개 겖元案에 대한 비교" 중앙일보사 (22) : 1982

      37 조원창, "百濟木塔址編年과 軸基部築造技法에관한 硏究" 韓國建築歷史學會 17 (17): 2008

      38 조원창, "百濟建築技術의對日傳播" 서경 2004

      39 張慶浩, "百濟寺刹建築" 藝耕産業社 1990

      40 泉南市敎育委員, "海寺遺跡掘調査報告書" 1987

      41 西岡常一, "法隆寺 世界最古の木造建築" 草思社 1980

      42 花谷浩, "本師寺の掘調査" 每日新聞社 (235) : 1997

      43 金正守, "望德寺13層木塔의形態推定에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28 (28): 1984

      44 張起仁, "新編韓國建築辭典" 普成閣 1998

      45 石田茂作, "扶餘軍守里廢寺址發掘調査(槪要), in:昭和十一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古跡硏究會 1937

      46 陣明達, "應縣木塔" 文物出版社 2001

      47 米田美代治, "慶州望德寺의硏究, in: 韓國上代建築의硏究" 東夷文化硏究院·東山文化社 1975

      48 文化財硏究所文化財管理局, "彌勤寺遺蹟發掘調査報告書" 1989

      49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彌勤寺址遺蹟發掘調査報告書, in: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學術硏究叢書 第13輯" 1996

      50 奈良文化財硏究所, "山田寺掘調査報告 -本文編-" 奈良文化財硏究所 2002

      51 香芝市敎育委員, "尼寺廢寺Ⅰ-겗廢寺の調査" 明新印刷株式社 2003

      52 奈良国立文化財硏究所飛鳥原宮跡掘調査部, "奧山久米寺の調査(1987-1次)" 1988

      53 尹武炳, "夫餘龍井里百濟建物址發掘調査報告書"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16) : 1985

      54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夫餘王興寺址第9次發掘調査겫報告"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2008

      55 國立夫餘文化財硏究所, "夫餘王興寺址第8次發掘調査略報告" 2007

      56 朱岩石, "城遺跡趙彭城東魏北齊佛寺跡の調査と發掘" 東北學院大學學術硏究會 (40) : 2006

      57 國立扶餘博物館, "圖面·圖版,『 陵寺』本文" 2000

      58 稻垣晋也, "中宮跡寺掘現狀, in:日本곎史(C)四月" 吉川弘文館 1973

      59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 부여 왕흥사지(사적 제427호) 年報"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