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 = Emergency Room access by Population Density and distance of Daegu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3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을 분석하여 메디시티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의 응급의료 접근성 문제점 개선 및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 지리적인 요건을 보기 위해 3km 반경을 기준으로 읍면동 인구수와 이용가능 응급실수, 인구 대비 이용가능 응급실수를 통계청의 S-GIS를 통해 Mapping하여 데이터 시각화했다. 대구광역시 구군별 명확한 응급실 접근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ANOVA와 사후검정인 Scheffe을 시행했다. 반경 3km 이내 대구광역시 구별 이용가능 평균 응급실수를 보면 중구 5.7개, 남구 5.0개, 북구 1.6개, 동구 0.4개, 서구 2.4개, 수성구 0.9개, 달서구 3.5개, 달성군 0.1개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km 반경 이내의 이용가능 응급실수와 인구 천명당 이용 가능한 응급실수는 중앙에 집중되어 있었다. 중앙에서 먼 곳의 시민들에게 응급의료 제공을 위해 중간 허브역할을 하는 지점을 설정하여 도시 응급의료 연계망 구축이 필요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을 분석하여 메디시티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의 응급의료 접근성 문제점 개선 및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인구밀집과 거리에 따른 응급실 접근성을 분석하여 메디시티를 지향하는 대구광역시의 응급의료 접근성 문제점 개선 및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 지리적인 요건을 보기 위해 3km 반경을 기준으로 읍면동 인구수와 이용가능 응급실수, 인구 대비 이용가능 응급실수를 통계청의 S-GIS를 통해 Mapping하여 데이터 시각화했다. 대구광역시 구군별 명확한 응급실 접근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ANOVA와 사후검정인 Scheffe을 시행했다. 반경 3km 이내 대구광역시 구별 이용가능 평균 응급실수를 보면 중구 5.7개, 남구 5.0개, 북구 1.6개, 동구 0.4개, 서구 2.4개, 수성구 0.9개, 달서구 3.5개, 달성군 0.1개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3km 반경 이내의 이용가능 응급실수와 인구 천명당 이용 가능한 응급실수는 중앙에 집중되어 있었다. 중앙에서 먼 곳의 시민들에게 응급의료 제공을 위해 중간 허브역할을 하는 지점을 설정하여 도시 응급의료 연계망 구축이 필요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cessibility of emergency room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ensity and distan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help improve the quality and emergency medical accessibility problem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observe the geographical requirements, the number of population in eup, myeon, dong, available emergency, and available emergency compared to the population were mapped through the S-GIS of Statistics Korea to visualize the data based on the 3km radiu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accessibility to emergency rooms for each district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Scheffe.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emergencies available in Daegu Metropolitan City within a 3-kilometer radius were 5.7 in Jung-gu, 5.0 in Nam-gu, 1.6 in Buk-gu, 0.4 in Dong-gu, 2.4 in Seo-gu, 0.9 in Suseong-gu, 3.5 in Dalseo-gu, and 0.1 in Dalseong-gu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available emergency within a 3km radius and available emergency per 1,000 people we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institute an urban emergency medical network by establishing a point that serves as an intermediate hub to provide emergency medical care to citizens far from the center.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accessibility of emergency room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ensity and distan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help improve the quality and emergency medical accessibility problem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observe the ge...

      This study examined the accessibility of emergency room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density and distan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help improve the quality and emergency medical accessibility problem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observe the geographical requirements, the number of population in eup, myeon, dong, available emergency, and available emergency compared to the population were mapped through the S-GIS of Statistics Korea to visualize the data based on the 3km radiu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accessibility to emergency rooms for each district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Scheffe.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emergencies available in Daegu Metropolitan City within a 3-kilometer radius were 5.7 in Jung-gu, 5.0 in Nam-gu, 1.6 in Buk-gu, 0.4 in Dong-gu, 2.4 in Seo-gu, 0.9 in Suseong-gu, 3.5 in Dalseo-gu, and 0.1 in Dalseong-gu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available emergency within a 3km radius and available emergency per 1,000 people we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institute an urban emergency medical network by establishing a point that serves as an intermediate hub to provide emergency medical care to citizens far from the cen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정, "만성질환자의 예방가능한 입원 및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의료급여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05-428, 2015

      2 한진옥, "만성질환자의 상용치료원 보유 및 형태와 다빈도 응급실 이용"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21 (21): 97-107, 2017

      3 Statistics Korea, "S-GIS"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5 Korean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Law on emergency medical services"

      6 "Establish of earthquake emergency medical response system in Gyeongsangbuk-do, Final Report on the Improvemen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olicy in Gyeongsangbuk-do 2019"

      7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Bulletin"

      8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GEN : Finding for Emergency Room"

      9 Medi City Daegu Council, "Daegu Medical Tourism Promotion Agency"

      10 Korean hospital of the Integrated Medical Promotion Agency, "Daegu Daily, a leading local media outlet"

      1 김수정, "만성질환자의 예방가능한 입원 및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의료급여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05-428, 2015

      2 한진옥, "만성질환자의 상용치료원 보유 및 형태와 다빈도 응급실 이용"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21 (21): 97-107, 2017

      3 Statistics Korea, "S-GIS"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5 Korean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Law on emergency medical services"

      6 "Establish of earthquake emergency medical response system in Gyeongsangbuk-do, Final Report on the Improvemen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Policy in Gyeongsangbuk-do 2019"

      7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Bulletin"

      8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GEN : Finding for Emergency Room"

      9 Medi City Daegu Council, "Daegu Medical Tourism Promotion Agency"

      10 Korean hospital of the Integrated Medical Promotion Agency, "Daegu Daily, a leading local media outlet"

      11 Daegu Metropolitan City, "Annual statistics Bulletin"

      12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nual report of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in Korea in 2017"

      1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nual report of emergency medical statistics in Korea in 2016"

      14 S.S. Park, "An Analysi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Utilization Using Annual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 Focusing on the 2014 Raw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Korea University 2019

      15 Korea Consumer Protection Agency bureau of living economy, "A Survey on the Use of Emergency Rooms in Hospitals" 2001

      16 노현, "119구급대를 통한 소아중환자 병원전 이송: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소아응급의학회 4 (4): 34-37,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