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분할기법을 이용한 택배 영업소 배송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 Delimitation of Local Parcel Delivery Service Areas using Regional Partitioning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8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tuated at the forefront of customer service, last-mile parcel delivery oper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entire parcel delivery network. However, parcel delivery service companies in Korea often outsource local delivery activities to local small businesses while focusing on line-haul transportations between terminals. Unbalanced delivery loads among local delivery centers have caused diminishing profits for certain delivery centers eventually leading to customer service deterioration. This study aims at delimitating service areas providing relatively balanced share of delivery loads to local parcel delivery centers. Based on the spatial pattern of parcel delivery demand in Seoul, Korea, numbers and locations of delivery centers are determined for each terminal districts. Then service areas of local delivery centers are delimitated based on Dong-leve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using regional partitioning method to ensure each service area is contiguous, compact, and balanced in parcel delivery loads.
      번역하기

      Situated at the forefront of customer service, last-mile parcel delivery oper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entire parcel delivery network. However, parcel delivery service companies in Korea often outsource local delivery activities to local smal...

      Situated at the forefront of customer service, last-mile parcel delivery oper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entire parcel delivery network. However, parcel delivery service companies in Korea often outsource local delivery activities to local small businesses while focusing on line-haul transportations between terminals. Unbalanced delivery loads among local delivery centers have caused diminishing profits for certain delivery centers eventually leading to customer service deterioration. This study aims at delimitating service areas providing relatively balanced share of delivery loads to local parcel delivery centers. Based on the spatial pattern of parcel delivery demand in Seoul, Korea, numbers and locations of delivery centers are determined for each terminal districts. Then service areas of local delivery centers are delimitated based on Dong-leve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using regional partitioning method to ensure each service area is contiguous, compact, and balanced in parcel delivery loa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기호, "택배산업의 효율적 공동수배송을 위한 수리적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18 (18): 131-147, 2008

      2 조용훈, "택배산업의 네트워크 최적화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72 : 103-120, 2012

      3 하헌구, "택배산업에서 대리점의 택배회사 선택속성 분석"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4 (14): 2006

      4 고창성, "택배 서비스에서 이익을 최대화하는 화물터미널과 영업소간의 배달 및 수집 문제"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4 (14): 2006

      5 고창성, "영업소 통합을 통한 효율적 택배 네트워크 설계"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5 (15): 96-104, 2007

      6 이선지, "소화물 일관수송업 영업소의 입지분석과 배송권역 설정" 3 (3): 39-56, 2000

      7 김재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적용한 공공서비스의 관할구역 설정에 대한 연구- 서울 강남 지역의 소방서를 사례로 하여 -" 한국공간정보학회 15 (15): 203-218, 2007

      8 이희연, "경제지리학" 법문사 2011

      9 Duque, J. C., "The p-regions problem" 43 : 104-126, 2011

      10 Getis, A.,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24 (24): 189-207, 1992

      1 정기호, "택배산업의 효율적 공동수배송을 위한 수리적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18 (18): 131-147, 2008

      2 조용훈, "택배산업의 네트워크 최적화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72 : 103-120, 2012

      3 하헌구, "택배산업에서 대리점의 택배회사 선택속성 분석"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4 (14): 2006

      4 고창성, "택배 서비스에서 이익을 최대화하는 화물터미널과 영업소간의 배달 및 수집 문제"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4 (14): 2006

      5 고창성, "영업소 통합을 통한 효율적 택배 네트워크 설계"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5 (15): 96-104, 2007

      6 이선지, "소화물 일관수송업 영업소의 입지분석과 배송권역 설정" 3 (3): 39-56, 2000

      7 김재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적용한 공공서비스의 관할구역 설정에 대한 연구- 서울 강남 지역의 소방서를 사례로 하여 -" 한국공간정보학회 15 (15): 203-218, 2007

      8 이희연, "경제지리학" 법문사 2011

      9 Duque, J. C., "The p-regions problem" 43 : 104-126, 2011

      10 Getis, A.,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24 (24): 189-207, 1992

      11 Okabe, A., "Spatial Tessellations: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Voronoi Diagrams" Wiley 2000

      12 Horn, M. E. T., "So lution Techniques for Large Regional Partitioning Problems" 27 (27): 230-248, 1995

      13 Crainic, T. G., "Service network design in freight transportation" 122 : 272-288, 2000

      14 Mu, L., "Polygon characterization with the multiplicatively weighted Voronoi diagram" 56 : 223-239, 2004

      15 Ben-Ayed, O., "Parcel distribution network design problem" 13 (13): 211-232, 2013

      16 Martin, D., "Optimizing census geography : the separation of collection and output geographies" 12 (12): 673-685, 1998

      17 Nozick, L. K., "Inventory, transportation, service quality and the location of di stribution centers" 129 (129): 362-371, 2001

      18 Martin, D., "Geo graphy for the 2001 C ensus in England and Wales" 108 : 7-15, 2002

      19 Dong, P., "Generating and updating multiplicatively weighted Voronoi diagrams for point, line, an d polygon features in GIS" 34 : 411-427,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1 0.84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