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of Science Sec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8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of science section for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analysis, five of the most common textbook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of science section for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analysis, five of the most common textbooks out of 17 science textbooks published by the 2009 Revised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factors such as scientist, scientific knowledge, scientific method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ed subjects. The research proceeded with reformed and complemented 'framework for nature of scienc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hoi Yun-hee el.(2010) and Kim Ji-hye el.(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nature of science was reflected 223.6 times on average in the history sec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cientist' factor was most commonly indicated, with an average of 75.2 times,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factor shown least commonly, with an average of 18.6 times. Factors of the nature of science increased compared to the 7th Science Curriculum but the rate of the nature of science which related to contemporary-epistemological perspective is still in low level.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history section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the earth, with an average of 68 times and less in the category of energy, with an average of only 22.4, due to its concentration in specific chapters. In terms of the nature of science, existing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be added or revised with more content related to the history of scien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of science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roach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요소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 17종 중 가장 많이 사용...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요소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2009 개정 중학교 과학교과서 17종 중 가장 많이 사용 되는 5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윤희 외(2010)와 김지혜 외(2013)가 개발한 과학의 본성 분석틀 을 수정 보완하여 과학자, 과학 지식, 과학적 방법,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의 요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는 평균 223.6개의 과학의 본성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 중 ‘과학자’ 요소가 평균 75.2개로 가장 많았으며,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요소가 평균 18.6 개로 가장 적었다. 7차에 비해 과학의 본성 요소가 증가하였으나 현대 인식론적 입장과 관련된 과 학의 본성 요소 비율은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지구’ 영역의 과학사에서 평균 68개로 가장 많았으며, ‘에너지’ 영역은 평균 22.4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역별로 과학의 본성 빈도 차 이가 나는 것은 특정 단원의 과학사에 과학의 본성 요소가 몰려 있기 때문이다. 과학의 본성 측면에서 현재의 과학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사의 내용을 추가 및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과서 개발 시 과학사에 다양한 과학의 본성 요소를 고르게 반영하고 현대 인식론적 입장과 관련된 과학의 본성 요소 내용을 보강한다면,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이해를 통해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서 론
      • II. 연구 방법
      •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 1.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 분석
      • 2.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의 영역별 분석
      • I.서 론
      • II. 연구 방법
      •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 1.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 분석
      • 2.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의 영역별 분석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혜,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619-644, 2013

      2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73-197,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과학과)"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4 김경순,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ㆍ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89-99, 2008

      5 이봉우,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한국물리학회 60 (60): 488-496, 2010

      6 최윤희, "제 7차 초 · 중등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내용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한국물리학회 60 (60): 273-282, 2010

      7 동효관, "생물 I 교과서와 생물 II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자료의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27-40, 2004

      8 송상용, "교양과학사" 우성문화사 1984

      9 이재은, "과학사적 상황을 이용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양승훈, "과학사와 과학교육-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사적 학습지도" 민음사 1996

      1 김지혜,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619-644, 2013

      2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73-197, 2013

      3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과학과)"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4 김경순,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ㆍ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89-99, 2008

      5 이봉우,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한국물리학회 60 (60): 488-496, 2010

      6 최윤희, "제 7차 초 · 중등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내용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한국물리학회 60 (60): 273-282, 2010

      7 동효관, "생물 I 교과서와 생물 II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자료의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2 (32): 27-40, 2004

      8 송상용, "교양과학사" 우성문화사 1984

      9 이재은, "과학사적 상황을 이용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10 양승훈, "과학사와 과학교육-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사적 학습지도" 민음사 1996

      11 최준환,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221-239, 2009

      12 박남이, "과학사를 이용한 진화 개념의 교수-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28 (28): 85-99, 2000

      13 임소희,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철학적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4 길학균, "과학사를 이용한 멘델 유전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26 (26): 127-177, 1998

      15 동효관, "과학사를 이용한 과학영재 생물교수학습 모듈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0 (30): 363-373, 2002

      16 김현미,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사의 도입 유형 분석틀 개발 및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7 최경희, "과학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16 (16): 303-313, 1996

      18 장주희, "공통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유형 분석 및 과학사적 수업모형과 교재 시안"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9 전경문,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탐구」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825-834, 2004

      20 McComas, W. F, "“The nature of science in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documents”.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s. Rationales and Strategi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8

      21 김선영, "The Use of History of Genetics in Teaching Nature of Science"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266-274, 2008

      22 Lederman, N. G.,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 A review of the research" 29 : 331-359, 1992

      2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1989

      24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113-standards." National Academic Press 1996

      25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NSTA]., "NSTA position statement on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38 : 46-51, 1971

      26 Meichtry, Y. J.,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29 (29): 389-407, 1992

      27 이영희,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Korea and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07-212, 2014

      28 이영희, "A Review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Research Conduct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 of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398-412, 2012

      29 여상인, "7차 교육과정의 화학Ⅱ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820-827, 2005

      30 김지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유형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1 김민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Ⅰ’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의 특징" 한국생물교육학회 40 (40): 315-326,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