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언제나 웃는 얼굴, 상냥하고 밝은” 외국인 개호 인재: 일본의 외국인 돌봄 노동자의 노동 경험과 종족성, 젠더 표상 = “Always Sweet and Bright” Foreign Care Talents in Japan: Migrant Care Workers’ Work, Gender, and Ethni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874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oking at the unskilled young foreign migrant women care workers entering Japan, referred to as ‘care talents’(kaigo jinzai), this ethnographic study illustrates their on-site experiences while taking car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Considering the significant changes in care and migration regimes in Japan since the 2000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igrant workers’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have changed in context of the country’s efforts to accept foreign care workers.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how these foreign migrant women care talents have been represented differently from earlier arrivals in terms of work experiences, e thnicity, g 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w-skilled young women migrant care talents’ foreignness, gender images, and cultural characters have made them reinterpreted positively as “global and transnational human capital suitable for caring work.”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images, the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newly arrived migrant workers are still situated in the existing gendered, cultured, and stratified labor practices of Japanese society in t he a bsence o f an i nteg rated policy f ramework for f oreign care workers on the government level. As a result,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the public discussions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and the significance of care work.
      번역하기

      Looking at the unskilled young foreign migrant women care workers entering Japan, referred to as ‘care talents’(kaigo jinzai), this ethnographic study illustrates their on-site experiences while taking car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Conside...

      Looking at the unskilled young foreign migrant women care workers entering Japan, referred to as ‘care talents’(kaigo jinzai), this ethnographic study illustrates their on-site experiences while taking car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Considering the significant changes in care and migration regimes in Japan since the 2000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igrant workers’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have changed in context of the country’s efforts to accept foreign care workers.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how these foreign migrant women care talents have been represented differently from earlier arrivals in terms of work experiences, e thnicity, g 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w-skilled young women migrant care talents’ foreignness, gender images, and cultural characters have made them reinterpreted positively as “global and transnational human capital suitable for caring work.” However, despite these positive images, the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newly arrived migrant workers are still situated in the existing gendered, cultured, and stratified labor practices of Japanese society in t he a bsence o f an i nteg rated policy f ramework for f oreign care workers on the government level. As a result,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the public discussions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and the significance of care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일본 정부가 적극 수용하고 있는 외국인 개호 노동자에 주목하여, 2000년대 이후 일본 사회의 돌봄레짐과 외국인 이주 노동자 정책을 둘러싼 이주레짐의변화 속에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 범주와 자격이 어떻게 문화적 차이, 젠더, 종족, 노동 표상과 관련하여 변화해왔는지를 민족지적으로 분석한다. 일본에서 이주자 관점의 외국인 돌봄 이주 노동자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젊은 외국인 비숙련 여성 개호 인재에 관한 민족지적 사례를 통하여, 돌봄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개호 인재들의 경험을 생생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부분적으로 일본 사회의젠더, 종족, 노동 관행의 맥락에서 인적자본을 선택적으로 재정의함으로써 외국인 돌봄이주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재현은 돌봄 노동자의 자격과 조건을 구체화하였다. 외국인이주 노동자의 표상이 어떻게 한 국가의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서 이주와 복지 정책을둘러싸고 문화적 수사, 종족, 젠더, 노동 담론과 교차하는지를 이해하고, 실제 돌봄 현장에서 이주 노동자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일본 사회의 변화를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최근 일본 정부가 적극 수용하고 있는 외국인 개호 노동자에 주목하여, 2000년대 이후 일본 사회의 돌봄레짐과 외국인 이주 노동자 정책을 둘러싼 이주레짐의변화 속에서 외국인 ...

      이 연구는 최근 일본 정부가 적극 수용하고 있는 외국인 개호 노동자에 주목하여, 2000년대 이후 일본 사회의 돌봄레짐과 외국인 이주 노동자 정책을 둘러싼 이주레짐의변화 속에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 범주와 자격이 어떻게 문화적 차이, 젠더, 종족, 노동 표상과 관련하여 변화해왔는지를 민족지적으로 분석한다. 일본에서 이주자 관점의 외국인 돌봄 이주 노동자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젊은 외국인 비숙련 여성 개호 인재에 관한 민족지적 사례를 통하여, 돌봄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개호 인재들의 경험을 생생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부분적으로 일본 사회의젠더, 종족, 노동 관행의 맥락에서 인적자본을 선택적으로 재정의함으로써 외국인 돌봄이주 노동자에 대한 문화적 재현은 돌봄 노동자의 자격과 조건을 구체화하였다. 외국인이주 노동자의 표상이 어떻게 한 국가의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서 이주와 복지 정책을둘러싸고 문화적 수사, 종족, 젠더, 노동 담론과 교차하는지를 이해하고, 실제 돌봄 현장에서 이주 노동자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일본 사회의 변화를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무현 ; 김경희, "일본의 복지레짐의 성격 변화: 개호보험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8 (38): 303-325, 2004

      2 박경민, "일본 재흥(再興)의 개국 담론과 글로벌 일본인론: 국제인과 글로벌인재 육성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 토" 아시아연구소 12 (12): 111-150, 2022

      3 채수홍, "여성, 노동자, 여성노동자 : 여성주의 민족지의 젠더와 계급" 65 (65): 1-34, 2003

      4 파레냐스, 라셀 살라자르, "세계화의 하인들: 여성, 이주, 가사노동" 도서출판 여이연 2009

      5 오가와 레이코, "동아시아의 글로벌화하는 돌봄노동: 일본, 한국과 리저널 케어 체인" 44 : 59-77, 2016

      6 이현옥, "동아시아 맥락에서의 돌봄레짐 변화와 이주의 여성화: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0) : 239-269, 2016

      7 김현미, "글로벌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와 이동하는 여성들" 5 : 121-142, 2010

      8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 번역: 젠더, 인종, 계층의 경계를 넘어" 또 하나의 문화 116-146, 2005

      9 "読売TV"

      10 厚生労働省, "経済連携協定に基づく介護福祉士候補者等の異なる活躍を推進するための具体的方策について"

      1 최무현 ; 김경희, "일본의 복지레짐의 성격 변화: 개호보험의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38 (38): 303-325, 2004

      2 박경민, "일본 재흥(再興)의 개국 담론과 글로벌 일본인론: 국제인과 글로벌인재 육성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 토" 아시아연구소 12 (12): 111-150, 2022

      3 채수홍, "여성, 노동자, 여성노동자 : 여성주의 민족지의 젠더와 계급" 65 (65): 1-34, 2003

      4 파레냐스, 라셀 살라자르, "세계화의 하인들: 여성, 이주, 가사노동" 도서출판 여이연 2009

      5 오가와 레이코, "동아시아의 글로벌화하는 돌봄노동: 일본, 한국과 리저널 케어 체인" 44 : 59-77, 2016

      6 이현옥, "동아시아 맥락에서의 돌봄레짐 변화와 이주의 여성화: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10) : 239-269, 2016

      7 김현미, "글로벌 신자유주의 경제 질서와 이동하는 여성들" 5 : 121-142, 2010

      8 김현미, "글로벌 시대의 문화 번역: 젠더, 인종, 계층의 경계를 넘어" 또 하나의 문화 116-146, 2005

      9 "読売TV"

      10 厚生労働省, "経済連携協定に基づく介護福祉士候補者等の異なる活躍を推進するための具体的方策について"

      11 厚生労働省, "第34回介護福祉士国家試験におけるEPA介護福祉士候補者の試験結果"

      12 男女共同参画局, "男女共同参画白書 令和2年版: 介護者数の推移" 2021

      13 出入国在留管理庁, "特定技能在留外国人数”(令和4年12月末現在)"

      14 厚生労働省, "特定技能の在留資格に係る制度の運用に関する基本方針について"

      15 "朝日新聞"

      16 "日本経済新聞"

      17 "日本技能実習生支援センター 홈페이지"

      18 山口裕子, "日本の外国人受け入れ政策の変遷と課題 : 技能実習制度から2018年入管法改正までを中心に" 90 : 87-108, 2020

      19 大和三重, "日本の介護人材不足と外国人介護労働者の受入れをめぐる課題 : 神戸市の外国人介護人材調査の結果から" 12 (12): 57-70, 2020

      20 守屋貴司, "日本における外国人研修制度⋅技能実習制度に関する研究 : 滋賀県を中心として" 48 (48): 155-176, 2010

      21 森廣正, "日本における外国人労働者問題の研究動向 : 文献を中心にして" 528 : 1-25, 2002

      22 鹿毛理恵, "日本における外国人介護人材受け入れの現状と課題 : 経済連携協定によるインドネシア介護福祉士候補者の受け入れの事例を中心にして" 27 : 17-29, 2018

      23 法務省, "新たな外国人技能実習制度について"

      24 厚生労働省, "支援費制度担当課長会議資料(支援費制度の事務大要)"

      25 出入国在留管理庁, "技能実習生の妊娠⋅出産に係る不適正な取扱いに関する実態調査"

      26 出入国在留管理庁, "技能実習生の妊娠⋅出産について"

      27 田村穂, "技能実習制度の変遷: これまでの課題とこれからの課題" 神戸大学経済学部 1-16, 2020

      28 厚生労働省, "外国人雇用状況の届出状況まとめ"

      29 哲佐野, "外国人研修⋅技能実習制度の構造と機能" Center for Intergenerational Studies,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Hitotsubashi University 1-25, 2002

      30 厚生労働省, "外国人技能実習制度について"

      31 内閣府, "外国人労働者の受入れに関する世論調査(平成16年5月調査)" 2004

      32 ライフデザイン研究所, "外国人労働者に関する意識調査"

      33 ディップ総合研究所, "外国人労働者と働いた経験⋅外国人労働者のイメージ"

      34 熊本県, "外国人労働者が働きやすい工夫をしている企業事例集"

      35 厚生労働省, "外国人介護人材受入れの在り方に関する検討会報告書" 2016

      36 MUFG, "外国人介護人材の受入れ実態等に関する調査研究事業 報告書" 2021

      37 厚生労働省, "外国人介護人材の受入れについて"

      38 MUFG, "外国人介護人材の介護福祉士取得に向けた調査研究事業" 2023

      39 津崎克彦, "在留外国人統計に見る外国人労働力の性質と変容" 58 : 125-154, 2014

      40 法務省, "在留外国人に対する基礎調査結果報告書" 2021

      41 KSK Recruitment Channel, "在日フィリピン人介護士"

      42 "国際人材協力機構(JICO) 홈페이지"

      43 内閣府, "労働者の国際移動に関する世論調査(平成22年7月調査)"

      44 "伊賀タウン情報ユー"

      45 内閣府, "企業の外国人雇用に関する分析ー取り組みと課題について"

      46 外国人技能実習機構(OTIT), "令和3年度外国人技能実習機構業務統計"

      47 遠藤清江, "介護現場の国際化と女性労働者の役割" 21 : 243-253, 2019

      48 伊藤鏡, "介護現場における外国人介護労働者の評価と意欲 : インドネシア第一陣介護福祉士候補者受け入れ施設のアンケート調査をもとに" 61 (61): 27-35, 2014

      49 厚生労働省, "介護労働者の確保⋅定着等に関する研究会”(平成20年7月)"

      50 厚生労働省, "介護分野における特定技能の在留資格に係る制度の運用に関する方針"

      51 厚生労働省, "介護人材確保に向けた取り組み"

      52 厚生労働省, "インドネシア、フィリピン及びベトナムからの外国人看護師⋅介護福祉士候補者の受入れについて"

      53 内閣官房, "「生活者としての外国人」に関する総合的対応策"

      54 Hondagneu-Sotelo, Pierrette, "‘I’m Here, but I’m There’ : The Meanings of Latina Transnational Motherhood" 11 (11): 548-571, 1997

      55 Lan, Pei-Chia, "The Critical Study of Work: Labor, Technology, and Global Production" Temple University Press 83-105, 2001

      56 Constable, Nichole, "Sexuality and Discipline among Filipina Domestic Workers in Hong Kong" 24 (24): 539-558, 1997

      57 Chan, Yuk Wah,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Migration Studies" Routledge 416-430, 2019

      58 ILO, "Public Attitudes towards Migrant Workers in Japan, Malaysia, Singapore, and Thailand"

      59 Hochschild, Arlie, "On the Edge: Living with Global Capitalism" Jonathan Cape 130-146, 2000

      60 "NHK NEWS"

      61 Sellek, Yoko, "Migrant labour in Japan" Palgrave 2001

      62 Suzuki, Nobue, "Marrying a Marilyn of the Tropics : Manhood and Nationhood in Filipina-Japanese Marriages" 80 (80): 427-454, 2007

      63 Sellek, Yoko, "Japan’s Minorities: The Illusion of Homogeneity" Routledge 178-210, 1997

      64 Tsuda, Takeyuki(Gaku), "Japanese-Brazilian Ethnic Return Migration and the Making of Japan’s Newest Immigrant Minority" 39 (39): 55-71, 2000

      65 Kashiwazaki, Chikako, "Japanese Immigration Policy: Responding to Conflicting Pressures"

      66 Hollifield, James F., "Japan as an ‘Emerging Migration State’" 17 (17): 371-400, 2017

      67 Yamawaki, Keizo, "Japan and Global Migration: Foreign Workers and the Adv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Routledge 38-51, 2000

      68 "Japan Times"

      69 "HACK 外国人採用"

      70 Sassen, Saskia, "Global Women: Nannies, Maids, and Sex Workers in the New Economy" Holt Paperbacks 254-274, 2003

      71 Lan, Pei-Chia, "Global Woman: Nannies, Maids, and Sex Workers in the New Economy" 169-189, 2003

      72 Piper, Nicola, "Gendering the Politics of Migration" 40 (40): 133-164, 2006

      73 UN ESCAP, "Gender Implications of Migration Laws and Policies"

      74 Lopez, Mario, "From Bride to Care Worker? On Complexes, Japan and the Philippines" 10 (10): 2007

      75 Faier, Lieba, "Filipina Migrants in Rural Japan and Their Professions of Love" 34 (34): 148-162, 2007

      76 UN Women, "Factsheet Domestic Work and Migration in Asia"

      77 厚生労働省, "EPA基づく外国人看護師候補者の看護師国家試験の結果"

      78 Tsuda, Takeyuki(Gaku), "Domesticating the Immigrant Other : Japanese Media Images of Nikkeijin Return Migrants" 42 (42): 289-305, 2003

      79 Hondagneu-Sotelo, Pierrette, "Domestica: Immigrant Workers Cleaning and Caring in the Shadows of Affluence, With a New a Prefa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0, 2007

      80 Shipper, Apichai, W., "Criminals or Victims? The Politics of Illegal Foreigners in Japan" 31 (31): 299-327, 2005

      81 "CNCケアネットワーク協同組合"

      82 Roth, Joshua Hotaka, "Brokered Homeland : Japanese Brazilian Migrants in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83 Lan, Pei-Chia, "Bridging Ethnic Differences for Cultural Intimacy: Production of Migrant Care Workers in Japan" 44 (44): 1029-1043, 2018

      84 Suzuki, Nobue, "Between Two Shores : Transnational Projects and Filipina Wives in/from Japan" 23 (23): 431-444,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