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험의 서사화와 시각화 방법을 적용한 화예작품 창작의 연구 = A Study on t h e Creation o f Floral A rt Works A pplying th e Meth ods of th e Narration and Visualization of the Experi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8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creation of floral art works based on the intuitive insight acquired by methodological process of ruminating the experienced meaningful events of the artists utilizing sensible peception. The researcher used the narration and visu...

      This study is on the creation of floral art works based on the intuitive insight acquired by methodological process of ruminating the experienced meaningful events of the artists utilizing sensible peception. The researcher used the narration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The narration process adopted the writing technique of subjective impression, emotion, stream of consciousness to capture sensations of subconscious state, which were applied in three steps of ‘the exploration of experiences’, ‘the concretion of experiences’, and ‘the creation of meaning out of experiences’. The visualization process adopted collection, selection,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related images, which were applied in three methods of ‘the creation of images’, ‘the utilization of intuition’, and ‘the perception through remembering’. Finally 5 art works of ‘Hammock is Good’, ‘At the Rooftop with Warm Sunshine’, ‘Standing at the Waterside Alone’, ‘Dizziness at Hot Sand Field’, and ‘Having Good Time at a Botanical Garden’were cre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methods mentioned above and complementary research and writing. The meaningfulness of this research lies in presenting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utilizing narration and visualization of experiences in art creation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 가운데 의미 있게 느껴지는 사건의 순간을 감각적 지각을 통해 반추하는 방법적 과정을 통해 추출하고 파악함으로써 직관적 통찰을 행하고 그를 통해 화예 작...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 가운데 의미 있게 느껴지는 사건의 순간을 감각적 지각을 통해 반추하는 방법적 과정을 통해 추출하고 파악함으로써 직관적 통찰을 행하고 그를 통해 화예 작품 창작을 시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경험의 서사화와 시각화를 시도하였는데 경험의 서사화 단계에서는 무의식 상태의 느낌을 포착하는 수단으로서 감각적으로지각되는 느낌과 주관적 인상, 정서, 의식의 흐름을 기술하는 느낌의 글쓰기 방법을 ‘경험의 탐색’, ‘경험의 구체화’, ‘경험의 의미 생성’의 세 단계로 실행, 적용하였고, 경험의 시각화 단계에서는 이미지리서치를 통한이미지의 수집, 선택, 분류 및 해석을 가지고 ‘이미지 형성하기’, ‘직관활용하기’, ‘기억작용으로 지각하기’의 세 방법을 실행,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들 방법의 통합과 추가적인 보완 리서치 및 글쓰기를 통하여‘해먹은 좋다’, ‘햇볕이 따듯했던 옥상’, ‘홀로 물가에 서다’, ‘뜨거운 모래밭과 혼미함’, ‘멋진 식물원에서의 한때’의 5개 작품의 창작이 이루어졌다. 종합하면 경험의 서사화와 시각화 방법을 결합 후 적용하여 작품 창작 과정의 방법적 접근을 시도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법정, "홀로 있는 시간" 샘터사 1998

      2 문금희,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에 따라 나타난 현대 산업디자인의 제 경향" 한국디자인학회 15 (15): 257-266, 2002

      3 신원섭, "치유의 숲 : 신원섭 교수의 숲의 건강학" 지성사 2005

      4 오연주, "일탈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8 (8): 157-166, 2008

      5 Wassily Kandinsky, "예술에 있어 정신적인 것에 관하여" 열화당 2019

      6 심태경, "수면과 정서조절은 스트레스와 걱정이 안녕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가?"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783-806, 2013

      7 정래필, "서사화에서 경험의 구체화 방법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0) : 393-418, 2013

      8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9 D. W. Hamlyn, "경험과 이해의 성장" 교육과학사 1990

      1 법정, "홀로 있는 시간" 샘터사 1998

      2 문금희,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에 따라 나타난 현대 산업디자인의 제 경향" 한국디자인학회 15 (15): 257-266, 2002

      3 신원섭, "치유의 숲 : 신원섭 교수의 숲의 건강학" 지성사 2005

      4 오연주, "일탈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8 (8): 157-166, 2008

      5 Wassily Kandinsky, "예술에 있어 정신적인 것에 관하여" 열화당 2019

      6 심태경, "수면과 정서조절은 스트레스와 걱정이 안녕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가?"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783-806, 2013

      7 정래필, "서사화에서 경험의 구체화 방법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0) : 393-418, 2013

      8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9 D. W. Hamlyn, "경험과 이해의 성장" 교육과학사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