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도시를 지향하고 있으며 국민들도 건강에 관심이 높은 만큼 도시의 양적인 성장 보다는 삶의 질 개선과 관련된 건강도시 조성에 관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03866
2017
Korean
학술저널
476-48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도시를 지향하고 있으며 국민들도 건강에 관심이 높은 만큼 도시의 양적인 성장 보다는 삶의 질 개선과 관련된 건강도시 조성에 관심...
국내는 온실가스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도시를 지향하고 있으며 국민들도 건강에 관심이 높은 만큼 도시의 양적인 성장 보다는 삶의 질 개선과 관련된 건강도시 조성에 관심을 기울일 시간이다. 본 연구는 국민의 건강과 체격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체질량지수(BMI)를 사용해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개인특성 이외에 교통 및 지역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BMI를 4단계(저체중 <20, 정상 20~25, 과체중 25~30, 비만 30<)로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영향변수로는 일반적인 개인특성(성별, 연령대, 직업, 소득, 학력 등)이외 교통특성분석(자동차등록대수, 대중교통 근성 및 이용횟수 등), 지역환경특성(거주지역, 체육시설 수 및 면적 등)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혼인, 성별, 교육, 연령대 변수에서 유의변수가 도출되었으며. 대중교통 접급성 및 이용횟수, 체육시설 수 및 면적도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건강도시 지향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되어 시민들의 건강을 책임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모형 LEAP을 활용한 교통부문 장기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 연구
위험물질 운송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분석 및 관리 체계 구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