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는 웰빙(well-being) 측정지표로 "통근시간"을 선정할 정도로, 통근시간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만큼 통근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03865
2017
Korean
학술저널
470-475(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OECD는 웰빙(well-being) 측정지표로 "통근시간"을 선정할 정도로, 통근시간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만큼 통근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OECD는 웰빙(well-being) 측정지표로 "통근시간"을 선정할 정도로, 통근시간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만큼 통근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서 통근을 시행하는 통근자를 중심으로 통근시간이 사회 및 개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통근시간을 4단계(단거리(30분이내), 중거리(30분~1시간), 장거리(1시간~1.5시간), 초장거리(1.5시간 이상)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독립변수로는 직장의 만족도, 스트레스 정도, 취미활동(문화·봉사·운동)에 대한 의향 및 소요시간, 사회생활/건강상태/지인과의 관계/가정생활의 행복지수 등과의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그결과 문화횟수, 문화총비용, 스트레스지수, 행복지수, 직장만족도, 체육활동비중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사회적 책임성, 보수만족도, 봉사활동 참여비중에는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리더자가 갖춰야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추후 통근시간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추정하여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온실가스 감축모형 LEAP을 활용한 교통부문 장기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 연구
위험물질 운송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분석 및 관리 체계 구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