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와 사할린되솔새(Phylloscopus borealoides)의 분류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87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번식기 지저귐에서 차이가 뚜렷하지만 형태적으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한 솔새과 조류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번식하거나 봄․가을에 이동하는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 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과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는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을 비롯한 고지대 산림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확인되었으며, 사할린되솔새(P. borealoides)는 봄․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확인되었다. 솔새과 내에서 두 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ND2에서 4.12%, COX1에서 4.25%로 측정되었다. 두 종의 계통분석 결과 ND2 유전자의 경우 대략 203만년, COX1 유전자의 경우 244만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DNA 정보를 기준으로 두 종의 형태 분류 시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외형적 색깔로 구별이 불가능하였지만 익식의 차이에 근거하여 81.8-96.2% 수준으로 종 구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의 종 동정 시 형태분류와 분자유전학적인 계통분류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야 종 구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번역하기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번식기 지저귐에서 차이가 뚜렷하지만 형태적으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한 솔새과 조류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번식하거나 봄․가을에 이동하는 되솔새와 사할린...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번식기 지저귐에서 차이가 뚜렷하지만 형태적으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한 솔새과 조류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번식하거나 봄․가을에 이동하는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 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과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되솔새(Phylloscopus tenellipes)는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을 비롯한 고지대 산림에서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확인되었으며, 사할린되솔새(P. borealoides)는 봄․가을에 비교적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확인되었다. 솔새과 내에서 두 종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ND2에서 4.12%, COX1에서 4.25%로 측정되었다. 두 종의 계통분석 결과 ND2 유전자의 경우 대략 203만년, COX1 유전자의 경우 244만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DNA 정보를 기준으로 두 종의 형태 분류 시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는 외형적 색깔로 구별이 불가능하였지만 익식의 차이에 근거하여 81.8-96.2% 수준으로 종 구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 결과 되솔새와 사할린되솔새의 종 동정 시 형태분류와 분자유전학적인 계통분류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야 종 구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namely Pale-legged Leaf Warbler (Phylloscopus tenellipe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 exhibit near-identical morphology; however, their songs are markedly different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se two species of leaf warbl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The Pale-legged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summer visitor that commonly breeds in the highland forests of Jiri, Seora, and Sobaek mountains, while the Sakhalin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relatively common spring and autumn passage migrant. The estimate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Phylloscopus species was 4.12% based on ND2 and 4.25% based on COX1. The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diverged approximately 2.03 (ND2) to 2.44 (COX1) million years ago. Although the plumage color patterns, bare-part colors, and biometrics of Pale-legged and Sakhalin leaf warblers identified as such based on DNA barcodes were near-identical, the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g formula (81.8–96.2%). Integrated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may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two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Phylloscopus species.
      번역하기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namely Pale-legged Leaf Warbler (Phylloscopus tenellipe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 exhibit near-identical morphology; however, their songs are markedly different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 ...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namely Pale-legged Leaf Warbler (Phylloscopus tenellipe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 exhibit near-identical morphology; however, their songs are markedly different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these two species of leaf warbl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barcoding. The Pale-legged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summer visitor that commonly breeds in the highland forests of Jiri, Seora, and Sobaek mountains, while the Sakhalin Leaf Warbler was identified to be a relatively common spring and autumn passage migrant. The estimate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Phylloscopus species was 4.12% based on ND2 and 4.25% based on COX1. The two sibling species of leaf warblers diverged approximately 2.03 (ND2) to 2.44 (COX1) million years ago. Although the plumage color patterns, bare-part colors, and biometrics of Pale-legged and Sakhalin leaf warblers identified as such based on DNA barcodes were near-identical, the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based on the wing formula (81.8–96.2%). Integrated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may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of these two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Phylloscopus spe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umar S, "TimeTree: A Resource for Timelines, Timetrees, and Divergence Times" 34 (34): 1812-1819, 2017

      2 Fuchs, J., "The use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in assessing the taxonomic status of the endangered Uluguru Bush Shrike (Malaconotus alius)" 147 : 717-724, 2005

      3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2: Passerines" Aves Press 2014

      4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3

      5 Vaurie, C, "The birds of the Palearctic fauna. Vol. 1: Passeriformes" H.F. and G. Witherby Ltd 1959

      6 Martens, J, "Phylloscopus borealoides Portenko–Ein verkannter Laubsänger der Ost-Paläarktis" 129 : 343-351, 1988

      7 Veprintsev, B. N., "On species status of the Sakhalin Leaf Warbler Phylloscopus borealoides Portenko" 24 : 34-42, 1990

      8 Moores, N., "Korea’s First Marten’s Warbler Phylloscopus omeiensis: Baekryeong Island, May 8th & 9th 2021"

      9 Moores, N., "Korea’s First Buff-throated Warbler Phylloscopus subaffinis. Notes on Discovery and Identification"

      10 Won, P. O.,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avifauna). vol. 25" Ministry of education 1981

      1 Kumar S, "TimeTree: A Resource for Timelines, Timetrees, and Divergence Times" 34 (34): 1812-1819, 2017

      2 Fuchs, J., "The use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sequence data in assessing the taxonomic status of the endangered Uluguru Bush Shrike (Malaconotus alius)" 147 : 717-724, 2005

      3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2: Passerines" Aves Press 2014

      4 Dickinson, E. C.,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2003

      5 Vaurie, C, "The birds of the Palearctic fauna. Vol. 1: Passeriformes" H.F. and G. Witherby Ltd 1959

      6 Martens, J, "Phylloscopus borealoides Portenko–Ein verkannter Laubsänger der Ost-Paläarktis" 129 : 343-351, 1988

      7 Veprintsev, B. N., "On species status of the Sakhalin Leaf Warbler Phylloscopus borealoides Portenko" 24 : 34-42, 1990

      8 Moores, N., "Korea’s First Marten’s Warbler Phylloscopus omeiensis: Baekryeong Island, May 8th & 9th 2021"

      9 Moores, N., "Korea’s First Buff-throated Warbler Phylloscopus subaffinis. Notes on Discovery and Identification"

      10 Won, P. O.,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avifauna). vol. 25" Ministry of education 1981

      11 Svensson, L., "Identification Guide to European Passerines" Svensson, L. 1992

      12 Park, J. G, "Identification Guide to Bird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Publication 2014

      13 Gill, F., "IOC World Bird List (v. 11.1)"

      14 del Hoyo, J.,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11" Lynx edicions 2006

      15 Hungnon, C., "Distinguishing between Sakhalin Leaf Warbler Phylloscopus borealoides and Pale-legged Leaf Warbler P. tenellipes on call" 33 : 77-80, 2017

      16 Saitoh, T., "DNA barcoding reveals 24 distinct lineages as cryptic bird species candidates in and around the Japanese Archipelago" 15 (15): 177-186, 2015

      17 Park, J. Y.,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Kyung Hee University 2002

      18 Deignan, H. G., "Checklist of the birds of Thailand" Smithsonian Institution 1963

      19 Brazil, M., "Birds of East Asia: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Rus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20 Round, P. D., "Addition of Kamchatka Leaf Warbler Phylloscopus examinandus and Sakhalin Leaf Warbler P. borealoidesto Thailand’s avifauna" 28 : 9-21, 2016

      21 Lee, W. S.,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2020

      22 Korea National Park Institute, "2012-2013 Annual Report on Migratory Bird Researches" KNPS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7 0.2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