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 컨설팅의 어려움 및 지원방안 탐색을 통해 어린이집 지원체계에 대한 올바른 방향설정과 보육교직원의 전문적 역량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포커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75311
2020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71-190(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컨설팅의 어려움 및 지원방안 탐색을 통해 어린이집 지원체계에 대한 올바른 방향설정과 보육교직원의 전문적 역량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포커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컨설팅의 어려움 및 지원방안 탐색을 통해 어린이집 지원체계에 대한 올바른 방향설정과 보육교직원의 전문적 역량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12명, 설문조사 22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컨설팅의 어려움은 첫째, 평가인증 기준을 적용한 특성이 없는 컨설팅이다. 둘째, 보육컨설턴트의 전문성 부족이다. 셋째, 개별 원의 컨설팅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넷째, 개선점에 대해 합의된 해결방안 제시보다는 문제해결에 집중한 지도점검식의 컨설팅에 대한 부담감이다. 이에 따른 컨설팅 지원방안으로는 첫째, 양방향적 컨설팅을 통한 교사 재교육 시스템 마련이다. 둘째, 전문적인 컨설턴트 양성 및 컨설턴트 간 협업체제 구축이다. 셋째, 보육교직원이 주체로 참여하는 원내 자율컨설팅을 지원하는 선순환적 구조의 컨설팅이다. 넷째, 어린이집의 강점에 기반한 컨설팅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ight direction for the support system of daycare centers and to prepare basic data to enhance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childcare staff by exploring difficulties in consulting daycare centers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ight direction for the support system of daycare centers and to prepare basic data to enhance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childcare staff by exploring difficulties in consulting daycare centers and support measures.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rom 12 pers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222 person survey respondents, the difficulty of consulting daycare centers is, first, consulting without characteristics that apply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tandards. Second, lack of expertise in child care consultants. Third, the reality is that it does not meet the consulting needs of individual sources. Fourth, there is a burden on consulting of guidance inspection that focuses on problem solving rather than presenting agreed solutions for improvement points. As a result, the government plans to provide a system for re-education of teachers through two-way consulting. Second, training professional consultants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among consultants. Third, it is a virtuous cycle of consulting that supports self-consultation in the floor, in which childcare staff participate as the main body. Fourth, consulting based on the strengths of daycare cent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동섭,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교육과학사 2009
2 진동섭,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25-50, 2007
3 최선영, "초등과학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23-30, 2008
4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5 김동례, "전국 보육정보센터 평가인증 조력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모색연구" 전국보육정보센터 협의회 2008
6 전호숙, "유치원교사의 극활동 컨설팅 장학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안나,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347-366, 2013
8 백진영, "유아주도 자유놀이 원내 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변화" 213-, 2017
9 홍성희,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395-418, 2015
10 박정빈, "영아반 교사(만 2세)의 수업 컨설팅에 대한 현황 및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473-496, 2012
1 진동섭,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교육과학사 2009
2 진동섭,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25-50, 2007
3 최선영, "초등과학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23-30, 2008
4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5 김동례, "전국 보육정보센터 평가인증 조력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모색연구" 전국보육정보센터 협의회 2008
6 전호숙, "유치원교사의 극활동 컨설팅 장학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안나,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347-366, 2013
8 백진영, "유아주도 자유놀이 원내 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변화" 213-, 2017
9 홍성희,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395-418, 2015
10 박정빈, "영아반 교사(만 2세)의 수업 컨설팅에 대한 현황 및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 473-496, 2012
11 최종미, "어린이집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턴트의 활동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73-96, 2015
12 유정희,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팅 현장지원에 대한 문제점 분석"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3 강성희,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턴트의 컨설팅과정 들여다보기" 한국생애학회 7 (7): 55-77, 2017
14 국지윤, "어린이집 운영관리 컨설팅 모형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19-248, 2017
15 정진희, "어린이집 교사가 요청한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컨설팅 실행과정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45-75, 2019
16 황해익, "쉽게 배우는 SPSS 자료분석" 공동체 2016
17 이화진, "수업 컨설팅 지원 및 활성화 방안" 10 : 33-63, 2007
18 김은영,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개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6 (16): 55-80, 2017
19 남미경,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193-217, 2012
20 이옥경, "부산광역시 보육서비스 질적 향상 방안 연구" 부산광역시여성가족개발원 2012
21 황해익,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87-208, 2012
22 조혜진, "보육컨설턴트가 경험한 어린이집 보육컨설팅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73-97, 2015
23 최윤경,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평가 연계 컨설팅 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6
24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과정컨설팅 매뉴얼"
25 김명순, "보육과정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연구: 컨설팅 기초 연구 및 운영 매뉴얼"
26 교육부, "누리과정 컨설팅 장학운영매뉴얼"
27 최은영, "누리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컨설팅 모형 개발" 육아정책연구소 2012
28 성용구, "교육연구를 위한 양적질적연구의 혼합방법" 30 (30): 163-181, 2014
29 박하식,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학교 컨설팅" 2009
30 Creswell. J. W.,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 Approach" Sage 2009
31 Ezzy, D., "Qualitative analysis : Practice and innovation" Routledge 2002
32 한국보육진흥원, "2020년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33 보건복지부, "2019 보육통계"
34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35 강은진,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을 위한 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62 : 16-23, 2019
36 한국보육진흥원, "2018년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안내"
37 보건복지부, "2016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16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 주의집중문제, 학습활동의 구조적 관계 종단연구: 잠재성장모형
착한강의 에세이 글쓰기 컨설팅 사례 연구 : 한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세 번째 아이 기르기에 관한 자문화 기술지 : 진짜 엄마 되어가기
한국 실과 교육과정 ‘가정생활’분야와 일본 가정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관점으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