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유희적 시체에 대한 이해의 제고와 그 문화적 함의 규명을 통해 유희적 시체가 지닌 가치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잡체시 가운데 하나인 聯句詩는 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01619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0(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유희적 시체에 대한 이해의 제고와 그 문화적 함의 규명을 통해 유희적 시체가 지닌 가치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잡체시 가운데 하나인 聯句詩는 그 ...
본 연구는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유희적 시체에 대한 이해의 제고와 그 문화적 함의 규명을 통해 유희적 시체가 지닌 가치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잡체시 가운데 하나인 聯句詩는 그 유희성과 집체 창작이라는 속성에서 말미암은 문학성 결여라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당시 문인들의 생활상과 문학적 교유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간 진행되지 않았던 宋代 聯句詩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창작 상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동시에 당시 문인들의 문학적 교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宋代 聯句 창작은 당대에 비해 그 소재에 있어 문인들의 아취를 담아내는 등 그 범위가 확대됨과 동시에 유희성이 강화되는 모습 역시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layful poems, pay attention to its cultural implications. In this work, to study the interference poetry in the Chinese ancient form of a poem, i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for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layful poems, pay attention to its cultural implications. In this work, to study the interference poetry in the Chinese ancient form of a poem, i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for the Song Dynasty’s interference poetry. At the same time i was studied for the exchange of Song Dynasty literary writers. interference poetry is a special format that two or more literary is created by alternate type, which is the origin of 漢武帝 and his servants created together in the 柏梁臺, Unlike the usual poems, interference poetry was primarily created in banquet and excursions etc, we can easily quantifiable it’s playful nature. For this reason, interference poetry do not receive academic interest. But It is important data that we can look at the Song Dynasty literati’s literary association. So, in this study is conducted a search for the Song Dynasty’s interference poetry. I was based on this data, discussed about feature of the Song Dynasty literati’s literary associ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何文煥, "歷代詩話" 中華書局 2001
2 王勝明, "論唐代聯句詩的特徵" 37 (37): 2005
3 서경호, "중국의 지식장과 글쓰기" 소명출판 2011
4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0
5 오태석, "중국문학의 인식과 지평" 역락 2001
6 강필임, "중국 초기 문인집회의 문학창작환경과 문학풍격" 한국중문학회 (42) : 25-53, 2011
7 안예선, "송대 문인의 취미생활과 譜錄類 저술" 중국어문연구회 (39) : 309-331, 2008
8 김성언, "놀이문화로서의 한시" 한국한시학회 (22) : 231-253, 2014
9 정진걸, "長篇 詩題를 통해 본唐詩의 매개체적 속성 심화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88 : 23-47, 2016
10 蘇軾, "蘇軾詩集合注" 上海古籍出版社 2001
1 何文煥, "歷代詩話" 中華書局 2001
2 王勝明, "論唐代聯句詩的特徵" 37 (37): 2005
3 서경호, "중국의 지식장과 글쓰기" 소명출판 2011
4 임종욱, "중국역대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0
5 오태석, "중국문학의 인식과 지평" 역락 2001
6 강필임, "중국 초기 문인집회의 문학창작환경과 문학풍격" 한국중문학회 (42) : 25-53, 2011
7 안예선, "송대 문인의 취미생활과 譜錄類 저술" 중국어문연구회 (39) : 309-331, 2008
8 김성언, "놀이문화로서의 한시" 한국한시학회 (22) : 231-253, 2014
9 정진걸, "長篇 詩題를 통해 본唐詩의 매개체적 속성 심화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88 : 23-47, 2016
10 蘇軾, "蘇軾詩集合注" 上海古籍出版社 2001
11 蘇舜欽, "蘇舜欽集編年校註" 巴蜀書社 1990
12 蘇舜欽, "蘇舜欽詩譯註"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1
13 吳曾, "能改齋漫錄" 中華書局 1985
14 趙翼, "甌北詩話" 人民文學出版社 2006
15 嚴羽, "滄浪詩話" 里仁書局 1987
16 王暉, "栢梁臺詩眞僞考辨" (1) : 2006
17 劉勰, "文心雕龍注釋" 里仁書局 1984
18 厲鶚, "宋詩紀事" 鼎文書局 1971
19 何新所, "宋代聯句詩考論" (3) : 2004
20 王水照, "宋代文學通論" 河南大學出版社 2005
21 尹占華, "大曆浙東和湖州文人集團的形成和詩歌創作" (4) : 2000
22 胡辰亨, "唐音癸籤" 上海古籍出版社 1981
23 北京大學古文獻硏究所, "全宋詩" 北京大學出版社 1991
24 許嘉璐, "二十四史全譯⋅後漢書" 漢語大辭典出版社 2004
25 鄢化志, "中國古代雜體詩通論" 北京大學出版社 2001
26 寇養厚, "中國古代的聯句詩" (2) : 1989
27 胡淑芳, "“柏梁聯句”與“柏梁體”詩歌的發展" 2006
19世纪Aesop’s Fables罗伯聃中译本《意拾喻言》译介特色之分析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중국어문논역총간 제5집 -> 중국어문논역총간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4 | 0.22 | 0.49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