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n Exploratory Study on Measuring Users' Value Expectation at Bus Shelters - Focused on Seoul A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6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능성과 상업성이 접목된 도시 조형물로서 주목받고 있는 버스 쉘터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기대 가치 측정 척도를 탐색적으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버스 쉘...

      본 연구는 기능성과 상업성이 접목된 도시 조형물로서 주목받고 있는 버스 쉘터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기대 가치 측정 척도를 탐색적으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버스 쉘터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 가치 는, 2차 자료와 1차 자료 수집,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를 모두 고려하여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버스 쉘터에 대 한 이용자의 기대가치는 인지적 측면, 기능적 측면, 환경적 측면, 심미적 측면, 그리고 윤리법제적 측면으로 구분되었고, 인지적 측면은 편안함, 경험 기대 가치로, 기능적 측면은 정보성, 안전성 기대 가치로, 환경적 측 면은 환경 친화성, 청결성, 밝기 적절성 기대 가치로, 심미적 측면은 예술성, 매력성, 독창성 기대 가치로, 윤 리법제적 측면은 윤리성, 준법성 기대 가치로 세분화 되었다. 버스 쉘터 이용자 기대 가치 구성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잠재적 측정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 났다(χ2=512.2, df=429, p=0.003, NFI=0.919, RFI=0.900, IFI=0.986, TLI=0.982, CFI=0.986, RMSEA=0.025). 또한, 버스 쉘터 이용자 기대 가치 측정 항목에 대한 표준화 적재치(β), 개념신뢰도(CR)와 분산추출지수(AVE)의 경 우도, 개념 신뢰도 0.8 이상, 분산추출지수 0.6 이상으로 나타나, 개념타당성, 수렴타당성, 내적일관성 모두 적 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대 가치 구성 개념들 간의 상관계수, 분산추출지수, 결정계수를 비교한 결과, 구성 개념 간 판별타당성(Discriminant Validity)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도시 조형물인 동시에 교통 시설로서의 버스 쉘터 개념에, 마케 팅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행동 주체의 행위 동기로서 주목받아 온 기대 가치 개념을 학제적으로 접목한 점, 둘째, 도시 조형물로서의 버스 쉘터가 갖고 있는 기능성과 상업성에 주목하고, 나아가 그 활용 효과 측정에 대 한 선행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기대 가치를 변인화 한 개념으로 정량화하여 접근 한 점, 셋째, 버스 쉘터 이용자의 기대 가치 측정 척도를 제시하기 위해, 2차 자료와 1차 자료의 검토 및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를 전략적으로 병행, 척도의 구성 근거를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 점, 넷째, 옥외 미디어로서의 버스 쉘터 이용에 대한 사후 효과 측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바, 이에 대한 대안으로 행동 이전의 ‘동기’로서의 기대 가치 측정을 통한, 버스 쉘터 이용 효과 확인 및 관리의 과학적 접근과 차별화 된 적용을 시도한 점 등이 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ale measuring value expectation in bus shelters that have both functionality and commerciality using exploratory approaches. The users’ value expectation of bus shelters are deduced from the seven ste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ale measuring value expectation in bus shelters that have both functionality and commerciality using exploratory approaches. The users’ value expectation of bus shelters are deduced from the seven steps(Kim, 2013b) that consider the secondary data, the primary research,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seven steps are: first, reviewing the secondary data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value expectation could be related with the major pros and cons of using the bus shelters. Second, execut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main users of bus shelters. Third, executing a pre-test with open-ended questionnaires. Fourth, making structuralized questionnaires by categorizing constructs from the keywords derived from the secondary data, the in- depth interview, and the pre-test. Fifth, executing the main survey. Sixth, conducting scale development by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Seventh, adjusting the results and the process. The value expectation was grouped into cognitive, functional, environmental, aesthetic, and ethical-legislative perspectives. The cognitive perspective was divided into comfort and experience value expectation; the functional perspective was divided into information and safety value expectation;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was divided into eco-friendliness, cleanness, illumination-relevance value expectation; the aesthetic perspective was divided into artistry, attractiveness, and uniqueness value expectation; the ethical-legislative perspective was divided into ethic and law-abiding value expectat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value expectation indicates the latent measurement model is confirmed as reasonable (χ2=512.2, df=429, p=0.003, NFI=0.919, RFI=0.900, IFI=0.986, TLI=0.982, CFI=0.986, RMSEA=0.025).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truct reliability and the variance extracted were over 0.8 and 0.6, respectively. The finding shows that the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β), construct reliability, and variance extracted on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value expectation were also reasonable.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reasonably after compa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variance extracted, and the squared correlation coefficient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this study applies value expectation, a motivator of consumers’ behavior in marketing and communication related fields, into bus shelters, which are city structures, prospective media, and transit system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Second, considering the functionality and commerciality of bus shelters and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easuring the effects from utilizing bus shelters, this study tries to see the value expectation as measurable and causal variables. Third, this study uses secondary and primary research wi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strategically to maintain a logical process to develop the measuring scale on value expectation. Fourth, becaus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 of after-using bus shelters has not been easy, this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approach that measures value expectation as a motivator of consumers’ behavior, and eventually tries to set the basic foundation to manage the effect of utilizing bus shelters by suggesting measurable scales on the value expec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Introduction
      • 2. Background of the Study
      • 2.1. Bus Shelter
      • 초록
      • Abstract
      • 1. Introduction
      • 2. Background of the Study
      • 2.1. Bus Shelter
      • 2.2. Value Expectation
      • 3. Exploratory Approach to Develop Scales
      • 3.1. Overview of Developing Scales
      • 3.2. Process of Each Stage
      • 4. Results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호,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49-160, 2013

      2 김은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버스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 한국감성과학회 13 (13): 371-380, 2010

      3 장훈종, "옥외광고에 있어 체험적 Media에 활용된 크리에이티브 사례에 관한 연구 - 버스 쉘터광고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9 (9): 175-184, 2009

      4 정규상, "옥외광고 매체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0 (10): 101-112, 2004

      5 차민준, "버스정류장에 적용된 버스정보시스템의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부산시 버스정보시스템의 문제점 및 선호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19 (19): 61-70, 2006

      6 유상완,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9-412, 2003

      7 김철호, "디지털 사이니지 이용 동기로서의 기대 가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8) : 79-90, 2013

      8 권영종, "대중교통환승센터 유형별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21-131, 2005

      9 김철호, "광고에의 노출 동기와 크리에이티브 표현 기법이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노출 동기 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467-478, 2012

      10 김철호, "광고에 대한 윤리적 가치관과 기대가치 성향이 광고소구 유형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9 (19): 211-236, 2009

      1 김철호,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1 (11): 149-160, 2013

      2 김은애,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색채 인지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버스정류장 쉘터를 중심으로 -" 한국감성과학회 13 (13): 371-380, 2010

      3 장훈종, "옥외광고에 있어 체험적 Media에 활용된 크리에이티브 사례에 관한 연구 - 버스 쉘터광고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9 (9): 175-184, 2009

      4 정규상, "옥외광고 매체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0 (10): 101-112, 2004

      5 차민준, "버스정류장에 적용된 버스정보시스템의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부산시 버스정보시스템의 문제점 및 선호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19 (19): 61-70, 2006

      6 유상완, "버스정류장 쉘터 형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9-412, 2003

      7 김철호, "디지털 사이니지 이용 동기로서의 기대 가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8) : 79-90, 2013

      8 권영종, "대중교통환승센터 유형별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21-131, 2005

      9 김철호, "광고에의 노출 동기와 크리에이티브 표현 기법이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 및 노출 동기 강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4) : 467-478, 2012

      10 김철호, "광고에 대한 윤리적 가치관과 기대가치 성향이 광고소구 유형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9 (19): 211-236, 2009

      11 이승희, "광고매체와 패션브랜드의 이미지 일치성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버스승차대의 의류, 화장품 쉘터광고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6 (46): 1-8, 2008

      12 형성은,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이용자와 주변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모델구축 - 버스정류장을 중심으로" 한국감성과학회 12 (12): 451-460, 2009

      13 Babin, B. J.,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1994

      14 Varki, Sajeev, "The role of price perceptions in an integrated model of behavioral intentions" 2001

      15 Teas, R. K., "The effects of extrinsic product cues on consumers’ perceptions of quality, sacrifice, and value" 2000

      16 Rao, Akshay R., "The Effect of Price, Brand Name, and Store Name on Buyers’ Perceptions of Product Quality: An Integrative Review" 1989

      17 Wakefield, Kirk L., "Retailing hedonic consumption; a model of sales promotion of leisure service" 1996

      18 Baker, D. A.,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s" 2000

      19 Patterson, Paul G.,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in a business-to-business service context: an empirical examination" 1997

      20 Cronin, Jr. J. Joseph,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1992

      21 Hirschman, E.,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1982

      22 Sit, Jason, "Entertainment-seeking shopping centre patrons : the missing segments" 2003

      23 Petrick, James F.,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Scale for Measuring the Perceived Value of a Service" 2002

      24 Jeong, Jong-Hee, "Design Direction for Multi-functional Bus Station" 2008

      25 Woodruff, R. B.,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advantage" 1997

      26 Carpenter, Jason M., "Consumer shopping value for retail brands" 2005

      27 Zeithaml, Balarie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1988

      28 Sweeney, Jillian C.,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2001

      29 박헌균, "Bus Stop 기능을 포함한 Bus Information Kiosk 디자인 제안"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1) : 71-80, 2012

      30 Kim, Chulho, "Basic Perspectives on Consumers’ Web-Related Communication and Behavior: The Concept of Value Expect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USM 2004

      31 Babin, B. J., "Atmospheric Affect as a Tool for Creating Value and Gaining share of Customer" 2000

      32 Cronin, Jr. J. Joseph, "Assessing the effects of quality,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s in service environments" 2000

      33 Petrick, James F., "An examination of the construct of perceived value for the prediction of golf travelers’ intention to revisit" 2002

      34 Darsono, L. I., "An Examination of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Relationship: Applicability of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Evaluation" 2006

      35 Kim, Jong-ha, "A Study on the current color state and the improvement for the representative streetscape in Daegu city" 2001

      36 Kim, Hyun-su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us Stop Amenity for the Pedestrian Space" 2001

      37 Sherry, John F., Jr., "A Sociocultural Analysis a Midwestern American Flea Market"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0.77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