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참가자 및 상황: 학부생 60명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게시판의 모집 공고를 통해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아르바이트(3개월) 형식으로 모집. 실험 실은 최대한 사무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4843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참가자 및 상황: 학부생 60명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게시판의 모집 공고를 통해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아르바이트(3개월) 형식으로 모집. 실험 실은 최대한 사무실...
1. 연구 참가자 및 상황: 학부생 60명으로 구성할 예정이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게시판의 모집 공고를 통해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아르바이트(3개월) 형식으로 모집. 실험 실은 최대한 사무실과 비슷한 상황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2. 독립변인: 네 가지 종류의 성과급 비율 0%, 10%, 30%, 50% 및 100%이다. 성과급 비율은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많이 사용한 비율로 결정한 것이다. 0% 집단에 속한 참가자들은 성과급을 받지 않지만 나머지 집단에 속한 참가자들은 각 실험 조건에 맞는 개당 성과급을 받게 된다. 이 개당 성과급은 본 연구 이전에 사전 실험(pilot-study) 통해 5시간에 평균적으로 올바르게 수행한 과제 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확인한 후에 각 %에 적합하도록 개당 성과급을 정하고 지급한다.
3. 실험과제 및 수행 측정: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각성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과제 난이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을 경우, 가외변인으로 작용하여 성과급 비율 차이가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과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예상하고 있는 실험 과제는 주문받은 상품들을 창고에서 선별하여 Pallet에 싣는 가상 과제 프로그램(Computerized simulated work task)이다. 과제 개발 후에 50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검증(pilot-test) 단계를 거쳐 난이도를 결정할 예정이다.
그리고 종속변인 중 과업 수행에 대한 측정은 전체 과제 중 오류 없이 올바르게 수행한 과제의 수와 선별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6가지 오류들의 평균 발생비율(평균 오류율)이다.
4. 각성 및 스트레스 측정: 생리적 각성과 정서적 각성을 분리하여 측정하고, 생리적 각성은 Biofeedback 2000x-pert(SCHUHFRIED GmbH, Austria) 장비를 통해 피부전도수준, 피부온도, 맥박용적진폭, 그리고 분당 심박 수를 측정할 예정이다. 그리고 과업을 수행하면서 느낀 지각된 정서적 각성을 측정하기 위해 Warr의 설문 문항을 사용할 예정이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변화된 생리학적 상태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서 간주되는 타액 코티졸을 통해서 측정하고 추가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해서도 측정할 것이다. 스트레스 측정에 있어서 두 가지 방법이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5. 실험설계 및 절차: 각성과 스트레스의 경우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집단 간 설계보다는 집단 내 설계가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피험자 내 설계(within subject design)와 피험자 간 설계(between subject design)가 혼용되어진 연구 설계로 구성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할 것이다. 첫 번째 집단에서는 우선 성과급이 제공되지 않을 상태에서 수행을 측정 (baseline)을 한 후에, 첫 번째 성과급 비율인 10%를 제공한다. 그 다음 처치로는 30%, 50%, 100% 순으로 성과급 조건을 제공한다. 그리고 매 회기 시작 전 그리고 과제 수행 중에 생리적 각성을 측정하고, 시작 전과 후에 코티졸과 지각된 스트레스를 측정할 예정이다.
순서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두 번째 집단에서는 30%, 50%, 100%, 10% 순으로 제공하고, 나머지 집단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과급 조건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통합 설계는 참가자들의 개인차를 통제하여 오차변량을 줄임으로써 통계 검증 효과를 높여주며, 연습이나 처치 효과를 통한 행동변화를 조사하는데 효율적이고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실험 설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성과급 비율에 따른 수행 차이 이외에 기존에 고려하지 못했던 스트레스와 각성 변인들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예정이다. 성과급과 수행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과 스트레스, 각성과 수행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의 융합을 통해 기존의 결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행과, 각성, 스트레스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객관적인 방식으로 검증하여, 연구 결과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인 임금관리 방안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