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업수행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on School Adjus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3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업수행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패널연구의 10...

      본 연구는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학업수행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패널연구의 10차년도 자료 중 578명의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과 학업수행능력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은 학업수행능력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집행기능 곤란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집행기능 곤란과 학업수행능력의 이중 매개효과도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과 학업수행능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은 학교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학교적응 증진을 위하여 무엇보다 학업수행능력의 강화가 우선되어야함을 강조하고 집행기능의 함양 및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의 개선의 중요성을 함축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arenti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on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tenth(2017)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arenti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on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tenth(2017)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analys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cademic accomplishmen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e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academic accomplishment. Third,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academic accomplishment. Additionally, academic accomplishment was found to hav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ed improving academic accomplishment and reducing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could help children’s school adjust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7 10차년도 데이터"

      2 맹세호, "한국 아동의 실행기능 발달과 수학능력의 관련성: 측정과 그래프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7 (27): 95-115, 2014

      3 김원경, "한국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심리, 사회환경, 어머니 양육행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2 (32): 1-19, 2019

      4 김영미, "학령초기 교사-아동관계, 또래애착, 학업수행능력, 미디어중독 간 구조적 관계: 아동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83-303, 2020

      5 조우미,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2 (12): 1-12, 2017

      6 김진미, "학교준비도, 학업수행능력,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25 (25): 507-525, 2019

      7 최태산,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양육태도가 학령기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 유형의 조절효과 -"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95-617, 2015

      8 남궁지영,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1-25, 2015

      9 송현주,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과 학교 적응" 3 (3): 31-39, 2011

      10 이귀옥,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 사용시간 궤적과 학교적응 궤적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 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12 (12): 105-124, 2020

      1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2017 10차년도 데이터"

      2 맹세호, "한국 아동의 실행기능 발달과 수학능력의 관련성: 측정과 그래프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7 (27): 95-115, 2014

      3 김원경, "한국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심리, 사회환경, 어머니 양육행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2 (32): 1-19, 2019

      4 김영미, "학령초기 교사-아동관계, 또래애착, 학업수행능력, 미디어중독 간 구조적 관계: 아동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83-303, 2020

      5 조우미,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2 (12): 1-12, 2017

      6 김진미, "학교준비도, 학업수행능력,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25 (25): 507-525, 2019

      7 최태산,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양육태도가 학령기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 유형의 조절효과 -" 한국청소년학회 22 (22): 595-617, 2015

      8 남궁지영,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변인 탐색" 한국교육학회 53 (53): 1-25, 2015

      9 송현주,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과 학교 적응" 3 (3): 31-39, 2011

      10 이귀옥,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미디어 사용시간 궤적과 학교적응 궤적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 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12 (12): 105-124, 2020

      11 강 상, "초등학교 입학초기 아동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149-158, 2019

      12 지성애, "초등학교 일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7 (27): 1-15, 2006

      13 이주섭, "초등학교 3학년의 읽기쓰기 기초 학력에 대한 분석-2002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1) : 301-326, 2004

      14 김소영,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기초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233-256, 2009

      15 성미영,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을 예측하는 학습습관과 정서행동문제의 역할"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79-102, 2016

      16 김은설,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한국발달지원학회 7 (7): 19-34, 2018

      17 전숙영, "초등학교 1학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문제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13 (13): 41-54, 2018

      18 이예진,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어머니의 취업, 가정환경,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3 (13): 101-121, 2019

      19 김민진,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입학 초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81-210, 2008

      20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21 이동형, "집행기능의 이해: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123-147, 2009

      22 민하영, "지각된 어머니의 반응/제한적 양육행동, 학령기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와 학교 적응 간 구조모형 분석" 한국아동학회 40 (40): 1-12, 2019

      23 정현희, "중학교 진학 후의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하는 요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36-46, 2003

      24 김민희, "주의력, 실행 기능, 정서 조절 능력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아동, 청소년의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537-551, 2015

      25 임선아, "저소득층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기 자녀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구조관계 검증"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229-247, 2013

      26 고은경,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한국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예측" 한국아동학회 41 (41): 75-90, 2020

      27 고은경,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머신러닝에 의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업수행능력의 종단 유형 예측"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11-1230, 2020

      28 박서이, "어머니의 우울과 초등 1학년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학부모학회 7 (7): 107-123, 2020

      29 강수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 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65-194, 2019

      30 민미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2 (22): 91-121, 2018

      31 김형연,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및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41 (41): 105-111, 2020

      32 장문영,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실행기능이 유아의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9 (39): 103-117, 2018

      33 김지수,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가 초등학교적응에 미치는영향"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34 이경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가정과삶의질학회 26 (26): 211-224, 2008

      35 송영주, "아동의 학교 준비도가 학업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집행기능의 매개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 10 (10): 49-65, 2019

      36 서혜전, "아동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55-70, 2018

      37 이경님, "아동의 자아존중감, 미디어기기 중독과 학교적응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925-949, 2021

      38 주나래, "실행 기능과 읽기 발달: 억제 및 전환 능력은 어떻게 읽기 발달에 관여하는가?" 한국심리학회 34 (34): 253-278, 2015

      39 이은해, "삼성어린이집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종단적 효과"

      40 이주아, "부모의 정서적 자녀가치,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학업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자기-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453-477, 2017

      41 현정희,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초등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인식이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25-146, 2019

      42 김은향,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37-1059, 2020

      43 최미나,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283-310, 2015

      44 임양미,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 강압적 양육행동, 초등학교 자녀의 미디어기기 의존 및 집행기능 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학부모학회 7 (7): 77-97, 2020

      45 송현주, "뇌기반 심리학적 치료와 집행기능" 4 (4): 77-87, 2012

      46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7

      47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48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49 이소현, "교사-아동 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수행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159-177, 2020

      50 송현주,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 타당화" 한국임상심리학회 33 (33): 121-137, 2014

      51 Turner, E. A.,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s,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50 (50): 337-346, 2009

      52 Espy, K. A., "The contribution of executive functions to emergent mathematic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26 (26): 465-486, 2004

      53 Bernier, A., "Soci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arly executive functioning : a closer look at the caregiving environment" 15 (15): 12-24, 2012

      54 Bagwell, C. L.,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69 (69): 140-153, 1998

      55 Lam, C. B., "Parental warmth and hostility and child executive function problems : a longitudinal study of Chinese families" 9 : 1063-, 2018

      56 Riggs, N. R., "Neurocognition as a moderator and mediator of adolescent substance misuse prevention" 35 : 209-213, 2009

      57 Morgan, P. L., "Kindergarte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predict their second-grade academic achievement and behavior" 90 (90): 1802-1816, 2019

      58 Stright, A. D., "Infant temperament moderates relations between maternal parenting in early childhood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irst grade" 79 (79): 186-200, 2008

      59 Kraybill, J. H., "Infancy predictors of preschool and postkindergarten executive function" 55 (55): 530-538, 2013

      60 Barkley, R. A., "Genetics of childhood disorders: XVII. ADHD, Part 1: The executive functions and ADHD" 39 (39): 1064-1068, 2000

      61 Diamond, A., "Executive functions" 64 : 135-168, 2013

      62 Shaffer, D.,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Brooks/Cole 1999

      63 Anderson, V. A.,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20 (20): 385-406, 2001

      64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65 Baumrind, D.,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4 : 1-103, 1971

      66 Gilman, 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report very high life satisfaction" 35 (35): 293-301, 2006

      67 Barkley, R. A.,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121 (121): 65-94, 1997

      68 Robinson, C. C.,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77 (77): 819-830, 1995

      69 Simons-Morton, B. G., "Association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with school adjustment and engagement among sixth graders" 73 (73): 121-126, 2003

      70 김대업,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학현사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3-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부모교육학회 -> 열린부모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Open Parent Education: SOP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