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지후보에 대한 의견 분위기 지각이 공개적 의견 표명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56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대 대선을 대상으로 유권자의 의견분위기 지각이 후보자지지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후보자 지지율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문제2〉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의견분위기 지각등이 투표참여와 지지후보에 대한 공개적 의견표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692명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의견분위기 지각을 예측하는 변인이 특별히 부각되지는 않았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개적인 의견표명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표참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뉴스미디어 이용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의견분위기 지각이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번역하기

      19대 대선을 대상으로 유권자의 의견분위기 지각이 후보자지지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후보자 지...

      19대 대선을 대상으로 유권자의 의견분위기 지각이 후보자지지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후보자 지지율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문제2〉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의견분위기 지각등이 투표참여와 지지후보에 대한 공개적 의견표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692명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의견분위기 지각을 예측하는 변인이 특별히 부각되지는 않았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개적인 의견표명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표참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뉴스미디어 이용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의견분위기 지각이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voters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on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how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about the candidate relates to the use of news media and the fear of alienation. In Research Question 2, we analyzed whether the use of news media, fear of isolation, and the perception of opinion climate affect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election da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sample was 692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re is no particular variable to predict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Secondly, fear of isol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limate of opin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the vot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t effect of using news media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climate of opin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pinion expression and voting particip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voters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on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how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about the candidate relates 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voters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on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how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about the candidate relates to the use of news media and the fear of alienation. In Research Question 2, we analyzed whether the use of news media, fear of isolation, and the perception of opinion climate affect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election da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sample was 692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re is no particular variable to predict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Secondly, fear of isol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limate of opin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the vot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t effect of using news media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climate of opin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pinion expression and voting particip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함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병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제18대 대선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12 (12): 141-173, 2013

      2 최민재, "투표자의 후보 지지 변화와 미디어 태도 변화: 제18대 대통령선거 패널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627-660, 2013

      3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김무곤, "제16대 국회의원선거 연구, 미디어와 투표행위" 삼성언론재단 2001

      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 19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유권자 의식조사" 2017

      6 김유향, "제 19대 대선 후보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동향과 특징" (1406) : 2018

      7 정한울, "정당 태도갈등이 투표행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 18대 총선 및 19대 총선 패널조사(KEPS)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2 (12): 243-277, 2013

      8 김남두, "적대적 미디어 지각과 이슈 관여가 대통령을 향한 책임귀인 및 회고적 투표의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2014년 지방선거의 세월호 이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32-63, 2015

      9 정인태, "유권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정도가 투표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2014년 6.4 부산 동시 지방 선거 분석"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8 (18): 239-278, 2014

      10 민정식, "여론조사결과의 제 3자 효과 지각이 방어적 투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125-152, 2013

      1 지병근, "호남지역에서 나타난 정당후보득표율의 지역편향: 제18대 대선 사례 분석" 한국정당학회 12 (12): 141-173, 2013

      2 최민재, "투표자의 후보 지지 변화와 미디어 태도 변화: 제18대 대통령선거 패널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627-660, 2013

      3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김무곤, "제16대 국회의원선거 연구, 미디어와 투표행위" 삼성언론재단 2001

      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제 19대 대통령선거에 관한 유권자 의식조사" 2017

      6 김유향, "제 19대 대선 후보자의 소셜미디어 이용 동향과 특징" (1406) : 2018

      7 정한울, "정당 태도갈등이 투표행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 18대 총선 및 19대 총선 패널조사(KEPS)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2 (12): 243-277, 2013

      8 김남두, "적대적 미디어 지각과 이슈 관여가 대통령을 향한 책임귀인 및 회고적 투표의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2014년 지방선거의 세월호 이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32-63, 2015

      9 정인태, "유권자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정도가 투표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2014년 6.4 부산 동시 지방 선거 분석"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8 (18): 239-278, 2014

      10 민정식, "여론조사결과의 제 3자 효과 지각이 방어적 투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125-152, 2013

      11 김동윤, "소셜미디어에서 온라인 의견지도자와 이용자의 의견표명: 플랫폼과 이용동기, 정치성향과 의견일치 여부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2 (32): 123-170, 2015

      12 신동인, "사회적 담론에 관한 SNS 사용자의 의견표명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검열과 자기감시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47 (47): 125-152, 2018

      13 양승찬, "사회시스템 성격을 고려한 침묵의 나선이론 연구:의견분위기지각과 공개적인 의견표명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20) : 72-116, 1998

      14 양승찬, "미디어 이용과 TV토론 이용의 효과 연구: 후보자 평가, 정치지식, 정치효능감과 여론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41-72, 2018

      15 양승찬, "대통령선거 후보 지지도 조사 결과에 대한 여론분위기 지각과 감정 반응이 유권자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227-260, 2013

      16 김성태, "‘표심의 동학’ : 제17대 대통령 선거 패널조사 분석을 통한 유권자의 의사결정 유형 탐색" 한국언론학회 53 (53): 33-58, 2009

      17 Lee, H., "When do people speak out? Integrating the spiral of Silence and the situational theory of problem solving" 26 : 185-219, 2014

      18 Katz, C., "Using the “L-Word” in public: A test of the spiral of silence in conservative orange county" 56 (56): 232-235, 1992

      19 Scheufele, D. A., "Twenty-five years of the spiral of silence: A conceptual review and empirical outlook" 12 : 3-28, 2000

      20 Noelle-Neumann, E., "Turbulences in the climate of opinion:Methodological applications of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41 : 143-158, 1977

      21 Noelle-Neumann, E., "The spiral of silence a theory of public opinion" 24 (24): 43-51, 1974

      22 Glynn, C. J., "Public opinion du jour: An examination of the spiral of silence" 48 (48): 731-740, 1984

      23 Gearhart, S., "Gay bullying and online opinion expression: Testing spiral of silence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32 (32): 18-36, 2014

      24 OECD, "Enrolment rate (indicator)"

      25 김현정, "CMC(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s) 상황의 여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94-133, 2011

      26 권혁남, "2012 국회의원 총선에서 나타난 미디어 이용, 정치 냉소주의, 투표 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60 (60): 28-5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Soongsi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6 1.795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