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Korean Modern Poetry Reading with a Focus on Critical Literacy : Centered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48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중국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의사소통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 한국 현대시 교육은 시가 난해하다는 이유로 교사중심의‘주입식’혹은‘정답식’수업이 이루어지는 기능적 문식성 교육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시대적 발전과 함께 일어나는 외부 문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언어교육에서는 기능적 문식성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주체적 사고, 개인적 삶과의 연관 능력, 그리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의 실천 등을 통합적으로 키우도록 하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비판적 문식성을 한국 현대시 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목표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현대시를 통해 함양하는 비판적 문식성을 텍스트의 주체적 해석 능력, 텍스트를 통한 자기반성 능력, 텍스트와 교섭하는 상호문화적 능력으로 재개념화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구도를 설계하였으며, 그중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제재로서 현대시의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고는 비판적 문식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 즉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체계를 의식화에 기초한 주체적 해석의 확장과 메타적 인식을 통한 자기반성의 형성 그리고 자문화 인식 기반의 상호문화적 태도 형성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의 교육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규명한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체계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의 발현 양상을 분류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화에 기초한 주체적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는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주체적 인식을 환기하며, 주체적 인식을 통해 해석을 확장하였다. 둘째, 메타적 인식을 통한 자기반성적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는 화자에 대한 메타적 인식을 발견하고 자기반성을 촉발하며, 구체적 사회 문제와 연관하여 메타적 인식을 삶에 적용하였다. 셋째, 자문화 인식 기반의 상호문화적 읽기 양상에서는 자국문학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를 이해하며 상호텍스트적 이해를 획득하고, 이러한 비교문화적 인식에 기반하여 실제 삶에서의 상호문화적 이해로 나아갔다.
      위에 제시된 실험 설계 방법과 중국인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 발현 양상은 교수-학습 내용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주체적 태도 함양을 위한 의식화 촉발 기제 마련, 학습자의 메타적 성찰을 위한 비계 제공, 문화 비교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적 처치로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위에서 제시한 시사점과 학습자의 양상에 근거하여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교육의 목표는 주체적 태도를 바탕으로 한 작품의 능동적 해석 능력 함양, 문학을 통한 자아-세계 간 관계의 메타적 성찰 능력 함양, 상호문화적 관점의 내면화와 정체성의 재구성으로 정립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문학적 스키마와 실제 세계의 의식화를 통한 주체성 인식, 시와 사회가 관계 맺는 양식에 대한 메타적 이해, 상대성 인식을 통한 상호문화적 관점 형성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비판적 문식성을 재개념화하고, 중국인 학습자에 맞춘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중국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실용성을 중요시하...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중국 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의사소통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 한국 현대시 교육은 시가 난해하다는 이유로 교사중심의‘주입식’혹은‘정답식’수업이 이루어지는 기능적 문식성 교육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시대적 발전과 함께 일어나는 외부 문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언어교육에서는 기능적 문식성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주체적 사고, 개인적 삶과의 연관 능력, 그리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의 실천 등을 통합적으로 키우도록 하는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비판적 문식성을 한국 현대시 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목표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현대시를 통해 함양하는 비판적 문식성을 텍스트의 주체적 해석 능력, 텍스트를 통한 자기반성 능력, 텍스트와 교섭하는 상호문화적 능력으로 재개념화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구도를 설계하였으며, 그중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제재로서 현대시의 효용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고는 비판적 문식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 즉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체계를 의식화에 기초한 주체적 해석의 확장과 메타적 인식을 통한 자기반성의 형성 그리고 자문화 인식 기반의 상호문화적 태도 형성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의 교육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규명한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체계에 따라,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의 발현 양상을 분류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화에 기초한 주체적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는 작품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주체적 인식을 환기하며, 주체적 인식을 통해 해석을 확장하였다. 둘째, 메타적 인식을 통한 자기반성적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는 화자에 대한 메타적 인식을 발견하고 자기반성을 촉발하며, 구체적 사회 문제와 연관하여 메타적 인식을 삶에 적용하였다. 셋째, 자문화 인식 기반의 상호문화적 읽기 양상에서는 자국문학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를 이해하며 상호텍스트적 이해를 획득하고, 이러한 비교문화적 인식에 기반하여 실제 삶에서의 상호문화적 이해로 나아갔다.
      위에 제시된 실험 설계 방법과 중국인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 발현 양상은 교수-학습 내용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주체적 태도 함양을 위한 의식화 촉발 기제 마련, 학습자의 메타적 성찰을 위한 비계 제공, 문화 비교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적 처치로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위에서 제시한 시사점과 학습자의 양상에 근거하여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교육의 목표는 주체적 태도를 바탕으로 한 작품의 능동적 해석 능력 함양, 문학을 통한 자아-세계 간 관계의 메타적 성찰 능력 함양, 상호문화적 관점의 내면화와 정체성의 재구성으로 정립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문학적 스키마와 실제 세계의 의식화를 통한 주체성 인식, 시와 사회가 관계 맺는 양식에 대한 메타적 이해, 상대성 인식을 통한 상호문화적 관점 형성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비판적 문식성을 재개념화하고, 중국인 학습자에 맞춘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teaching contents for developing advanced Chinese learners’ critical literacy skills based on Korean modern poetry. As a foreig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continues to emphasize on the its functional use. Korean modern poetry is often considered a difficult literacy form to understand and is taught by teachers in a 'fill-in-the-blank' way. The result is that modern poetry education is trapped in the dilemma of being skill-based. As the world changes day by day, the literacy content used within a society is ever changing. Hence, language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basic skill-based level. Overtim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thinking skills, the ability to associate learning to personal experience and to apply them in a world with diverse culture. Theref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sider to gradually incorporate critical literacy into the new teaching objectives.
      Nowadays, the study of critical literac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in full sw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dopts a redefinition of critical literacy in foreig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goal of modern poetry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think about themes, to reflect on life, and to grasp human attitudes. This educational goal is in line with the goal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grates critical literacy into the education of modern poetry in order to overcome the traditional 'fill-in-the-blank' style and design an educational program to develop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 subjects.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can shed some ligh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the critical literacy developed through poetry in foreign language literary education as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subject of the text, the ability to self-reflect through the text, and the inter-cultural ability to engage with the text. The modern poetry education designed by the author highlights the significant value of modern poetry for improving critical literac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pecifies the system of modern poetry education in the center of critical literacy as 'the expansion of an individual’s interpretation based on their consciousness-making, self-reflection and 'cross-cultural attitude formed upon self-cultural awareness'. It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t role that modern poetry has played in teaching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categorizes the responses and profiles of Chinese learners' critical literacy on a case-by-case basis using the educational frame described earlier. The specific classifications of the responses are as follows: By engaging in consciousness-based reading that incorporates independent thinking, it encourages students to read critically. Consequently, students’ consciousness are likely to be stimulated and the ability to think beyo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xt might also be expanded. Secondly, by utilizing their self-reflective awareness to engage in self-reflective reading, students can discover that the reflective awareness of the speaker in the poem triggers a sense of self-reflection. This self-reflection may then be applied to a variety of social phenomenon based on students’ personal experience. Furthermore, by engaging intel-cultural reading using self-cultural awareness, learners will attempt to understand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literatures in their own culture to facilitate intertextual understanding. It is through this comparison that learners’ ow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s deeply enhanced.
      By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is study provides readers with some insights into the instructional contents for educators. It provides a mechanism in the form of consciousness that supports the formation of learners’ independent attitude. It also provides a scaffolding to students’ ability to self-reflect. In addition, it performs as an educational treatment that guides learners’ thinking to move from comparing cultural differences to integrating cross-cultural difference to daily life.
      Based on the study method and the findings discussed above, this study facilitated the author to design a Korean modern poetry curriculum focusing on teaching critical literacy. fostering students’ initiative to interpret literatures using personal attitude; enhancing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self-reflection through interpreting the literature and relating it to own cultural background; and achieving inter-cultural perspective taking with the deconstruction of own identify followed by the reconstruction of inter-cultural identiti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perception and awareness though literacy schema and real world consciousness. It also fosters a meta-understanding between poetry and its association to the society. Furthermore, it assists with the stand of inter-cultural perspectives through recognition of relativity.
      In summary, this study not only has redefined critical literacy in the context of foreign literature education, it also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incorporating Korean modern poetry in reading for teaching critical literacy to Chinese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teaching contents for developing advanced Chinese learners’ critical literacy skills based on Korean modern poetry. As a foreig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continues to emphasize on the its functional ...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teaching contents for developing advanced Chinese learners’ critical literacy skills based on Korean modern poetry. As a foreig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continues to emphasize on the its functional use. Korean modern poetry is often considered a difficult literacy form to understand and is taught by teachers in a 'fill-in-the-blank' way. The result is that modern poetry education is trapped in the dilemma of being skill-based. As the world changes day by day, the literacy content used within a society is ever changing. Hence, language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basic skill-based level. Overtim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independent thinking skills, the ability to associate learning to personal experience and to apply them in a world with diverse culture. Theref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sider to gradually incorporate critical literacy into the new teaching objectives.
      Nowadays, the study of critical literac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in full sw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dopts a redefinition of critical literacy in foreig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goal of modern poetry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think about themes, to reflect on life, and to grasp human attitudes. This educational goal is in line with the goal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grates critical literacy into the education of modern poetry in order to overcome the traditional 'fill-in-the-blank' style and design an educational program to develop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 subjects.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can shed some ligh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the critical literacy developed through poetry in foreign language literary education as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subject of the text, the ability to self-reflect through the text, and the inter-cultural ability to engage with the text. The modern poetry education designed by the author highlights the significant value of modern poetry for improving critical literac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pecifies the system of modern poetry education in the center of critical literacy as 'the expansion of an individual’s interpretation based on their consciousness-making, self-reflection and 'cross-cultural attitude formed upon self-cultural awareness'. It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t role that modern poetry has played in teaching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categorizes the responses and profiles of Chinese learners' critical literacy on a case-by-case basis using the educational frame described earlier. The specific classifications of the responses are as follows: By engaging in consciousness-based reading that incorporates independent thinking, it encourages students to read critically. Consequently, students’ consciousness are likely to be stimulated and the ability to think beyo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text might also be expanded. Secondly, by utilizing their self-reflective awareness to engage in self-reflective reading, students can discover that the reflective awareness of the speaker in the poem triggers a sense of self-reflection. This self-reflection may then be applied to a variety of social phenomenon based on students’ personal experience. Furthermore, by engaging intel-cultural reading using self-cultural awareness, learners will attempt to understand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literatures in their own culture to facilitate intertextual understanding. It is through this comparison that learners’ ow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s deeply enhanced.
      By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is study provides readers with some insights into the instructional contents for educators. It provides a mechanism in the form of consciousness that supports the formation of learners’ independent attitude. It also provides a scaffolding to students’ ability to self-reflect. In addition, it performs as an educational treatment that guides learners’ thinking to move from comparing cultural differences to integrating cross-cultural difference to daily life.
      Based on the study method and the findings discussed above, this study facilitated the author to design a Korean modern poetry curriculum focusing on teaching critical literacy. fostering students’ initiative to interpret literatures using personal attitude; enhancing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self-reflection through interpreting the literature and relating it to own cultural background; and achieving inter-cultural perspective taking with the deconstruction of own identify followed by the reconstruction of inter-cultural identiti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perception and awareness though literacy schema and real world consciousness. It also fosters a meta-understanding between poetry and its association to the society. Furthermore, it assists with the stand of inter-cultural perspectives through recognition of relativity.
      In summary, this study not only has redefined critical literacy in the context of foreign literature education, it also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incorporating Korean modern poetry in reading for teaching critical literacy to Chines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사 검토 8
      •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7
      • Ⅱ.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36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 연구사 검토 8
      •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7
      • Ⅱ.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36
      • 1. 한국 문학 교육에서 비판적 문식성의 재개념화 36
      • 1.1. 문식성 개념과 비판적 문식성 재개념화 36
      • 1.2. 외국어 문학교육에서 요구되는 비판적 문식성 40
      • 1.2.1. 텍스트의 주체적 해석 능력 41
      • 1.2.2. 텍스트를 통한 자기반성 능력 43
      • 1.2.3. 텍스트와 교섭하는 상호문화적 능력 44
      • 2.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구도 46
      • 2.1. 비판적 문식성의 신장을 위한 현대시의 효용 47
      • 2.2.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체계 54
      • 2.2.1. 의식화에 기초한 주체적 해석의 확장 55
      • 2.2.2. 메타적 인식을 통한 자기반성의 형성 60
      • 2.2.3. 자문화 인식 기반의 상호문화적 태도 형성 63
      • 3.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의의 66
      • 3.1. 의식화를 통한 시의 주체적 향유 66
      • 3.2. 메타적 인식을 삶에 적용하는 성찰적 독자의 양성 68
      • 3.3. 비교문화 인식에 기반한 상호문화적 이해 증진 70
      • Ⅲ. 중국인 학습자의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 72
      • 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에서 비판적 문식성의 발현 양상 73
      • 1.1. 의식화에 기초한 주체적 읽기 73
      • 1.1.1. 작품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인식 74
      • 1.1.2. 주체적 관점에 의한 해석의 확장 83
      • 1.2. 메타적 인식을 통한 자기반성적 읽기 91
      • 1.2.1. 화자에 의한 메타적 인식의 발견 및 적용 93
      • 1.2.2. 사회적 문제에 대한 메타적 인식의 발견 및 적용 101
      • 1.3. 자문화 인식 기반의 상호문화적 읽기 110
      • 1.3.1. 자국 문학 경험에 의한 상호텍스트적 이해 111
      • 1.3.2. 비교문화적 인식에 기반한 상호문화적 이해 122
      • 2.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을 위한 시사점 127
      • 2.1. 주체적 태도 함양을 위한 의식화 촉발 기제 마련 127
      • 2.2. 학습자의 메타적 성찰을 위한 비계 제공 130
      • 2.3. 문화 비교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으로의 전환을 위한 교육적 처치 132
      • Ⅳ.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설계 135
      • 1.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목표 136
      • 1.1. 주체적 태도를 바탕으로 한 작품의 능동적 해석 능력 함양 136
      • 1.2. 문학을 통한 자아-세계 간 관계의 메타적 성찰 능력 함양 138
      • 1.3. 상호문화적 관점의 내면화와 정체성의 재구성 140
      • 2.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의 내용 142
      • 2.1. 문학적 스키마와 실제 세계의 의식화를 통한 주체성 인식 143
      • 2.2. 시와 사회가 관계 맺는 양식에 대한 메타적 이해 150
      • 2.3. 상대성 인식을 통한 상호문화적 관점 형성 157
      • Ⅴ. 결론 165
      • 참고문헌 171
      • 부록 1 181
      • 부록 2 190
      • Abstract 205
      • 표 목차
      • 표 1 본 실험용 텍스트 리스트 21
      • 표 2 실험의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정리 26
      • 표 3 본 실험의 기호화 양식 34
      • 표 4 메타적 이해를 위한 지식의 내용 156
      • 표 5 한중 비교문학 작품 및 제3자 자료 161
      • 표 6 시적 세계와 현실 세계의 비교를 위한 문학작품 선정 163
      • 그림 목차
      • 그림 1 실험 수행의 절차 및 내용 34
      • 그림 2 비판적 문식성 중심의 한국 현대시 교수-학습 내용의 도식화 142
      • 그림 3 시와 사회가 관계 맺는 양식: 시적 화자를 중심으로 15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시론, 김준오, 삼지원, , 1982

      2. 시론, 오세영, 서정시학, , 2013

      3. 현대 시론, 오세영, 서울:서정시학, , 2010

      4. 현대시 교육론, 정재찬, 역락, , 2017

      5. 현대시 교육론, 윤여탁, 서울: 사회평론, , 2017

      6. 시 해석 교육론, 김정우, 태학사, , 2006

      7. 체험 표현 이해, Dilthey, W., 책세상, , 2020

      8. 문식성 교육 연구, 박영목, 노명완, 한국문화사, , 2008

      9. 윤동주 시 깊이 읽기, 권오만, 소명출판, , 2009

      10. 새 민족문학사 강좌 02, 민족문학사연구소, 창비, , 2014

      1. 시론, 김준오, 삼지원, , 1982

      2. 시론, 오세영, 서정시학, , 2013

      3. 현대 시론, 오세영, 서울:서정시학, , 2010

      4. 현대시 교육론, 정재찬, 역락, , 2017

      5. 현대시 교육론, 윤여탁, 서울: 사회평론, , 2017

      6. 시 해석 교육론, 김정우, 태학사, , 2006

      7. 체험 표현 이해, Dilthey, W., 책세상, , 2020

      8. 문식성 교육 연구, 박영목, 노명완, 한국문화사, , 2008

      9. 윤동주 시 깊이 읽기, 권오만, 소명출판, , 2009

      10. 새 민족문학사 강좌 02, 민족문학사연구소, 창비, , 2014

      11.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유기웅, 박영사, , 2012

      12. 시 교육의 이론과 방법, 김현수, 역락, , 2011

      13.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 윤여탁, 태학사, , 2021

      14. 한국 모더니즘 시 연구, 문덕수, 시문화사, , 1981

      15. 시적 정의.박용준 옮김,, Nussbaum, M. C., 궁리, , 2015

      16. 『한국어 교육학 사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하우, , 2014

      17. 中國現代詩歌內形式研究, 薛世昌,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2018

      18. 새로 쓰는 현대시 교육론, 박수연, 창비교육, , 2015

      19. 시란 무엇인가-경험의 시학, 유종호, 민음사, , 1995

      20. 시의 논리와 서정시의 역사, 윤여탁, 태학사, , 1995

      21. 한국 근대 민요시와 서정성, 박경수, 한국시문학11, 한국시문학회, , 2001

      22. 교육과 의식화. 채광석 옮김,, Freire, P., 중원문화, , 2010

      23.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 정재찬, 역락, , 2003

      24. 시란 무엇인가. 박병희 옮김,, Wheelock, J. H., 울산대학교 출판부, , 1996

      25.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3rd), Brown, H. D., Pearson Education Korea, , 2007

      26. Linguistic Factors in Critical Thinking, Chandra . Sharma., 107 ( 1 ), , 1995

      27. 한국어 교육과 비판적 문식성, 박현진, 서정시학, , 2020

      28. 『앎과 삶: 해석학적 지식론』, 이규호, 좋은 날, , 2001

      29. 교육이론과 저항, 최명선 옮김, Giroux. H., 성원사, , 1990

      30. 리얼리즘의 시 정신과 시 교육, 윤여탁, 소명출판, , 2003

      31.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 다, Freire, P., Horton. M,, 아침이슬, , 2006

      32. ,문학 속의 언어학.신문수 편역, Jakobson, R., 문학과 지성사, , 1989

      33.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윤여탁, 하우, , 2015

      34. 교사는 지성인이다. 이경숙 옮김, Giroux. H., 아침이슬, , 2003

      35. 의식화 개념의 한국적 해석 논의, 고혁준, 유성상, 교육문제연구 -41,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2011

      36. 「중국문화정책의 통시적 고찰」, 이태형,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5 (3),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 2016

      37. 딜타이 교육학 선집.손승남 옮김,, Dilthey, W., 서울: 지식을만든지식, , 2012

      38. ,리터러시와 권력, 장은영 외 옮김, Janks. H., 사회평론아카데미, , 2010

      39. 구성주의와 교육. 조연주 외 옮김,, Steffe, L. P., J. Gale, 학지사, , 1997

      40. 프레이리 문화서클의 교육적 실천, 조정봉, 교육철학63, 한국 교육철학회, , 2017

      41.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이한우 옮김, Palmer. R., 문예출판사, , 2011

      42. 교육은 자기 교육이다.손승남 옮김,, Gadmer, H. G., 동문선, , 2004

      43. 대화 중심의 현대시 교육, 학습 방법, 최미숙, 국어교육학연구2 6, 국어교육학회, , 2006

      44. 독자 반응 조정 중심의 시 교육 연구, 강민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16

      45. 윤동주의 현실인식과 시적 응전 연구, 곽효환, 한국문예비평연구 55,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2017

      46. 한국에서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윤여탁, 국어교육연구36,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2015

      47. 소설을 통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김향연, 국어교육165, 한 국어교육학회, , 2019

      48. 탐구로서의 문학. 김혜리 엄해영 옮김, Rosenblatt. L., 한국문화사, , 2006

      49. 현대시 해석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최미숙, 한국시학연구14, 한국시학회, , 2005

      50. 독서교육에서 비판적 성격과 지도내용, 김봉순, 독서연구19, 한 국독서학회, , 2008

      51. 문화적 문식성의 국어교육적 재개념화, 박인기, 국어교육학연구, 국어교육학회, , 2002

      52. 페다고지(30주년 기념판). 남경태 옮김,, Freire, P., 그린비, , 2012

      53. Towards a Critical Applied Linguistics for the 1990s, Pennycook , A., 1 ( 1 ) ,, , 1990

      54. 개인적 지식: 후기비판적 철학을 향하 여, Polanyi, M., 아카넷, , 2001

      55. 한국문학수업에서 배경지식의 활용 연구, 노금숙, 중국조선어문,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 2015

      56. 시 교육론 Ⅱ: 방법론 성찰과 전통의 문제, 윤여탁, 서울대학교 출판 부, , 1998

      57. 프랑스학에 기반을 둔 대학 상호문화교육, 윤소영, 박영 스토리, , 2016

      58. 한국 모더니즘시의 글쓰기 방식과 시 해석, 최미숙, 소명출판, , 2000

      59. 읽기의 의미와 읽기 과정 모형에 대한 고찰, 천경록, 청람어문교 육38, 청람어문교육학회, , 2008

      60. 텍스트에서 행동으로, 박병수 남기영 옮김,, Ricoeur. P., 서울:아카넷, , 2002

      61. 현대시 교육에서 지식의 성격과 교육의 방향, 윤여탁, 국어교육연 구27,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2011

      62. 21세기 교사의 역할: 생태학적 관점. 황기우 옮김,, Heck, S. F., 원 미사, , 1998

      63. 문학이론과 문학교육-텍스트의 위력.김상욱 옮김, Scholes. R., 하우, , 1995

      64. 문해교육:파울로 프레이리의 글 읽기와 세계 읽기, Macedo, D,, Freire, P., 서울:학이시습, , 2014

      65.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술적 문식성 연구, 박지순, 한민족 문화연구58, 한민족문화학회, , 2017

      66. Taking o n Critical Literacy : The Journey of Newcomers and Nov ices, Lewison , Mitzi , Amy Seely Flint , and Katie Van Sluys, 79 ( 5 ), , 2002

      67. ‘시적 화자-되기’를 활용한 한국 현대시교육 연구, 박정하,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68.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 칠 것인가. 박인기 외 옮김,, Rodrigues. R. J., Badaczewski D., 박이정, , 2001

      69. 한국어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연 구, 오지혜, 윤여탁, 국어교육13, 한국어교육학회, , 2010

      70. 독서 교육론-독해 과정의 이해와 지도 .천경록 외 옮김,, Irwin. J. W., 박이정, , 2012

      71.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의 기초이 론 2. 신승엽 외 옮김, 소련과학아카데미, 일월서각, , 2006

      72. 상호작용적 원리에 기반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노금숙, 중한언어문화연구18,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 2020

      73. Critical Literacy and Transformative Social Practice : An Ethical Grounding, Colin , H. & B . Bob., 68 ( 4 ), , 2018

      74. 재개발ᆞ재건축 관련 조세법상 쟁점과 정책과제,조세연 구, 정지선, 한국조세연구포럼, , 2010

      75. 가치 평가적 사유로서의 공감을 위한 현대시교육 방향 연구, 문선영, 국어교육학연구55 (1), 국어교육학회, , 2020

      76. 학습자 활동 중심의 (영)시 지도 법과 언어교육. 조일제 옮김, Allan. M., Allan, D., 한국문화사, , 2005

      77. 구성주의 은유: 읽기 쓰기 의미 구성의 이 론, 신헌재 외 옮김, Spivey. N., 서울: 박이정, , 2001

      78. 작중 인물의 정체성을 활용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내용 연 구, 선주원, 청람어문교육34, 청람어문교육학회, , 2006

      79.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 현황 분석 및 향후 방향 설 정, 남연, 문학교육학61, 한국문학교육학회, , 2018

      80. 해방의 교육자 프례이리와 교육.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옮김., J. Elias, 살림터, , 2014

      81. 구성적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감상 교육 연 구, 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21

      82. Critical Literature Pedagogy : Teaching Can onical Literature for Critical Literacy., Carlin Borsheim-Black , Michael Macaluso , and Robert Petrone, 58 ( 2 ), , 2014

      83. 존 듀이와 교육:듀이 철학 입문과 이 시대를 위한 현대적 재구성, Garrison. J., 살림터, , 2021

      84. 문학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의 힘: 문학교육과 비판, 성찰, 깨달 음, 이강옥, 문학교육학, 한국문학교육학회, , 2009

      85. 독자, 텍스트, 시-문학작품의 상 호소통이론. 김혜리 엄해영 옮김,, Rosenblatt. L., 한국문화사, , 2008

      86.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비판적 문식성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육 연 구, 박성, 선청어문4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 2021

      87.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위한 다양한 관점 으로 세상 읽기.이경화 옮김, Mclaughlin. M,, 미래엔, , 2018

      88. 비판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리얼리즘 시를 중심으로, 장청원, 한국민족문화76,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 소, , 2020

      89. 새로운 청년 세대의 가치관-태도, 원인과 대책,성균관차이 나브리프7(3), 텐펑,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 2019

      90. Eight Readers Reading : The Intertextual Links of Pro ficient Readers Reading Multiple Passages, Hartman , D. K., 30 ( 3 ), , 1995

      91. 다문화 사회의 새로운 교육적 대안-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장한업 옮김,, Aballah-Pretceille. M., 한울, , 2010

      92. 사회 언어학과 서로 다른 리터러시-담론 과 이데올로기. 김영란 외 옮김,, Gee. J. P, 사회평론아카데미, , 2019

      93. Addressing Challen ges in the Practice of Critical Literacy in EFL Classr ooms : A New Frame work, Nita , Novianti Angela Thomas , and Vinh To., 10 ( 1 ) ,, , 2020

      94. 서술적 묘사에 의한 이미지의 형성 연구 –김광균 시집瓦 斯燈을 중심으로, 전명천, 현대문학이론연구60, 현대문학이론학 회, , 2015

      95.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성 형성 에 관한 실행 연구, 김효숙, 이경화, 아시아교육연구19(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 2018

      9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박현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9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한국문학 작품 활용을 중심으로」, 황라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4

      98. 교양 교육에서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 연구 -김애란의 물 속 골리앗을 활용하여, 김향연, 교양교육과 시민1, 숙명여자대 학교 교양교육연구소, , 2020

      99. 문학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의 성격과 구조 -순환적 대화 수업 모형을 통한 시조교육, 서명희, 고전문학과 교육47, 한국고전문학 교육학회, , 2021

      100.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법론 연구-다국적의 구비 문학 자료를 바탕으로-, 오정미, 언어와 문화17(1), 한국언어문화교 육학회, , 2021

      101. 1990년대 안도현 시의 서정성의 변화 연구 –시집그대에게 가고 싶다외 3권을 중심으로, 조미희, 한국문학기술29, 단국대학 교 한국문학기술연구소, 2020, , 1990

      102. 사람대사람 옮김,교실을 위한 프레이리:현장 교육을 위한 프레이리와 비고츠키의 만남, Shor. I. 엮음, 살림터, , 2015

      10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인문지식 교육 연구: 한 국 현대시 활용을 중심으로, 박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21

      104. Literature and critical literacy pedagogy in the EFL classroom : Towards a model of teaching critical thinking skills ., Bobkina , J. , & Stefanova , S., 6 ( 4 ), , 2016

      105. 텍스트 내적 구조에 따른 시 교육 내용 연구-자아와 세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비평문학46, 강석, 한국비평학회, , 2012

      106. Teaching Multiple Literacies and Critical Literacy to Pr e-Service Teachers through Children's-Literature-Based Engagements, Lee , C., 1 2 ( 1 ), , 2016

      107.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중국인 고 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왕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9

      108.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의의 고찰-한 베 비교문학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황티장, 한국어교육연구12( 2), 한국어능력평가원 한국어교육연구소, , 2017

      109. Moving beyond Agreeabl e Texts and Boring Tasks : Pairing Young A dult Literature and Critical Literacy in Teacher E ducation, Shanahan E. M & Dallacqua , K. A., 40 ( 1 ), , 2018

      110.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the Strong Sense : A Fo cus On Self-Deception , World Views , and a Dialectical M ode of Analysis, Paul , R., 4 ( 2 ), , 1984

      111. The Integration of 'critical ' and 'literacy ' Edu cation in the EFL Curriculum : Expanding the P ossibilities of Critical Writing Practices, Huang , Shin-ying., 25 ( 3 ), , 2012

      112. Critical Literacy Practices in EFL Reading Classroom -- An Experimental Study towards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English Language Teaching, Liu , Yang., 10 ( 5 ), , 2017

      113.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상호문화 지식 교육에 대한 고찰 – 중 국인 학습자의 문화 지식 구성 양상을 중심으로, 김유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9

      114. 유학생의 비판적 문식성 제고를 위한 영화 활용 한국어 읽기 수업 방안 연구 -학문 목적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지영, 언어 와 문화18 (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 2022

      115. 시 읽기 교육에서 성찰의 주체 설정 방향 연구 –고등 학교문학 교과서의 ‘자아 성찰’ 관련 단원에 대한 검토 를 중심으로, 구영산, 민재원, 문학교육학58, 한국문학교육학회, , 2018

      116. 한국 문학교육에서 문학 문식성과 자국어 교육 경험 간의 관 계에 대한 고찰-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의미 구성 양상 을 중심으로, 김소연, 문학교육학73, 한국문학교육학회, , 2021

      117. 동아시아 ‘아기장수’ 설화의 비교를 통한 상호문화교육 적 활용 방안 고찰 -한국 아기장수, 베트남 타잉쩡(Th nh Gi ng-扶董天王) , 중국 나타요해(哪吒鬧海)를 중심으로, 진가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국제한국어교육학 회, ,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