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3주제 복음화 부문] 팬데믹 시대의 복음화(이주민 신학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95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교회공동체가 ‘새로운 일상’(New Normal)을 맞이하며 복음화의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시대적 징표로서 사회적 약자로 살아가고 있는 이주민들을 통해 국내에서 이주민이 처한 현실을 분석하고 보편교회의 가르침은 무엇인지 그리고 전 세계적 현상인 이민에 대한 각종 수치를 비교 분석한다. 이주의 신학적 담론을 통해서는 “이주민들 없는 교회에 구원은 없다.”라며 복음화의 대상이자 주체인 이주민들에 대한 우선적 선택을 주장한다. 더 나아가, 이주민들의 사회통합과 공동체 형성 기능,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의 순기능을 통해 종교가 어떻게 이주민들에게 종교, 사회문화적인 버팀목을 제공했는지 분석한다.
      탈세계화 되어 가고 있는 팬데믹 시대 속에서 한국에서 가톨릭신자로 살아간다는 정체성과 자기 주도적 신앙 실천에 대한 제언으로 이주민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 성지순례와 순교영성 강화 운동 그리고 유사종교(신천지, 하나님의 교회 등)에 대한 연구와 적극적 종교 간의 대화를 고찰한다. 끝으로 팬데믹 시대의 복음화의 또 다른 표현은 타인을 인격적으로 존중하며 그들 각자가 사랑받을만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리고 형제애를 나누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인격적인 만남을 포기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직접 다가간 예수님을 롤 모델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팬데믹으로 드러난 시대의 징표인 국내 이주민들을 섬기고 그들과 더불어 살아감으로써 연대와 협력 그리고 공동선으로 나아가는 복음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교회공동체가 ‘새로운 일상’(New Normal)을 맞이하며 복음화의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시대적 징표로서 사회적 약자로 살아가고 있는 이주민...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교회공동체가 ‘새로운 일상’(New Normal)을 맞이하며 복음화의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시대적 징표로서 사회적 약자로 살아가고 있는 이주민들을 통해 국내에서 이주민이 처한 현실을 분석하고 보편교회의 가르침은 무엇인지 그리고 전 세계적 현상인 이민에 대한 각종 수치를 비교 분석한다. 이주의 신학적 담론을 통해서는 “이주민들 없는 교회에 구원은 없다.”라며 복음화의 대상이자 주체인 이주민들에 대한 우선적 선택을 주장한다. 더 나아가, 이주민들의 사회통합과 공동체 형성 기능,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의 순기능을 통해 종교가 어떻게 이주민들에게 종교, 사회문화적인 버팀목을 제공했는지 분석한다.
      탈세계화 되어 가고 있는 팬데믹 시대 속에서 한국에서 가톨릭신자로 살아간다는 정체성과 자기 주도적 신앙 실천에 대한 제언으로 이주민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 성지순례와 순교영성 강화 운동 그리고 유사종교(신천지, 하나님의 교회 등)에 대한 연구와 적극적 종교 간의 대화를 고찰한다. 끝으로 팬데믹 시대의 복음화의 또 다른 표현은 타인을 인격적으로 존중하며 그들 각자가 사랑받을만한 사람이라는 것을 알리고 형제애를 나누며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인격적인 만남을 포기하지 않고 누구에게나 직접 다가간 예수님을 롤 모델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팬데믹으로 드러난 시대의 징표인 국내 이주민들을 섬기고 그들과 더불어 살아감으로써 연대와 협력 그리고 공동선으로 나아가는 복음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eality of migrants in Korea through migrants living i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s a sign of the times that the church community living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faces a new normal and should pay atten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vangelization.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teachings of the universal church and various figures on immigration, a global phenomenon. Through the theological discourse of migration, This study insists on the preferential choice of migrants, the subject and subject of evangelization, saying, “There is no salvation in the church without migrants.” Furthermore, it analyzes how religion provided migrants with religious and socio-cultural support through the positive functions of migrants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formation, and human network formation.
      In the era of de-globalization, we are living as a Catholic in Korea as a Catholic, and as a suggestion for self-directed practice of faith, we provide continuous interest and love for migrants, pilgrimage and martyrdom reinforcement movement and similar religions (Shincheonji, God of the church, etc.) and the dialogue between active religions. Finally, another expression of evangelization in the pandemic era means respecting others as a person, letting each of them know that they are worthy of love, and sharing brotherly lov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must use Jesus as our role model, who has approached anyone directly without giving up on personal encounters. By serving and living with domestic migrants, a sign of the times revealed by the pandemic, we can contribute to solidarity, cooperation, and evangelization moving toward the common goo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reality of migrants in Korea through migrants living i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s a sign of the times that the church community living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faces a new normal and should pay attention from t...

      This paper analyzes the reality of migrants in Korea through migrants living i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s a sign of the times that the church community living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faces a new normal and should pay atten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evangelization.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teachings of the universal church and various figures on immigration, a global phenomenon. Through the theological discourse of migration, This study insists on the preferential choice of migrants, the subject and subject of evangelization, saying, “There is no salvation in the church without migrants.” Furthermore, it analyzes how religion provided migrants with religious and socio-cultural support through the positive functions of migrants social integration, community formation, and human network formation.
      In the era of de-globalization, we are living as a Catholic in Korea as a Catholic, and as a suggestion for self-directed practice of faith, we provide continuous interest and love for migrants, pilgrimage and martyrdom reinforcement movement and similar religions (Shincheonji, God of the church, etc.) and the dialogue between active religions. Finally, another expression of evangelization in the pandemic era means respecting others as a person, letting each of them know that they are worthy of love, and sharing brotherly love.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must use Jesus as our role model, who has approached anyone directly without giving up on personal encounters. By serving and living with domestic migrants, a sign of the times revealed by the pandemic, we can contribute to solidarity, cooperation, and evangelization moving toward the common go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이주민에 대한 혐오와 차별의 일상화
      • Ⅲ. 이주의 신학적 담론
      • Ⅳ.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공동체에 대한 제언
      • Ⅴ. 나가는 말: 복음화의 모범이신 예수님과의 인격적 만남과 대화를 고대하며...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이주민에 대한 혐오와 차별의 일상화
      • Ⅲ. 이주의 신학적 담론
      • Ⅳ.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공동체에 대한 제언
      • Ⅴ. 나가는 말: 복음화의 모범이신 예수님과의 인격적 만남과 대화를 고대하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