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식과 수행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를 중심으로 = A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Gifted Student Selection Approach and their Gifted Performances : Paper and Pencil Test vs.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0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the paper and pencil based evaluation and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which was a conventional selection method, by using a meta-analysis method that synthesizes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effect ...

      This study compares the paper and pencil based evaluation and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which was a conventional selection method, by using a meta-analysis method that synthesizes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selection score and the performance score of the gifted education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ffect size was as small as 0.244. The heterogeneity of the group was 58%, showing medium-sized heterogeneity, and a moderators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heterogeneity. As a result, the cause of heterogeneity was confirmed in the domain. In addition, in the mathematics and science domai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the selection score and the performance score by the paper and pencil based evaluation and the teacher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종합하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선발방식이었던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를 비교하고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식에 따라 선발점수와 영재교육 프로그...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종합하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선발방식이었던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를 비교하고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식에 따라 선발점수와 영재교육 프로그램 수행점수 간 상관에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과 수행 간의 상관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0.244(p<.000)로 작은 효과 크기가 관찰되었다. 집단의 이질성은 I2가 58.0%로 중간 크기의 이질성을 보여주었으며 이질성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영재교육대상자 선발 방법과 교육영역의 집단 간 분산을 확인한 결과 교육영역에서 이질성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이에 교육영역별 동질한 집단인 수학과 과학영역에서 지필 평가와 교사관찰추천제에 의한 선발과 수행 간 상관 효과 크기를 확인한 결과, 교사관찰추천제에 의한 선발과 수행 간의 상관 효과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현정,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영재학회 20 (20): 621-647, 2010

      2 이동혁,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한국영재학회 20 (20): 595-619, 2010

      3 김종준, "초등수학영재 선발전형에 활용되는 교사 관찰 추천서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16 (16): 229-250, 2013

      4 정상연, "초등과학영재의 선발성적과 실제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 조현수,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선발평가 분석과 영재프로그램의 수행능력에 관한 사례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박춘성, "초등 영재선별을 위한 평정척도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 신희영, "초등 수학영재 선발 절차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교육부 2018

      9 전우천,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제 입학성적과 수행평가 성적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2544-2550, 2014

      10 홍창의, "정보과학 영재의 선발 도구의 상호관계 연구:관찰추천제 선발 도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143-147, 2013

      1 진현정, "한국어판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K-SRBCSS)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영재학회 20 (20): 621-647, 2010

      2 이동혁,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한국영재학회 20 (20): 595-619, 2010

      3 김종준, "초등수학영재 선발전형에 활용되는 교사 관찰 추천서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16 (16): 229-250, 2013

      4 정상연, "초등과학영재의 선발성적과 실제수행능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5 조현수,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선발평가 분석과 영재프로그램의 수행능력에 관한 사례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박춘성, "초등 영재선별을 위한 평정척도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 신희영, "초등 수학영재 선발 절차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교육부 2018

      9 전우천,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제 입학성적과 수행평가 성적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2544-2550, 2014

      10 홍창의, "정보과학 영재의 선발 도구의 상호관계 연구:관찰추천제 선발 도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143-147, 2013

      11 원재순,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77-205, 2016

      12 송인섭, "유아용 영재판별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63-78, 2006

      13 정현민, "예측타당도를 중심으로 한 관찰․추천 영재판별용 행동특성 평정척도의 유용성 탐색" 한국영재학회 23 (23): 835-855, 2013

      14 이인호,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한국영재학회 19 (19): 381-404, 2009

      15 이미순, "영재교사 및 부모에 의한 과학영재 행동평정의 비교와 과학적 수행 예측력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211-233, 2011

      16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17 강원임, "수학과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행수준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김형옥, "수학과 수업관찰평가를 통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송상헌, "수학 영재성 측정과 판별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0 김흥원,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Ⅱ)-검사제작편" 학국교육개발원 1997

      21 김흥원,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Ⅰ)-기초연구편" 한국교육개발원 1996

      22 전우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선도할 정보영재아동의 관찰추천 입학제도 타당성 분석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7 (17): 87-93, 2016

      23 채유정,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27 (27): 631-649, 2017

      24 안정현, "부산광역시 교사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 선발방식의 개선방향"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174-196, 2014

      25 박경빈,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0 (20): 681-701, 2010

      26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2

      27 안현주, "또래추천을 통한 초등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가능성 탐색" 한국영재학회 24 (24): 577-595, 2014

      28 이선영, "네트워크분석을 통해서 탐색한 교사추천서에 나타난 교사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교육연구소 18 (18): 629-660, 2017

      29 최은주,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분석을 통한관찰∙추천제의 영재 판별 효과성 탐색"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5 (5): 22-32, 2013

      30 민소원, "교사관찰추천제의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영재학회 29 (29): 483-510, 2019

      31 이영란, "교사관찰추천제 연구 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9-2018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9 (29): 593-617, 2019

      32 이경숙, "교사관찰추천의 현황과 소외계층 영재 선발을 위한 과제" 한국영재교육학회 14 (14): 123-147, 2015

      33 원영실, "교사 관찰추천 예술영재 판별의 현황과 과제 -국악․서양음악․미술 영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33 (33): 157-201, 2012

      34 윤은정,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한국영재학회 22 (22): 929-942, 2012

      35 류지영, "관찰·추천을 통한 영재판별에 대한 영재담당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59-178, 2010

      36 박혜정, "관찰·추천 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의 평가자간 신뢰도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7 한기순, "관찰-추천제는 어떤 특성의 영재를 선발하는가?: 선발시험 vs. 교사관찰추천으로 본 영재들의 지능, 진로유형, 자기조절 학습능력" 한국영재학회 24 (24): 445-462, 2014

      38 윤초희,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한국영재학회 24 (24): 679-701, 2014

      39 최희진, "과학 영재 선발고사의 예측타당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0 Schwarzer, G., "meta: General Package for Meta-Analysis. R package version 4.1-0"

      41 VanTassel-Baska, J., "Using performance tasks in the identific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y gifted learners: Findings from Project STAR" 46 : 110-123, 2002

      42 Nerber, J., "Teacher identification of students for gifter programs: Nominations to a summer school for highly-gifted students" 46 : 348-362, 2004

      43 Baum, S. M., "Talent beyond word : Identification of potential talent in dance and music in elementary students" 40 (40): 93-101, 1996

      44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Academic Press 1977

      45 황성동, "R을 이용한 메타분석" 학지사 2015

      46 유성모, "R 메타분석 쉽게 배우기 : 프로그램 효과 검증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황소걸음 아카데미 2019

      47 Sterne, J.,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Prevention, assessment and adjustments" John Wiley & Sons, Ltd 75-98, 2005

      48 Glass, G.,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in Social Research" Sage 1976

      49 Renzulli, J. S., "Myth: The gifted constitute 3-5% of the population" 26 (26): 11-14, 1982

      50 Jackson, G., "Methods for integrative reviews" 50 : 438-484, 1980

      51 황정규, "Meta-Analysis의 이론과 방법론(경험 과학적 연구 결과의 종합을 위하여)" 19 : 1-55, 1988

      52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 2009

      53 Borland, J. H.,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press 587-594, 2000

      54 Borland, J. H., "Identifying young, potential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38 : 164-171, 1994

      55 Rosenthal, R., "Essentials of Behavioral Research: Methods and DataAnalysis" McGraw-Hill 1984

      56 Sanborn, M. P., "Educational programs and intellectual prodigies" The Johns Hopkins Univ. Press 1977

      57 Higgins, J.,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58 Egger, M., "Bias in meta-analyses detected by simple, graphical test" 315 : 629-63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