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하수도 연계를 통한 도시 물 순환 모형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of the Urban Water Balance Model by Linking Water Distribution and Sewer Network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과밀화에 따라 주거지역의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단위 면적당 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에 공급된 물의흐름을 연구하고, 도시 물 순환 건전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해...

      도시 과밀화에 따라 주거지역의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단위 면적당 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에 공급된 물의흐름을 연구하고, 도시 물 순환 건전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인과적인 프로그래밍인 Modelica를 소개하고, Open Medelica를 이용하여 도시 물 순환 모형의 기본이 될 수 있는 상수도와 하수도를 연계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존에 상수관망과하수관망을 모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PA-NET과 EPA-SWMM에서 제공하는 개발자 toolkit을 이용하여 수용가 블록을기준으로 Open Modelica 기반 상수관망과 하수관망을 연계하여 모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수관망에 공급되는 시간별 물 사용량의90%가 하수관망으로 자동 유입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상수관망과 하수관망의 절점 간 연결을 위해 매칭테이블을구축하면 Open Modelica에 개발된 GUI에서 절점, 링크, 펌프, 탱크, 밸브 등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48시간 물 공급을 모의하였으며, 성공적으로 상수와 하수가 연계되어 모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개발된 모형을 기본으로하수처리수 재이용, 빗물이용, 우수의 유출 흐름, 저영향개발 시설 등과 같은 도시물순환 요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확장되고실제에 가까운 도시 물 순환 모형을 개발할 계획이다. 본 연구를 통해 Modelica가 시간에 따른 시스템 내 변화를 모의할 수 있다는것을 확인하였으며, 수식기반의 비인과적 시뮬레이션 언어이므로 도시 물 순환 요소의 블록별 개발을 통해 불록 간 관계 설정및 재사용 등이 가능하므로, 향후 도시 물 순환 모형의 시각화 및 구체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urban overcrowd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residential areas and water use per unit are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cities and to improve the healthy circulation of urban water. This study us...

      Due to urban overcrowd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residential areas and water use per unit are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cities and to improve the healthy circulation of urban water. This study used Modelica, a non-causal analytical program. Using Open Modelica,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 model linking water distribution and sewerage, as the basis of a balanced urban water model. Using the programmer s toolkit provided by EPA-NET and EPA-SWMM, which are commonly used to simulate the existing water supply and sewage pipe networks, Open Modelica-bas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and sewage pipe networks can be connected and simulated based on the customer block. A model was built so that 90% of the hourly water consumption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can be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sewage pipe network. If a matching table is constructed to connect the nodes of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and the sewer pipe network, the nodes will reflect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eveloped in Open Modelica. It was developed to enable modification of links, pumps, tanks, and valves. The 48-hour water supply was simula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and it was confirmed that water supply and sewage networks were successfully connected. In the future, we plan to develop a more expanded and realistic urban water circulation model by considering additional urban water circulation factors, such as sewage treatment, water reuse, rainwater use, storm runoff, and low-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delica can simulate changes in the system over time. Since it is a formula-based non-causal simulation languag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d reuse relationships between blocks through block-by-block development of urban water circulation elemen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visualization and concretization of future urban water circulation mod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2. 상·하수도 흐름 모의 모형 3. 오픈 모델리카를 이용한 상하수도 모의 연계 4. 적용 및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 1. 서 론 2. 상·하수도 흐름 모의 모형 3. 오픈 모델리카를 이용한 상하수도 모의 연계 4. 적용 및 결과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민, "신도시 LID 기법 적용방안 및 효과분석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I) LID 기법 선정 및 적정규모 산정" 한국방재학회 15 (15): 291-299, 2015

      2 최치현, "도시 물 순환 건전성을 위한 유수지와 침투기반 저류지의 복합설계기법" 대한환경공학회 33 (33): 1-8, 2011

      3 Heinrich, M., "Water end use and efficiency project (WEEP) - Final report" BRANZ 2007

      4 Ministriy of Environment, "Statistics of waterworks"

      5 연종상, "SWMM 모형을 이용한 LID 요소기술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우수유출특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983-3989, 2014

      6 Bowen, P. T., "Residential water use patterns"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Research Foundation 1993

      7 Cunge, J. A., "Practical aspects of computational river hydraulics" Pitman 1980

      8 French, R. H., "Open-channel hydraulics" McGraw-Hill 1985

      9 Henderson, F. M., "Open channel flow" MacMillan Publishing 1966

      10 Guo, J. C. Y., "Maximized detention volume determined by runoff capture ratio" 122 (122): 33-39, 1996

      1 이정민, "신도시 LID 기법 적용방안 및 효과분석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I) LID 기법 선정 및 적정규모 산정" 한국방재학회 15 (15): 291-299, 2015

      2 최치현, "도시 물 순환 건전성을 위한 유수지와 침투기반 저류지의 복합설계기법" 대한환경공학회 33 (33): 1-8, 2011

      3 Heinrich, M., "Water end use and efficiency project (WEEP) - Final report" BRANZ 2007

      4 Ministriy of Environment, "Statistics of waterworks"

      5 연종상, "SWMM 모형을 이용한 LID 요소기술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우수유출특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983-3989, 2014

      6 Bowen, P. T., "Residential water use patterns"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Research Foundation 1993

      7 Cunge, J. A., "Practical aspects of computational river hydraulics" Pitman 1980

      8 French, R. H., "Open-channel hydraulics" McGraw-Hill 1985

      9 Henderson, F. M., "Open channel flow" MacMillan Publishing 1966

      10 Guo, J. C. Y., "Maximized detention volume determined by runoff capture ratio" 122 (122): 33-39, 1996

      11 김응석, "LID 적용면적별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한국방재학회 14 (14): 309-31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