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교원직무연수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 교원댄스스포츠 직무연수 = The Effects of DanceSport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809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sport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n=40) participated in the 2010 in-service training for school teachers. 40 teachers not in the program also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control group.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self-questionnaires for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dance sports program. The survey packet consists of demographic questionnaire, job stress questionnaire,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PASW Statistics 18.0 was utilized to obtain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two groups by dependent factor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each group. Also,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applied to compare the means of post-test in the two groups.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wo-fol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the dance sport program is helpful for school teachers to get rid of their job stres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sport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n=40) participated in the 2010 in-service training for school teachers. 40 teachers not in the program also participated in the 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sport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n=40) participated in the 2010 in-service training for school teachers. 40 teachers not in the program also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control group.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self-questionnaires for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dance sports program. The survey packet consists of demographic questionnaire, job stress questionnaire,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PASW Statistics 18.0 was utilized to obtain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two groups by dependent factors.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each group. Also,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applied to compare the means of post-test in the two groups.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wo-fol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ion in the dance sport program is helpful for school teachers to get rid of their job st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댄스스포츠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교육적 발달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댄스와 스포츠의 고유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예술성이 풍부한 실내 스포츠인 동시에 생활체육의 한 분야로 정의되고 댄스스포츠의 본질이 전통에 대한 예의와 질서로 이루어진 도덕적 가치관을 지닌 인격표현의 선진형 윤리문화로 인식되고 있으며(강여주, 윤여탁, 2006), 다양하게 전개되는 예술 무용에서의 미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스포츠가 갖는 경쟁성과 기능성이 가미되면서 국제적으로 스포츠의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조미혜, 김무영, 2005).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기는 1995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가입하여 스포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면서 더욱 높아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7월 생활체육 종목과 같이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적용으로 건전한 생활체육으로 자리매김 하면서부터라고 볼 수 있다(이경숙, 성재형, 2009). 이러한 변화와 발전을 토대로 최근에는 댄스스포츠의 실제적 활동과 더불어 학문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댄스스포츠 참가 후에는 심리적 정서상태가 매우 향상되며, 일상생활에서 삶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긍정적인 사회방식을 가지게 되어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오현옥, 2007)는 점에서 댄스스포츠는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면 댄스스포츠 참가에 따라 여가만족, 직무만족, 생활만족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보고하였다(김동건, 이문숙, 2009), 김성희(2009). 김미경(2000)은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여가 중년 여성들 가운데 댄스스포츠 참여집단이 참여 전 보다 긴장, 피로감, 실망감 및 활력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댄스스포츠에 참가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이 우월함을 확인함으로써 댄스스포츠에 참가하는 것이 대상자들에 사회심리적 효과가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Lazarus & Folkman(1984)은 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응적 결과에 차이를 주는 것은 스트레스 자체보다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Glass(1979)에 의하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교실에서의 효과성, 나아가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되고, 직무 만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정향림(2004)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교육의 질도 낮아진다고 하였다. 이것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한편 적극적인 신체활동 및 여가활동은 스트레스라는 어두운 터널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탈출구 역할을 해 주며, 심리적인 안정감과 연결된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이 높다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양한 신체활동 중 댄스스포츠를 선정하는 이유는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적지 않은 운동량은 물론, 흥미를 가지고 즐길 수 있는 종목으로 스트레스를 해소(김윤경, 2002; 한지현, 2005; 정수정, 2007)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이상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
      김경란(2000)은 댄스스포츠는 활용성이 높은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박소희(2000)는 복잡한 일상생활로 얻어지는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어 활력 있는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김윤경(2002)은 중년 여성이 댄스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참여자는 비 참여자보다 스트레스 해소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는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댄스스포츠의 동기적 성향과 심리적 요인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여 지속적인 참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검사지를 활용한 연구들은 댄스스포츠의 참여여부, 동기 등과 몰입지속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초․중․고교 교원들의 댄스스포츠 참여 효과를 알아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원직무연수를 받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참여만족을 분석하고 교원들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댄스스포츠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교육적 발달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댄스와 스포츠의 고유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예술성이 풍부한 실내 스포츠인 동시에 생활체육의 한 분야로...

      댄스스포츠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교육적 발달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댄스와 스포츠의 고유한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예술성이 풍부한 실내 스포츠인 동시에 생활체육의 한 분야로 정의되고 댄스스포츠의 본질이 전통에 대한 예의와 질서로 이루어진 도덕적 가치관을 지닌 인격표현의 선진형 윤리문화로 인식되고 있으며(강여주, 윤여탁, 2006), 다양하게 전개되는 예술 무용에서의 미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스포츠가 갖는 경쟁성과 기능성이 가미되면서 국제적으로 스포츠의 지위를 인정받게 되었다(조미혜, 김무영, 2005).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기는 1995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가입하여 스포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면서 더욱 높아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7월 생활체육 종목과 같이 체육시설의 설치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적용으로 건전한 생활체육으로 자리매김 하면서부터라고 볼 수 있다(이경숙, 성재형, 2009). 이러한 변화와 발전을 토대로 최근에는 댄스스포츠의 실제적 활동과 더불어 학문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댄스스포츠 참가 후에는 심리적 정서상태가 매우 향상되며, 일상생활에서 삶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긍정적인 사회방식을 가지게 되어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오현옥, 2007)는 점에서 댄스스포츠는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면 댄스스포츠 참가에 따라 여가만족, 직무만족, 생활만족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보고하였다(김동건, 이문숙, 2009), 김성희(2009). 김미경(2000)은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여가 중년 여성들 가운데 댄스스포츠 참여집단이 참여 전 보다 긴장, 피로감, 실망감 및 활력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댄스스포츠에 참가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이 우월함을 확인함으로써 댄스스포츠에 참가하는 것이 대상자들에 사회심리적 효과가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Lazarus & Folkman(1984)은 스트레스를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정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응적 결과에 차이를 주는 것은 스트레스 자체보다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이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Glass(1979)에 의하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건강, 교실에서의 효과성, 나아가 교육전달체계의 효과성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되고, 직무 만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정향림(2004)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교육의 질도 낮아진다고 하였다. 이것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한편 적극적인 신체활동 및 여가활동은 스트레스라는 어두운 터널을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탈출구 역할을 해 주며, 심리적인 안정감과 연결된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이 높다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양한 신체활동 중 댄스스포츠를 선정하는 이유는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적지 않은 운동량은 물론, 흥미를 가지고 즐길 수 있는 종목으로 스트레스를 해소(김윤경, 2002; 한지현, 2005; 정수정, 2007)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이상적인 활동이기 때문이다.
      김경란(2000)은 댄스스포츠는 활용성이 높은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박소희(2000)는 복잡한 일상생활로 얻어지는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어 활력 있는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김윤경(2002)은 중년 여성이 댄스스포츠 참여가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참여자는 비 참여자보다 스트레스 해소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는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댄스스포츠의 동기적 성향과 심리적 요인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여 지속적인 참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검사지를 활용한 연구들은 댄스스포츠의 참여여부, 동기 등과 몰입지속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초․중․고교 교원들의 댄스스포츠 참여 효과를 알아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원직무연수를 받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참여만족을 분석하고 교원들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1
      • 3. 연구의 가설 4
      • 2. 이론적 배경 5
      • 1.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1
      • 3. 연구의 가설 4
      • 2. 이론적 배경 5
      • 1. 댄스스포츠의 효과 5
      • 2. 댄스스포츠의 종류 6
      • 3.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의 이해 7
      • 3.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9
      • 2. 연구진행예정 개요 9
      • 3. 측정도구 10
      • 4. 연구절차 11
      • 5. 자료분석 14
      • 4. 연구결과 15
      • 5. 논의 18
      • 6. 결론 21
      • 참고문헌 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