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의 사회적 가치로서 ‘타자중심윤리-책임’의 적합성과 함의 = Suitability & Implications of 'Others-centered Ethics-Responsibility' as Social Value of Multi-Cultur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3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read of multi-culturalism going on worldwide can be no exception to Korean society. Even in Korean society, the phenomenon of multi-culturalism is already generalized and this is coming close to us as an issue to be accepted. However, the realities are that the multi-culturalism, which has developed centering on Western society, stays at an 'identification strategy' in which it intends to assimilate a minority culture into a majority culture rather than creates a new synergy through the maximization of diversity and difference. Behind such a background lies a philosophical history expanding the concept of a pure principal agent starting from Descartes into absolute universality. The thing which expands the concept of 'I' and a principal agent into absolute universality was expanded even into a divine 'self' and absolute spirit which provide the existence itself in an absolute sense. That means going towards an absolute 'self' which never leaves any pattern of others behind except 'oneself.'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it's proper for principal-agent-centered ethics to convert themselves into others-centered ones in order to display ethical performance suited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thus, this research is intending to examine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for others as social value applicable for this purpose.
      번역하기

      The spread of multi-culturalism going on worldwide can be no exception to Korean society. Even in Korean society, the phenomenon of multi-culturalism is already generalized and this is coming close to us as an issue to be accepted. However, the realit...

      The spread of multi-culturalism going on worldwide can be no exception to Korean society. Even in Korean society, the phenomenon of multi-culturalism is already generalized and this is coming close to us as an issue to be accepted. However, the realities are that the multi-culturalism, which has developed centering on Western society, stays at an 'identification strategy' in which it intends to assimilate a minority culture into a majority culture rather than creates a new synergy through the maximization of diversity and difference. Behind such a background lies a philosophical history expanding the concept of a pure principal agent starting from Descartes into absolute universality. The thing which expands the concept of 'I' and a principal agent into absolute universality was expanded even into a divine 'self' and absolute spirit which provide the existence itself in an absolute sense. That means going towards an absolute 'self' which never leaves any pattern of others behind except 'oneself.'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it's proper for principal-agent-centered ethics to convert themselves into others-centered ones in order to display ethical performance suited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thus, this research is intending to examine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for others as social value applicable for this purp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다문화주의의 확산은 한국사회라고 예외일 수 없다. 한국사회에서도 다문화주의현상은 이미 일반화되고 있으며 또한 우리가 수용해야할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발달된 다문화주의는 다양성과 차이의 극대화를 통한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해 내기 보다는 다수의 문화에 소수의 문화를 동화시키고자 하는 ‘동일화 전략’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서구사회가 데카르트로부터 시작된 순수주체의 개념을 절대적 보편성으로 확장해간 철학적 역사가 자리 잡고 있다. ‘나’와 주체의 개념을 절대적 보편성으로 확장해 나가는 것은 존재 자체를 절대적인 의미에서 규정하는 신적 자아와 절대정신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그것은 자기 외에 어떤 유형의 타자도 남겨 놓지 않는 절대자아로 나아가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주체중심의 윤리가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는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윤리적 실천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를 타자중심의 윤리로 전환해야 함이 합당한 것이며 이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로서 타자에 대한 책임의 개념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번역하기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다문화주의의 확산은 한국사회라고 예외일 수 없다. 한국사회에서도 다문화주의현상은 이미 일반화되고 있으며 또한 우리가 수용해야할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다문화주의의 확산은 한국사회라고 예외일 수 없다. 한국사회에서도 다문화주의현상은 이미 일반화되고 있으며 또한 우리가 수용해야할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발달된 다문화주의는 다양성과 차이의 극대화를 통한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해 내기 보다는 다수의 문화에 소수의 문화를 동화시키고자 하는 ‘동일화 전략’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서구사회가 데카르트로부터 시작된 순수주체의 개념을 절대적 보편성으로 확장해간 철학적 역사가 자리 잡고 있다. ‘나’와 주체의 개념을 절대적 보편성으로 확장해 나가는 것은 존재 자체를 절대적인 의미에서 규정하는 신적 자아와 절대정신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그것은 자기 외에 어떤 유형의 타자도 남겨 놓지 않는 절대자아로 나아가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주체중심의 윤리가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는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윤리적 실천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를 타자중심의 윤리로 전환해야 함이 합당한 것이며 이를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로서 타자에 대한 책임의 개념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2 강성영, "현대 윤리학의 중심개념으로서 책임의 문제: 한스 요나스(Hans Jonas 1903-1993)의 책임의 윤리를 중심으로" 한신신학 연구소 39 : 5-24, 1998

      3 이진우,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윤리학" 11 : 273-297, 1991

      4 정상준, "포스트모더니즘, 실용주의 그리고 다문화주의" 미국학 연구소 323-342, 1997

      5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6 이유택,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 : 레비나스와 요나스를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17) : 63-94, 2008

      7 이남석, "차이의 정치-이제 소수를 위하여" 책세상 2001

      8 이수안, "지속 가능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로서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한국문화사회학회 7 (7): 87-114, 2009

      9 Etzioni, A., "좋은사회로 가는 길" 인간사랑 2007

      10 손봉호, "윤리학의 가치-누구를 위한 윤리인가?" 1999

      1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2 강성영, "현대 윤리학의 중심개념으로서 책임의 문제: 한스 요나스(Hans Jonas 1903-1993)의 책임의 윤리를 중심으로" 한신신학 연구소 39 : 5-24, 1998

      3 이진우,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윤리학" 11 : 273-297, 1991

      4 정상준, "포스트모더니즘, 실용주의 그리고 다문화주의" 미국학 연구소 323-342, 1997

      5 강영안, "타인의 얼굴; 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6 이유택, "책임에 관한 철학적 성찰 : 레비나스와 요나스를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 (17) : 63-94, 2008

      7 이남석, "차이의 정치-이제 소수를 위하여" 책세상 2001

      8 이수안, "지속 가능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로서 ‘상호관용’과 ‘상호보살핌’" 한국문화사회학회 7 (7): 87-114, 2009

      9 Etzioni, A., "좋은사회로 가는 길" 인간사랑 2007

      10 손봉호, "윤리학의 가치-누구를 위한 윤리인가?" 1999

      11 Badiou, Alain, "윤리학: 악에 대한 의식에 관한 에세이" 동문선 2001

      12 Levinas, E., "윤리와 무한" 다산글방 2000

      13 기종석, "요나스의 책임의 원리에 대한 고찰(1)"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 : 141-159, 1998

      14 설규주, "시민윤리로서 '피해자 중심 윤리'의 적합성과 그 시민교육적 함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123-164, 2004

      15 Levinas, E.,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16 김상봉, "서로주체성의 이념" 도서출판 길 2007

      17 김연숙,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인간사랑 2001

      18 고봉준, "공통적인 것의 생산, 혹은 출구로서의 윤리" 문화사회 82-101, 2008

      19 Levinas, E., "Wenn Gott ins Denken einfällt" München 1985

      20 Arendt, Hanna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21 Jonas, H., "The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22 Jonas, H., "Technik, Medezin und Ethik, Zur Praxis des Prinzips Verantwortung" Frankfurt am Main 1987

      23 Jonas, H., "Prinzip Vererantwortung. Zur Grundlegung einer Zukunftsethik. in: Naturethok. Grundtexte der gegenwärtigen tier-und ökoethischen Diskussion" Frankfurt am Main 1997

      24 Bauman, Z., "Postmodern Ethics" Basil Blackwell 1993

      25 Honecker, M., "Einführung in die Theologische Ethik" de Gruyter 1990

      26 Sterba, J. P., "Earth Ethics: Environmental Ethics, Animal Rights, and Practical Applications" Prentice Hall 1995

      27 Jonas, H., "Das Prinzip Verantwortung. Versuch einer Ethik für die technologische Zivilisation" Frankfurt am Main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