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에 짧은 생을 살다간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을 통하여 모음곡의 배경과 용도, 그리고 그의 음악 적 경향을 살펴봄으로서, 작곡자와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53814
2014
Korean
670
학술저널
53-79(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에 짧은 생을 살다간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을 통하여 모음곡의 배경과 용도, 그리고 그의 음악 적 경향을 살펴봄으로서, 작곡자와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
20세기에 짧은 생을 살다간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을 통하여 모음곡의 배경과 용도, 그리고 그의 음악 적 경향을 살펴봄으로서, 작곡자와 그의 음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사상적으로는 루터교의 음악적 상징주의를 기반으로, 바로크 이전시 대의 음악적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의 음악적 언어는 현대적이며 독창 적이다. 그가 사용한 음악적 형식은 주로 르네상스와 초기 바로크에서 보 이는 파르티타, 비치니움, 리체르카, 그리고 전원곡(pastoral)과 같은 형식 을 취하고 있고, 음악적 구조 역시 독립된 선율들의 대위적 짜임새와 더불 어, 디슬러의 독창적인 음악적 언어를 보이고 있다. 즉, 미분화된 리듬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오르간의 음색을 독특하게 사용하며, 정선율에서 새 소리를 모방하는 선율, 리듬적 특징을 보인다. 루터교 음악가로서 중요하게 간주되었던 요소는 음악적 상징주의인데, 이는 가사의 의미를 음형, 선율, 리듬 등의 음악적 요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디슬러는 쉼 표, 넓은 도약에 의한 특징적인 음형, 오르간의 음색 등을 통해 이러한 가 사에 대한 음악적 상징을 표현했다. 이러한 그의 음악은 철저히 루터교의 음악적 사상에 입각하여 작곡됨으로서 초기 바로크 작곡가 사무엘 샤이트의 음악적 이상을 추구하고 있다. 코랄 모음곡을 통하여 살펴본 디슬러의 음악적 특징 및 역사적 성취는 세 가지로 요약 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르네상스 음향의 구현, 두 번째는 전통적 형식에 덧입혀진 개인적 음악언어에 의한 독창성, 세 번째는 샤이트의 음악적 이상을 추구함으로서 이룩한교회음악의 개혁이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은 디슬러의 짧은 코랄 모음곡을 통하여, 그의 음악뿐만 아니라 작품의 배경 그리고 작곡자 자신의 음악세계를 논의함으로서 잘 알려지지 않고, 자료가 부족한 디슬러와 그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0th century, German organist, Hugo Distler(1908- 1942)'s music is known of Neo-Baroquecism in that his musical derived from the Renaissance and early Baroque periods', which are partita, ricercar, bicinium, and pastorale. In this, his musical lan...
The 20th century, German organist, Hugo Distler(1908- 1942)'s music is known of Neo-Baroquecism in that his musical derived from the Renaissance and early Baroque periods', which are partita, ricercar, bicinium, and pastorale. In this, his musical language is modern and personal. His melody imitate often bird song by dividing rhythm into small note-value and decoration. His music, like other Lutheran musician‘s in Germany, is based on Lutheran philosophy that music should be a instrument for delivering theology. Based on this idea, Distler suggested his unique musical-language with the traditional musical form. Through these musical features, it could be said for his contribution to the musical history that Distler realized Renaissance-sound through organ, and achieved the musical uniqueness by his musical language in the history of church music.
목차 (Table of Contents)
메리온 바우어(Marion Bauer, 1882-1955)의 피아노를 위한 실내악(Piano Chamber Music)에 관한 연구
윤이상의 중심음 기법의 발전:동아시아와 유럽 아방-가르드 음악의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