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여성 작곡가 메리온 바우어(Marion Bauer, 1882-1955)는 작곡 가이자 음악학자, 비평가 그리고 지도자로 근대 미국 음악의 발전과 보급 에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작곡가로서의 바우어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53813
2014
English
670
학술저널
1-52(5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의 여성 작곡가 메리온 바우어(Marion Bauer, 1882-1955)는 작곡 가이자 음악학자, 비평가 그리고 지도자로 근대 미국 음악의 발전과 보급 에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작곡가로서의 바우어에 대...
미국의 여성 작곡가 메리온 바우어(Marion Bauer, 1882-1955)는 작곡 가이자 음악학자, 비평가 그리고 지도자로 근대 미국 음악의 발전과 보급 에 큰 역할을 하였다. 현재 작곡가로서의 바우어에 대한 인지도는 부족하 지만, 그녀가 활동하던 시대에 바우어의 작품들은 매우 자주 연주 되었고 특히 피아노를 위한 실내악 작품들은 비평가 및 청중에게 호평을 받았다. 바우어의 작품들은 프랑스 유학의 영향으로 인상주의적 기법이 스며들어 있고, 해를 거듭 시대의 조류를 흡수함과 함께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 어법 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많은 과도기적 작곡가들이 그러하듯 이 바우어 역시 당시 진보적으로 느껴졌던 작곡 기법과 전통적 작곡기법 사이에서 고민한 흔적이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데, 주로 전통적인 형식의 틀 안에서 자유로운 화성, 다양한 리듬의 변형 및 동기적(motivic) 활용, 잦은 다이내믹과 아티큘레이션의 변화 등 초기 20세기 음악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바우어의 작곡 기법과 변천을 네 개의 대표적 피아노를 위한 실내악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초기의 작품에서는 프랑스 인상주의의 영향으로 인한 5음 음계 및 선법 선율과 함께 3전음 (Tritone), 두터운 화음과 텍스쳐의 사용 등 후기 낭만적인 기법을 혼용하고 있다.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경제적인 음악 재료의 사용, 형식의 간소화 등 후기 낭만주의적 요소가 배제된 초기 20세기의 전형적인 작곡 기법을 보여주며, 이와 함께 3화음 중심의 음악을 벗어나 완전 4도와 5도를 중심 으로 하는 조성 구성 및 화음의 빈번한 사용으로 바우어 자신만의 작품 세 계를 구축하고 있다. 바우어는 미국 근대 음악 역사에서 다음 세대로 가는 길을 닦아주는 중요한 과도기적 작곡가였으며, 그녀의 작품들에 관한 연구 는 앞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ion Bauer (1882-1955)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merican modern music. Today, Bauer is chiefly known as an author of the major music history and modern music books. Indeed, she is well recognized as an educator, lecture...
Marion Bauer (1882-1955)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merican modern music. Today, Bauer is chiefly known as an author of the major music history and modern music books. Indeed, she is well recognized as an educator, lecturer, critic and editor more than composer. Although she was very active as a composer throughout her lifetime, her compositions have rarely been performed in public since her death. Bauer's works contain various compositional style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uch as impressionism, twelve-tone technique and serialism. Her works reveal a steady progression from the Post-Romanticism with the thick chords, multi-layered texture and dramatic passages, which appeared in the 1920s and 1930s, to more Modernism with a spare and linear texture in her later years. Bauer's piano chamber music shows her individualized style, which includes various rends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such as the use of tritone as the motivic idea, quartal and quintal chords and so on. She tried to assimilate the new techniques and possibilities in her time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practice. Marion Bauer's compositions deserve more attention considering her contribution to American modern music. Since some of the manuscripts and are still missing and the documents about her are few and unsatisfying, Bauer's chamber pieces are worthy of further examination in the future. With more musicological research, they should be reevaluated in the piano chamber music literature and performed more often.
목차 (Table of Contents)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 모음곡의 배경과 특징, 디슬러 음악의 역사적 위치
윤이상의 중심음 기법의 발전:동아시아와 유럽 아방-가르드 음악의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