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시대에서 고전시대로 넘어오면서 시대적인 가치관과 음악적 스타 일도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개량으로 표현력이 향 상된 악기들에 대한 높아진 기대에 부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53815
2014
Korean
670
학술저널
81-114(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바로크 시대에서 고전시대로 넘어오면서 시대적인 가치관과 음악적 스타 일도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개량으로 표현력이 향 상된 악기들에 대한 높아진 기대에 부응...
바로크 시대에서 고전시대로 넘어오면서 시대적인 가치관과 음악적 스타 일도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이올린족 악기들의 개량으로 표현력이 향 상된 악기들에 대한 높아진 기대에 부응하고, 베이스 음과 배음들을 동시 에 울리는 풍성한 음향을 낼 수 있으며, 다채로운 다이나믹의 변화가 필요 한 고전시대 음악적 스타일을 소화할 수 있는 건반악기를 발명하고자 하는 노력은 17세기말부터 18세기까지 유럽 전역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력 의 결과 탄생한 것이 타현 건반악기인 ‘포르테피아노’이다. 타현 건반악기 에 대한 17세기 이전의 연구는 1440년에 작성된 프랑스 아르노(Arnaut) 의 필사본, 1598년 이탈리아 페라라 궁정의 크리카(Cricca)가 적은 두 개 의 편지, 1587년에 타현 건반악기로 개조된 보나피니 스피네토(Bonafinis spinettino) 등의 문헌과 악기 형태로 남아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타현 건 반악기의 시작은 이탈리아의 크리스토포리의 발명품 Gravecembalo col piano e forte으로 간주된다. 해머가 건반을 때린 후 돌아오는 이탈장치, 현의 울림을 멎게 해주는 댐퍼, 해머가 현을 때린 후 머무는 첵 등의 구조 로 해머 액션을 완성시킨 크리스토포리의 포르테피아노는 1700년 이전에 발명되었다. 이는 이베리아 반도로 전파되어 포르투갈과 스페인에서 늦어 도 1740년대부터 자체적으로 포르테피아노를 제작하였다. 1717년 독일의 슈뢰터 등은 건반이 장착된 개량된 덜시머인 ‘판탈롱’을 만들었다. 1732년 독일의 질버만은 크리스토포리 피아노의 원리를 들여와 자체적으로 포르테 피아노를 제작하면서 성능을 개량하였다. 이들의 포르테피아노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영국, 프랑스, 비엔나로 퍼져나가면서 본격적인 피아노의 시대를 열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the turning point from Baroque to Classic era, periodical value and musical styles had been changed. The effort to invent a new keyboard instrument was made around the Europe during 17th and 18th centuries. The new instrument may satisfy the height...
At the turning point from Baroque to Classic era, periodical value and musical styles had been changed. The effort to invent a new keyboard instrument was made around the Europe during 17th and 18th centuries. The new instrument may satisfy the heightened expectation of expression resulted from the perfection of violin family in Baroque era; may produce the artistic effect of blended harmony by a sustained bass and added overtones; and may able to manage Classical style music that requires various dynamic changes. The answer was 'fortepiano' with striking hammer action. The researches on striking keyboard instrument had been executed as early as in 1440: the manuscript of Arnaut written in 1440, two letters by Cricca of the court of Ferrara in 1598, and Bonafinis spinettino which was refitted with striking tangents in 1587. However, the real start of striking keyboard instrument is Christofori's Gravecembalo col piano e forte. Christofori invented the structure of hammer action including escapement, damper, check, and many other devices before 1700. It was disseminated to Iberia where fortepiano was manufactured at least from 1740s. In 1717, Schröter in Germany invented pantalon(a kind of dulcimer) with keyboard and it is called as 'pantalon' as well. Silbermann in Germany made fortepiano with Christofori's hammer action in 1732, named 'piano-forte,' and improved its performance. These diverse fortepianos moved into a new epoch of piano through dissemination to England, France, and Vienna influencing each other.
목차 (Table of Contents)
메리온 바우어(Marion Bauer, 1882-1955)의 피아노를 위한 실내악(Piano Chamber Music)에 관한 연구
휴고 디슬러(Hugo Distler, 1908-1942)의 코랄 모음곡 Op. 8-3: 모음곡의 배경과 특징, 디슬러 음악의 역사적 위치
윤이상의 중심음 기법의 발전:동아시아와 유럽 아방-가르드 음악의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