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70282
2015
Korean
노인무용 ; 무용교육 ; 신체활동 ; 치유 ; 메커니즘 ; Senior Dance ; Dance Education ; Art Activity ; Healing ; Mechanism
310
KCI등재
학술저널
114-121(8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복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무용분야 수혜기관으로 선정된 노인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7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복지사들은 노인무용교육을 단순한 신체활동 보다는 정서, 인지, 정신, 사회적 예술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긍정적 정서와 인지력을 자극하여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삶의 만족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무용 교육은 개인과 공동체간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질을 점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치유적 예술활동이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ducational effect and healing action of senior dance by approaching the experiential awareness of the social workers in phenomenological ways. The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re 7 social workers at Ins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ducational effect and healing action of senior dance by approaching the experiential awareness of the social workers in phenomenological ways. The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re 7 social workers at Institute of Social Welfare of the Elderly Welfare in 2014 selected from ARTE Culture and Ar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Project as beneficiary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The materials and data of this study have been collected through 1 to 1 in-dept interviews with them. As a result, social welfare workers were recognizing senior dance education as emotional, recognizable, mental, social art activities rather than simple physical activities. And the senior citizens stimulate individual positive emotions and cognitive and have given feedback on and on. So, snowball effect that satisfactory feel of our lives get increased occurs. Finally, senior dance education provided at welfare institutions can be considered healing art activity to improve quality of life gradually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amo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선,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 검증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129-143, 2010
2 김형수,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 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36-245, 2013
3 김자영, "창작무용이 노인의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0 (20): 119-133, 2009
4 이주연,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14 (14): 145-165, 2008
5 설기문, "자연치유로서의 최면" 3 (3): 99-107, 2014
6 김현준, "우리춤체조가 노인여성의 체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2 (22): 101-115, 2011
7 박정희, "여성노인의 한국무용을 통한 사회 참여" 6 (6): 95-105, 2006
8 최재희, "생활무용참여 노인의 참여 동기, 여가만족, 생활만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71 (71): 151-174, 2013
9 김선, "생활무용참여 노인의 자기 효능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30 (30): 175-191, 2013
10 하경분,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78-289, 2013
1 최선, "한국무용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 검증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129-143, 2010
2 김형수,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 1990년∼2010년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36-245, 2013
3 김자영, "창작무용이 노인의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0 (20): 119-133, 2009
4 이주연,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14 (14): 145-165, 2008
5 설기문, "자연치유로서의 최면" 3 (3): 99-107, 2014
6 김현준, "우리춤체조가 노인여성의 체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교육학회 22 (22): 101-115, 2011
7 박정희, "여성노인의 한국무용을 통한 사회 참여" 6 (6): 95-105, 2006
8 최재희, "생활무용참여 노인의 참여 동기, 여가만족, 생활만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71 (71): 151-174, 2013
9 김선, "생활무용참여 노인의 자기 효능감,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 30 (30): 175-191, 2013
10 하경분,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78-289, 2013
11 구인자, "노인의 사회무용참여와 사회적 연결망, 사회적 지지 및 건강과의 관계" 29 : 7-20, 2001
12 이한준, "노인여성의 6개월간 생활무용 참가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31 (31): 197-210, 2014
13 김윤배, "노인복지관 실버타운의 기관혁신활동에 관한 비교연구" 1 (1): 1-24, 2012
14 조용란, "노인교실 예술활동 프로그램의 참여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23-49, 2013
15 이윤경, "노인 생활무용 참가에 따른 우울증 및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1 (1): 1-19, 2010
16 K. Cross, "The Effect of Passive Listening Versus Active Observation of Music and Dance Performances on Memory Recognition and Mild to Moderate Depression in Cognitively Impaired Older Adults" 111 : 413-423, 2012
17 R. Aldrich, "The Ageing Demographic Transition : The Impact on Elderly and Social Workers" 22 (22): 4-12, 2010
18 J. L. M. Liddle, "Purpose and Pleasure in Late Life : Conceptualising Older Women's Participation in Art and Craft Activities" 27 (27): 330-338, 2013
19 A.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20 K. Thornberg, "Experiences of Healthy Elderly Participating in a Creative Dance Workshop" 14 : 71-77, 2012
21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1981
22 C. F. Berrol, "Dance/movement Therapy with Older Adults who have Sustained Neurological Insult" 19 (19): 135-160, 1997
23 I. Brauninger, "Dance Movement Therapy with the Elderly : An International Internet-Based Survey Undertaken with Practitioners" 9 (9): 138-153, 2014
24 I. Brauninger, "Dance Movement Therapy with the Elderly : An International Internet-Based Survey Undertaken with Practitioners" 9 (9): 138-153, 2014
25 H. S. Wen, "Applying a Creative Art Activity in Care : Report on an Experience with a Newly Admitted Resident" 61 (61): 104-110, 2014
26 홍예주, "12주간 한국무용 참여가 여성노인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용역사기록학회 23 (23): 199-214, 2011
27 정진욱, "12주 한국무용프로그램이 당뇨 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체력,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259-280, 2011
부사관의 역할스트레스가 소진, 우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대학생의 혈액 및 체액 노출실태, 감염예방 표준주의 지식, 인지도 및 수행도
간호정보학 이해를 위한 영화 ‘The Island’ 활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