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글로벌은행들이 미국의 서브프라임위기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였으며 금융충격의 국제적 전파경로에 있어서 글로벌은행들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4562
-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은행들이 미국의 서브프라임위기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였으며 금융충격의 국제적 전파경로에 있어서 글로벌은행들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은행들이 미국의 서브프라임위기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였으며 금융충격의 국제적 전파경로에 있어서 글로벌은행들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서브프라임위기가 발생하자 글로벌은행들은 급격히 국제적 자산을 축소시켰으며, 특히 유럽계은행과 미국계은행들이 이러한 자산축소 움직임을 주도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부실대출(NPL)의 증가 및 자기자본비율의 감소로 나타난 미국에서의 금융충격은 글로벌은행들의 국제신용공여 경로를 통해 외국에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은행들의 국제자산 변동이 미국 서브프라임위기와 관련된 공급요인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외국현지의 경기변동관련 경제기초나 미국과의 무역규모에 의해 결정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국제적으로 적극적인 은행들에 대한 국제적 금융감독과 금융감독의 국제공조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뒷받침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 subprime crisis transmitted to other countries and grew into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global banks responded to the US subprime crisis and what their role was in the international shock transmission. ...
The US subprime crisis transmitted to other countries and grew into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is paper, I investigate how global banks responded to the US subprime crisis and what their role was in the international shock transmission. First, I found that, after the subprime crisis, global banks dramatically contracted their cross-border claims, and European banks as well as US banks led the declined lending activity to foreign countries. I also found that the banking shocks in the United States captured by increased non-performing loans as well as declined capital ratio transmitted throughout foreign economies via international lending activity by global bank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US bank claims to foreign markets have been mainly driven by suppl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 subprime crisis, rather than by cyclical fundamentals in local economies as well as by trade linkage between US and local economies. This analysis suggests that we need to improve cross-border supervision of globally active banks and enhance coordination among national supervis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