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탄수화물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배 과피와 과심의 항산화 생리활성 증대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0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Pyrus pyrifolia)의 과피와 과심에 복합효소처리 의해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의 과피와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를 처리할 경우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배(Pyrus pyrifolia)의 과피와 과심에 복합효소처리 의해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의 과피와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를 처리할 경우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심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Pectinex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증대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배의 과피와 과심에 Pectinex로 처리하였을 때 높은 환원당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총당 함량은 대부분의 효소처리군에서 증가하여 효소에 의해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당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의 과피에 Viscozyme으로 처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이 가장 높은 증대효과를 보였다. 또한 과심에 Celluclast로 처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Ultraflo 처리군을 제외한 나머지 효소처리군에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처리 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고 SOD 유사활성은 모두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의 과피와 과심에 탄수화물 분해 복합효소를 처리함으로써 고형분, 환원당 및 항산화 물질의 추출률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various complex carbohydrases such as Pectinex, Celluclast, Viscozyme, and Ultraflo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polyphenol extraction yiel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 peel and pear core were investigated. W...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various complex carbohydrases such as Pectinex, Celluclast, Viscozyme, and Ultraflo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polyphenol extraction yiel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 peel and pear core were investigated. When pear peel and pear core were treated with complex carbohydrases,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peel increased, whereas i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pear core. When pear peel and pear core were treated with Pectinex, significant improvement of soluble solid content was observed along with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of reducing sugar content. Total sugar content increased in most of the enzyme treatment groups. In the case of pear peel, the Viscozyme treatment group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When the flesh and core of pear were treated with Celluclast, total polyphenol contents increased. All enzyme treatment groups except for the Ultraflo treatment group showed increases in total flavonoid contents. With regard to pear flesh, the Celluclast group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en pear core was treated with the four complex carbohydras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However, the SOD-like activity of all enzyme treatment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Consequently, dry matter and soluble solid contents,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ar peel and core could be improved by complex carbohydrase trea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숙, "효소처리와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 특성 변화 연구"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4 (14): 235-242, 2010

      2 노정해, "효소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482-1485, 2007

      3 윤선주, "효소처리에 의한 천도복숭아 음료의 기능성 증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79-1383, 2010

      4 김용두, "효소처리에 의한 이용한 유자 고미성분 제거의 최적 조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53-56, 2004

      5 채희정, "효소 처리와 유산균 배양에 의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향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660-664, 2011

      6 권상철, "황기 효소분해물 열수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06-413, 2010

      7 張云彬, "한국산 배의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화합물의 함량 및 성분변화와 항산화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15-120, 2003

      8 최희진, "한국산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이 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303-310, 2003

      9 최희진, "한국산 배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분획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299-304, 2004

      10 안봉전,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92-95, 2004

      1 이은숙, "효소처리와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 특성 변화 연구"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4 (14): 235-242, 2010

      2 노정해, "효소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482-1485, 2007

      3 윤선주, "효소처리에 의한 천도복숭아 음료의 기능성 증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79-1383, 2010

      4 김용두, "효소처리에 의한 이용한 유자 고미성분 제거의 최적 조건"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53-56, 2004

      5 채희정, "효소 처리와 유산균 배양에 의한 흑마늘의 항산화 활성 향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660-664, 2011

      6 권상철, "황기 효소분해물 열수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406-413, 2010

      7 張云彬, "한국산 배의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화합물의 함량 및 성분변화와 항산화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15-120, 2003

      8 최희진, "한국산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이 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303-310, 2003

      9 최희진, "한국산 배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분획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299-304, 2004

      10 안봉전, "한국산 배과피 폴리페놀 분획군의 생리활성효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92-95, 2004

      11 張云彬,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의 구조결정" 한국식품과학회 35 (35): 959-967, 2003

      12 조철희, "포도 송이가지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의 추출 및 항산화 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1 (51): 11-16, 2008

      13 김순동, "키토산-아스코베이트의 용해성, 항산화성 및 항균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973-978, 2006

      14 이상한, "천마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83-87, 2006

      15 이철희,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 24 (24): 253-259, 2011

      16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17 최현석,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된 배의 과실품질과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환경농학회 29 (29): 367-373, 2010

      18 김지은, "용매 종류와 효소 처리에 따른 쓴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989-995, 2009

      19 황인국, "열처리 조건에 따른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즙의이화학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8 (38): 342-347, 2006

      20 최선주, "세포벽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연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한국생물공학회 24 (24): 579-583, 2009

      21 박연옥, "배즙과 배 건조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692-699, 2011

      22 송원섭, "배 품종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498-503, 2012

      23 강병선, "동결건조 천안재배 신고배 스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데치기 용액의 당농도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324-329, 2012

      24 인만진, "김치에서 신규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균주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배 발효물의 제조" 한국응용생명화학회 53 (53): 51-55, 2010

      25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26 Kim H.,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tea by the treatment of enzyme and Lactobacillus"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2008

      27 Kim JB., "Story of our pea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18-22, 2003

      28 Fisher RB, "Role of cell wall hydrolase in fruit ripening" 42 : 675-703, 1991

      29 Challice JS, "Phenolic compounds of the genus Pyrus-Ⅱ : A chemotaxonomic survey" 7 : 1781-1801, 1968

      30 Labuza TP, "Kine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2 : 355-405, 1971

      31 An E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pear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eels and fleshes of pea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32 KFN.,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nutrition part)"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85-286, 2000

      33 Dubois M,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28 : 350-356, 1956

      34 Sohn KS, "Clarific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using enzyme treatment" 6 : 241-247, 2002

      35 Jin JY., "Antioxidant and skin care activities relative to cultivar and growth time of Pyrus spp"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2

      36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37 Park HJ., "A study on the survey of consumer preference and their satisfaction for the functional food made from pear" Dongshin University 2007

      38 김현구, "1. 에탄올 농도에 따른 머루(Wild Grape, Vitis coignetiae)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491-149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