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말·일제시기 소의학교의 운영과 천주교회의 인수 = The operation of So-ui School during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and Japanese periods and the acceptance of the Catholic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2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duc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during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was a "primary school centered on churches" system in accordance with Bishop Mutel's ministry policy. However, in the 1890s,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able to seiz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 vocational school and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Korean Empire government's willingness to establish a moder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but it failed due to the failure to invite a monk in charge of education. Since then, the Catholic Church was able to establish the Benedictine Soongshin School and Soonggong School, which were established in 1909 when Japanese colonial rule accelerated. It was also temporarily closed due to the Japanese oppres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iocese of Wonsan.
      Since then, the establishment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not possible until the 1920s. In 1922, the Diocese of Seoul, acquired Soui Commercial School, the predecessor of current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and was able to escape from elementary education. However, in the history of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predecessors, So-ui School and Soui Commercial School, were not well revealed.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oui School in 1908, the reorganization process into Soui Commercial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Soui Commercial School in the Diocese of in 1922.
      In 1908, private small schools were established with the efforts of intellectuals and merchants outside Seosomun to boost education, as were other private school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after the forced signing of Japan-Korea Treaty of 1905 in 1905.
      Soui School had financial difficulties as it was operated only with basic funds and donations under the goal of national education, which is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In addition, the operation was not smooth due to Japanese regulations on private schools.
      In the 1910s,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Soui School continued, but with the help of Bang Kyu-hwan and Fukushima Fukunosuke, who were engag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e school was reorganized into Soui Commercial School and was able to continue its operation. However, in the 1920s, financial difficulties reached a serious level and failed to prevent school closures. At that time, principal Bang Kyu-hwan sought the acquisition of the school the Diocese of Seoul, and in 1922, the Diocese of Seoul, with the help of Catholic keepers, was able to lead to the current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through Namdaemun Commercial School and Dongsung Commercial School. Through this article, I hop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know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번역하기

      The educ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during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was a "primary school centered on churches" system in accordance with Bishop Mutel's ministry policy. However, in the 1890s, the Korean Ca...

      The educ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during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was a "primary school centered on churches" system in accordance with Bishop Mutel's ministry policy. However, in the 1890s,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able to seiz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 vocational school and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Korean Empire government's willingness to establish a moder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but it failed due to the failure to invite a monk in charge of education. Since then, the Catholic Church was able to establish the Benedictine Soongshin School and Soonggong School, which were established in 1909 when Japanese colonial rule accelerated. It was also temporarily closed due to the Japanese oppress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iocese of Wonsan.
      Since then, the establishment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was not possible until the 1920s. In 1922, the Diocese of Seoul, acquired Soui Commercial School, the predecessor of current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and was able to escape from elementary education. However, in the history of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predecessors, So-ui School and Soui Commercial School, were not well revealed. Therefore, this article looked 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oui School in 1908, the reorganization process into Soui Commercial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Soui Commercial School in the Diocese of in 1922.
      In 1908, private small schools were established with the efforts of intellectuals and merchants outside Seosomun to boost education, as were other private schools established with the aim of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after the forced signing of Japan-Korea Treaty of 1905 in 1905.
      Soui School had financial difficulties as it was operated only with basic funds and donations under the goal of national education, which is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In addition, the operation was not smooth due to Japanese regulations on private schools.
      In the 1910s,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Soui School continued, but with the help of Bang Kyu-hwan and Fukushima Fukunosuke, who were engag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the school was reorganized into Soui Commercial School and was able to continue its operation. However, in the 1920s, financial difficulties reached a serious level and failed to prevent school closures. At that time, principal Bang Kyu-hwan sought the acquisition of the school the Diocese of Seoul, and in 1922, the Diocese of Seoul, with the help of Catholic keepers, was able to lead to the current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through Namdaemun Commercial School and Dongsung Commercial School. Through this article, I hop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know the origi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Dongsung Middle and High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말·일제시기 한국천주교회의 교육은 뮈텔 주교의 사목 방침에 따른 ‘성당을 중심으로 하는 소학교’ 체제였다. 1890년대 한국천주교회는 대한제국 정부의 근대 고등교육 기관 설립의 의지에 따라 실업학교, 고등교육 기관 설립이라는 기회를 잡을 수 있었지만, 교육을 담당해줄 수도회 초빙 실패로 무산되었다. 이후 천주교회는 일제의 식민 지배가 가속화되던 1909년에서야 일제의 사립학교 통제정책에 따른 대응 차원에서 설립된 베네딕도회의 숭신학교, 숭공학교를 설립할 수 있었다. 그것도 얼마 지나지 않아 일제의 탄압과 원산 대목구 설정에 따라 각각 폐교되고 말았다.
      한국천주교회의 상급교육 기관 설립은 1920년대에 이르러서야 가능하였다. 1922년 서울 대목구가 지금의 동성중·고등학교의 전신인 소의상업학교를 인수하면서 초등교육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동성중·고등학교의 역사 속에서 전신인 소의학교, 소의상업학교가 잘 드러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이 글은 1908년 소의학교의 설립과 운영, 일제시기 소의상업학교로의 개편 과정 그리고 1922년 서울 대목구의 소의상업학교 인수과정을 살펴보았다.
      1908년 사립 소의학교는 1905년 을사보호조약 강제 체결 이후 국권 회복을 목표로 설립된 여타 사립학교가 그러하였듯이, 교육 진작을 위해 서소문 밖 지식인과 상인들의 노력으로 설립되었다. 소의학교는 설립 취지인 국민교육이라는 목표 아래 기본금과 기부금으로만 운영하다 보니 재정적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일제의 사립학교 규제로 운영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1910년대 소의학교의 재정적 어려움은 계속되었지만, 약종업에 종사하던 방규환과 후쿠시마 후쿠노스케의 도움으로 소의상업학교로 개편하며 학교 운영을 계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20년대 들어서 재정적 어려움은 심각한 수준으로 다다랐고, 폐교를 막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때 교장 방규환이 서울 대목구에 학교 인수를 타진하게 되었고, 1922년 서울 대목구가 천주교 유지인사들의 도움으로 인수하기에 이르러 남대문상업학교, 동성상업학교를 거쳐 지금의 동성·중고등학교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해 동성중·고등학교의 기원과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번역하기

      한말·일제시기 한국천주교회의 교육은 뮈텔 주교의 사목 방침에 따른 ‘성당을 중심으로 하는 소학교’ 체제였다. 1890년대 한국천주교회는 대한제국 정부의 근대 고등교육 기관 설립의 의...

      한말·일제시기 한국천주교회의 교육은 뮈텔 주교의 사목 방침에 따른 ‘성당을 중심으로 하는 소학교’ 체제였다. 1890년대 한국천주교회는 대한제국 정부의 근대 고등교육 기관 설립의 의지에 따라 실업학교, 고등교육 기관 설립이라는 기회를 잡을 수 있었지만, 교육을 담당해줄 수도회 초빙 실패로 무산되었다. 이후 천주교회는 일제의 식민 지배가 가속화되던 1909년에서야 일제의 사립학교 통제정책에 따른 대응 차원에서 설립된 베네딕도회의 숭신학교, 숭공학교를 설립할 수 있었다. 그것도 얼마 지나지 않아 일제의 탄압과 원산 대목구 설정에 따라 각각 폐교되고 말았다.
      한국천주교회의 상급교육 기관 설립은 1920년대에 이르러서야 가능하였다. 1922년 서울 대목구가 지금의 동성중·고등학교의 전신인 소의상업학교를 인수하면서 초등교육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동성중·고등학교의 역사 속에서 전신인 소의학교, 소의상업학교가 잘 드러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이 글은 1908년 소의학교의 설립과 운영, 일제시기 소의상업학교로의 개편 과정 그리고 1922년 서울 대목구의 소의상업학교 인수과정을 살펴보았다.
      1908년 사립 소의학교는 1905년 을사보호조약 강제 체결 이후 국권 회복을 목표로 설립된 여타 사립학교가 그러하였듯이, 교육 진작을 위해 서소문 밖 지식인과 상인들의 노력으로 설립되었다. 소의학교는 설립 취지인 국민교육이라는 목표 아래 기본금과 기부금으로만 운영하다 보니 재정적 어려움이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일제의 사립학교 규제로 운영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1910년대 소의학교의 재정적 어려움은 계속되었지만, 약종업에 종사하던 방규환과 후쿠시마 후쿠노스케의 도움으로 소의상업학교로 개편하며 학교 운영을 계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20년대 들어서 재정적 어려움은 심각한 수준으로 다다랐고, 폐교를 막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때 교장 방규환이 서울 대목구에 학교 인수를 타진하게 되었고, 1922년 서울 대목구가 천주교 유지인사들의 도움으로 인수하기에 이르러 남대문상업학교, 동성상업학교를 거쳐 지금의 동성·중고등학교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해 동성중·고등학교의 기원과 변천 과정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김정환, "한말·일제강점기 뮈텔 주교의 교육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56) : 7-41, 2011

      3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4 최기영, "한국근대계몽운동연구" 일조각 1997

      5 조영관, "한국 가톨릭계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8

      6 "조선일보"

      7 최용록, "조선에서의 학교 설립을 위한 보고서" 384 : 2007

      8 김경미, "일제하 사립중등학교의 위계적 배치" 한국교육사학회 26 (26): 31-48, 2004

      9 박보영, "일제 초기 사립교육령과 독일 선교사들의 실업교육 활동" 대구사학회 140 : 137-169, 2020

      10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6 (16): 145-174, 2015

      1 "황성신문"

      2 김정환, "한말·일제강점기 뮈텔 주교의 교육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56) : 7-41, 2011

      3 오천석,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4 최기영, "한국근대계몽운동연구" 일조각 1997

      5 조영관, "한국 가톨릭계 중등학교 종교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8

      6 "조선일보"

      7 최용록, "조선에서의 학교 설립을 위한 보고서" 384 : 2007

      8 김경미, "일제하 사립중등학교의 위계적 배치" 한국교육사학회 26 (26): 31-48, 2004

      9 박보영, "일제 초기 사립교육령과 독일 선교사들의 실업교육 활동" 대구사학회 140 : 137-169, 2020

      10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6 (16): 145-174, 2015

      11 이기훈, "식민지 학교 공간의 형성과 변화-보통학교를 중심으로-" 17 : 2007

      12 최기영, "사회진화론" 일조각 25 : 1999

      13 "뮈텔 주교 일기"

      14 김정환, "뮈텔 일기 연구" 내포교회사연구소 2015

      15 "매일신보"

      16 "동아일보"

      17 동성중·고등학교, "동성80년사" 1987

      18 동성중·고등학교, "동성100년사" 2011

      19 "대한매일신보"

      20 한우희, "근대한국초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 1998

      21 "경향잡지"

      22 輔仁七十年史編纂委員會, "輔仁七十年史" 1978

      23 이광린, "舊韓末의 官立外國語學校에 對하여" 20 : 1964

      24 이광린, "育英公院의 設置와 그 變遷에 對하여" 6 : 1963

      25 이윤갑, "日帝下의 近代敎育論과 植民地 敎育文化" 10 : 1999

      26 장규식, "1920년대 학생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27 윤선자, "1910년대 일제의 종교규제법령과 조선천주교회의 대응" 6 :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