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의 교훈성이라는 주제에 주목해서 종교적 실천의지라는 강력한 교훈성을 담보하 는 불교동화에 주목하였다. 인도·중국·한국·삼국은 그 문화의 전파와 변용에서 세계 문학사에서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65019
2014
Korean
학술저널
5-2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설화의 교훈성이라는 주제에 주목해서 종교적 실천의지라는 강력한 교훈성을 담보하 는 불교동화에 주목하였다. 인도·중국·한국·삼국은 그 문화의 전파와 변용에서 세계 문학사에서 시�...
설화의 교훈성이라는 주제에 주목해서 종교적 실천의지라는 강력한 교훈성을 담보하 는 불교동화에 주목하였다. 인도·중국·한국·삼국은 그 문화의 전파와 변용에서 세계 문학사에서 시대와 사회를 넘나드는 중요한 콘텐츠를 지닌다. 그래서 세 나라의 불교동 화 비교 연구는 다른 여타 장르가 갖지 못한 진실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첫 단계로 먼저 세 나라의 불교동화를 불교설화라는 지평 위에 나란히 놓고 비교 검토하였다. 인도의 불교설화는 부처님의 탄생과 가르침이 주된 화소로 부처님은 인간에게 죽음과 생명, 선과 악의 대립을 강조하고 탐욕과 교만, 냉정한 마음을 질타한다. 중국의 불교설 화는 윤회와 전생이 강조되고 보은담을 통해 선업을 조장한다. 신선, 변신, 마술 등 도 교 사상과의 습합이 보이고 불경과 학문 등의 인간의 능력을 드러낸다. 한국 불교설화 는 모름지기 인간들의 이야기로 이제 부처님이 오시는 것이 아니고 인간이 부처가 되어 가고 있다. 삼국의 설화가 구조면에서는 비교와 대조 등의 탄탄한 구성으로 구술성이 가지는 생명력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인도의 악녀와 마녀가 중국에서는 아름다운 공주가 되고 한국에서는 구도자의 길을 밝히는 어머니로 변신하는 발전은 무척 흥미롭 다. 동화로 읽기 전에 이미 불교설화는 종교적 교훈성을 담보하고 있으나 나아가 동화 로서의 관찰은 더욱 더 깊이 있는 정신적 의지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쉼터 거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우리나라 초등학교 안전 교육에 관한 실태 및 대책 - 일본과 대비하여 -
지역사회 자원봉사 활동 참여 증진 방안 연구 -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의식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