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안근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를 위한 Maindot 검사의 적합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11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Maindot 검사의 외안근의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의 적합성 유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평균나이 15.48(±3.23)세, 교정시력이 0.9 이상이고 양안시 및 조절기능이 정상인 14명의 정위 안(남 8명, 여 6명)과 교정시력과 조절기능은 정상이나 원, 근거리 편위량이 10PD를 초과하고, 시기능훈련 을 10주간 성실히 수행한 훈련자 19명의 간헐성 외사시안(남 11명, 여 8명)을 대상으로 훈련 전, 종료직후 및 종료 후 6, 12개월 간의 타각 및 자각증상 그리고 고안한 Maindot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Maindot 검사와 자각증상의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높을수록 자각증상(복시) 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01), 타각검사값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향상될수록 편위량은 줄고, PRC의 복시점은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정하였다 (p<0.001).
      결 론: 운동 및 자각증상과 상관성을 가지는 양안시 고유수용감각능력검사인 Maindot 검사는 시기능 훈련 성공유무 판단 및 예후 그리고 자각증상 예측에 있어 검사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목 적: Maindot 검사의 외안근의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의 적합성 유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평균나이 15.48(±3.23)세, 교정시력이 0.9 이상이고 양안시 및 조절기능이 정상인 14명의 정위 ...

      목 적: Maindot 검사의 외안근의 고유수용감각 수준 평가의 적합성 유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평균나이 15.48(±3.23)세, 교정시력이 0.9 이상이고 양안시 및 조절기능이 정상인 14명의 정위 안(남 8명, 여 6명)과 교정시력과 조절기능은 정상이나 원, 근거리 편위량이 10PD를 초과하고, 시기능훈련 을 10주간 성실히 수행한 훈련자 19명의 간헐성 외사시안(남 11명, 여 8명)을 대상으로 훈련 전, 종료직후 및 종료 후 6, 12개월 간의 타각 및 자각증상 그리고 고안한 Maindot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Maindot 검사와 자각증상의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높을수록 자각증상(복시) 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01), 타각검사값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이 향상될수록 편위량은 줄고, PRC의 복시점은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정하였다 (p<0.001).
      결 론: 운동 및 자각증상과 상관성을 가지는 양안시 고유수용감각능력검사인 Maindot 검사는 시기능 훈련 성공유무 판단 및 예후 그리고 자각증상 예측에 있어 검사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is suitability study of the level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sense about extraocular muscle with Maindot test.
      Method: A mean age is 15.48(±3.23), 14 persons(11 men, 8 women)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9 or higher and the normal binocular vision and control, and intermittent exotropia of 19 persons(11 men, 8 women) with the far and near deviation is 10PD(Prism Diopter) or more despite normal visual acuity and binocular vision, are evaluated by using Maindot test, training before and after, 6 and 12 months after training.
      Resul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Maindot test and subjective symptoms is that the high proprioceptive sense's ability is tended to decreasing subjective symptoms(diplopia)(p<0.001).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 objective refraction is that high binocular proprioceptive sense's ability is tend to deviation's decrease and PRC's increase(p<0.001).
      Conclusions: Having been correlated the movements and subjective symptoms, Maindot test provide optometrist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check on successful vision training, prognosis and the predict subject symptoms.
      번역하기

      Purpose: This is suitability study of the level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sense about extraocular muscle with Maindot test. Method: A mean age is 15.48(±3.23), 14 persons(11 men, 8 women)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9 or higher and the nor...

      Purpose: This is suitability study of the level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sense about extraocular muscle with Maindot test.
      Method: A mean age is 15.48(±3.23), 14 persons(11 men, 8 women)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9 or higher and the normal binocular vision and control, and intermittent exotropia of 19 persons(11 men, 8 women) with the far and near deviation is 10PD(Prism Diopter) or more despite normal visual acuity and binocular vision, are evaluated by using Maindot test, training before and after, 6 and 12 months after training.
      Result: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Maindot test and subjective symptoms is that the high proprioceptive sense's ability is tended to decreasing subjective symptoms(diplopia)(p<0.001).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 objective refraction is that high binocular proprioceptive sense's ability is tend to deviation's decrease and PRC's increase(p<0.001).
      Conclusions: Having been correlated the movements and subjective symptoms, Maindot test provide optometrist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check on successful vision training, prognosis and the predict subject sympto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 대상 및 방법
      • 2. Maindot 검사 측정 방법
      • 3. 시기능 훈련 방법
      • Ⅰ. 서 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 대상 및 방법
      • 2. Maindot 검사 측정 방법
      • 3. 시기능 훈련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1. 훈련 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운동기능타각증상 비교 검정
      • 2. 훈련 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감각기능타각증상 비교 검정
      • 3. 훈련 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자각증상(복시) 비교 검정
      • 4. 훈련 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운동기능타각증상 비교 검정
      • 5. 훈련 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 운동기능자각증상 비교 검정
      • 6. 훈련 후 정위안과 외사시안의자각증상(복시) 비교 검정
      • 7. Maindot 검사와 타각증상과의 상관관계
      • 8. Worth 4 dot 및 Maindot 검사와 자각증상과의 상관관계
      • 9. Maindot 고유수용감각능력 변화
      • Ⅳ. 고찰 및 결론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수진,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 평가에서의 관절위치감각 검사의 효용성" 대한스포츠의학회 29 (29): 83-88, 2011

      2 이창선, "시기능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4 (14): 81-86, 2009

      3 Donaldson IM, "The function of the proprioceptors of the eye muscles" 1685-1754, 2000

      4 Wick B, "The efficacy of optometric vision therapy, the 1986/1987 AOA Future of Visual Development/Performance Task Force" 59 (59): 95-105, 1987

      5 Miura K, "The effect of local and general fatigue on knee proprioception" 20 (20): 414-418, 2004

      6 Riemann BL, "The Sensorimotor System, Part II: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Motor Control and Functional Joint Stability" 37 (37): 80-84, 2002

      7 Hulliger M, "The Mammalian muscle spindle and its central control" 1-110, 1984

      8 Zazulak BT, "The Effects of Core Proprioception on Knee Injury : A Prospective Binomechanical–Epidemiological Study" 35 (35): 368-373, 2007

      9 Fridèn T, "Proprioceptive defects after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the relation to associated anatomical lesions and subjective knee function" 7 (7): 226-231, 1999

      10 Reider B, "Proprioception of the knee before and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19 (19): 2-12, 2003

      1 오수진,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 평가에서의 관절위치감각 검사의 효용성" 대한스포츠의학회 29 (29): 83-88, 2011

      2 이창선, "시기능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4 (14): 81-86, 2009

      3 Donaldson IM, "The function of the proprioceptors of the eye muscles" 1685-1754, 2000

      4 Wick B, "The efficacy of optometric vision therapy, the 1986/1987 AOA Future of Visual Development/Performance Task Force" 59 (59): 95-105, 1987

      5 Miura K, "The effect of local and general fatigue on knee proprioception" 20 (20): 414-418, 2004

      6 Riemann BL, "The Sensorimotor System, Part II: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Motor Control and Functional Joint Stability" 37 (37): 80-84, 2002

      7 Hulliger M, "The Mammalian muscle spindle and its central control" 1-110, 1984

      8 Zazulak BT, "The Effects of Core Proprioception on Knee Injury : A Prospective Binomechanical–Epidemiological Study" 35 (35): 368-373, 2007

      9 Fridèn T, "Proprioceptive defects after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the relation to associated anatomical lesions and subjective knee function" 7 (7): 226-231, 1999

      10 Reider B, "Proprioception of the knee before and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19 (19): 2-12, 2003

      11 Corrigan JP, "Proprioception in the cruciate deficient knee" 74 (74): 247-250, 1992

      12 Roberts D, "Knee Joint Proprioception in ACL-Deficient Knees is Related to Cartilage Injury, Laxity and Age: A Retrospective Study of 54 Patients" 75 (75): 78-83, 2004

      13 Carter ND, "Joint position sense and rehabilitation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ficient knee" 31 (31): 209-212, 1997

      14 Weissberg EM, "Essentials of clinical binocular vision" Butterworth-Heinemann 201-213, 2004

      15 von Holst E, "Das reafferen zprinzip. naturwissen schaften" 37 (37): 464-476, 1950

      16 Prochazka A, "Comprehensive Physiology:Propriocetive feedback and movement regulation" Am Physiol Soc 89-127, 1996

      17 Scheiman M,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47-163, 2002

      18 Von Noorden GK,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Mosby 32-33,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9 0.8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