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천신학적 지평 확대를 위한 예배학적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1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빠른 변화 속에서 실천신학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크며 중요하다. 왜냐하면 실천신학은 신학과 현장 사이의 최전선에서 가교가 되어 기민하면서도 동태적인 자세로 현장의 현실에 상응하는 신학적 지원과 실제적 방안들을 제시해 주는 책임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실천신학의 방법론적 지평 확대를 위해 먼저 두 가지 인식이 필요하다. 그 하나는 실천신학의 연구 대상과 범위가 단지 교회 내적 실천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사회 안에서의 기독교적 표현 양식 연구도 동시에 중시되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타 이론 분야와의 관계성에 있어서 상호 동등하거나 독자적인 학문적 위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식으로는 첫째, 귀납적 실천신학 하기가 필요하며, 둘째는 동태적 실천신학 하기가 요구되고, 아울러 통섭적 실천신학 노력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실천신학의 주요 주제인 예배학 분야에 적용해 보자면 첫째는, 예배 현장의 문화에 귀를 기울이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는, 시대적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는, 전통과 현대, 예배와 삶, 다양한 신학적 입장 간의 만남이 진작되어야 한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실천신학의 학문적 위상 제고와 정립 시도는 실천신학 제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이지만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이론신학과의 상호작용 내지는 도전으로 이어져 신학 전반의 상호 발전으로 이어지며 이론과 실천 양 차원에서의 지평 확대를 가져올 것이다.
      번역하기

      오늘날 빠른 변화 속에서 실천신학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크며 중요하다. 왜냐하면 실천신학은 신학과 현장 사이의 최전선에서 가교가 되어 기민하면서도 동태적인 자세로 현장의 ...

      오늘날 빠른 변화 속에서 실천신학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크며 중요하다. 왜냐하면 실천신학은 신학과 현장 사이의 최전선에서 가교가 되어 기민하면서도 동태적인 자세로 현장의 현실에 상응하는 신학적 지원과 실제적 방안들을 제시해 주는 책임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실천신학의 방법론적 지평 확대를 위해 먼저 두 가지 인식이 필요하다. 그 하나는 실천신학의 연구 대상과 범위가 단지 교회 내적 실천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사회 안에서의 기독교적 표현 양식 연구도 동시에 중시되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타 이론 분야와의 관계성에 있어서 상호 동등하거나 독자적인 학문적 위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식으로는 첫째, 귀납적 실천신학 하기가 필요하며, 둘째는 동태적 실천신학 하기가 요구되고, 아울러 통섭적 실천신학 노력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실천신학의 주요 주제인 예배학 분야에 적용해 보자면 첫째는, 예배 현장의 문화에 귀를 기울이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는, 시대적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예배가 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는, 전통과 현대, 예배와 삶, 다양한 신학적 입장 간의 만남이 진작되어야 한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실천신학의 학문적 위상 제고와 정립 시도는 실천신학 제 분야의 전반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이지만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이론신학과의 상호작용 내지는 도전으로 이어져 신학 전반의 상호 발전으로 이어지며 이론과 실천 양 차원에서의 지평 확대를 가져올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practical theology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crucial in these radically changing world today than in any other period. It is because the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a bridge between theoria and praxis by sensitively responding to those changing context, and providing the church with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ology or strategy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goal, there may be two methodological approaches. One is that the concerns of practical theology should not be limited to pastoral practices in church field but should be extended to practices or services for society that are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The other is that the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equal with other theological departments by its independent theoretical approaches and its consequent authority. From this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hat liturgical studi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orship fields first of all, which are in need of considering the contextuality. By doing so, liturgical studies can help current worships to effectively and sensitively adapt themselves to the radical changes in current society. In addition, the harmony between the traditional principles and current applications, the pursuit of worshipping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and diversity in liturgical tendencies would be secured. At last, all these attempts to reorient the academic position and methodologies of practical theology including liturgical studies will contribute to mutual development of practical theology and other theoretical theologies.
      번역하기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practical theology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crucial in these radically changing world today than in any other period. It is because the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a bridge between theoria and praxis by sensitively...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practical theology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crucial in these radically changing world today than in any other period. It is because the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a bridge between theoria and praxis by sensitively responding to those changing context, and providing the church with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ology or strategy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goal, there may be two methodological approaches. One is that the concerns of practical theology should not be limited to pastoral practices in church field but should be extended to practices or services for society that are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The other is that the practical theology should be equal with other theological departments by its independent theoretical approaches and its consequent authority. From this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hat liturgical studi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worship fields first of all, which are in need of considering the contextuality. By doing so, liturgical studies can help current worships to effectively and sensitively adapt themselves to the radical changes in current society. In addition, the harmony between the traditional principles and current applications, the pursuit of worshipping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and diversity in liturgical tendencies would be secured. At last, all these attempts to reorient the academic position and methodologies of practical theology including liturgical studies will contribute to mutual development of practical theology and other theoretical theolog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실천신학의 새로운 지평 확대를 위한 탐색
      • 1. 연구 대상과 범위에 관한 논의 검토
      • 2. 연구방법론에대한검토: 실천신학의학문성과관련된위상연구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실천신학의 새로운 지평 확대를 위한 탐색
      • 1. 연구 대상과 범위에 관한 논의 검토
      • 2. 연구방법론에대한검토: 실천신학의학문성과관련된위상연구
      • III.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는 실천신학을 위하여
      • 1. 귀납적 신학으로 실천신학 하기
      • 2. 동태적 신학으로 실천신학 하기
      • 3. 통섭적(通涉的) 신학으로 실천신학 하기
      • IV. 새로운 실천신학의 구체적 제시: 예배학을 중심으로
      • 1. 예배신학의 귀납적 접근 보완: 예배 현장의 문화에 귀를 기울이는 예배
      • 2. 예배신학의 동태적 특성 강화: 시대적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예배
      • 3. 예배신학의 통섭적 특성 강화: 전통과 현대, 예배와 삶, 다양한 신학적 입장 간의 만남
      • 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램머만, 고드윈, "현장중심의 실천신학" 하교 2006

      2 김순환, "한국교회 연합을 위한 실천신학적 성찰과 제언" 한국실천신학회 (26) : 7-34, 2011

      3 바벵, 삐에르, "종교 커뮤니케이션의 새 시대" 분도출판사 1993

      4 유영권, "자살이해와 대처방안" 9 : 169-192, 2007

      5 리버, 로빈, "예배와 음악"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6 은준관, "실천적 교회론" 대한기독교서회 1999

      7 위형윤, "실천신학의 이해" 호석출판사 2006

      8 오스머, 리처드, "실천신학의 네 가지 중심과제"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12

      9 현유광, "실천신학의 과제와 전망"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6 : 9-39, 2012

      10 김상구, "실천신학개론(Praktische Theologie Elementar)" CLC 2004

      1 램머만, 고드윈, "현장중심의 실천신학" 하교 2006

      2 김순환, "한국교회 연합을 위한 실천신학적 성찰과 제언" 한국실천신학회 (26) : 7-34, 2011

      3 바벵, 삐에르, "종교 커뮤니케이션의 새 시대" 분도출판사 1993

      4 유영권, "자살이해와 대처방안" 9 : 169-192, 2007

      5 리버, 로빈, "예배와 음악"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6 은준관, "실천적 교회론" 대한기독교서회 1999

      7 위형윤, "실천신학의 이해" 호석출판사 2006

      8 오스머, 리처드, "실천신학의 네 가지 중심과제"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12

      9 현유광, "실천신학의 과제와 전망"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6 : 9-39, 2012

      10 김상구, "실천신학개론(Praktische Theologie Elementar)" CLC 2004

      11 강일구, "신학과 목회의 통합적 인식을 위한 신학적 전망" 1 : 109-138, 2009

      12 로우, 다니엘, "성경은 목회상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1 : 26-29, 2009

      13 서울신학대학교 성결교회신학연구위원회, "성결교회신학" 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2007

      14 김순환, "비예전적 예배를 통한 사중복음 구현1: 설교중심예배유형" 4 : 150-153, 2012

      15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복음주의실천신학개론" 도서출판세복 1999

      16 권명수, "루돌프 보렌과 박근원의 실천신학 분야의 이해 비교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19) : 5-38, 2009

      17 김순환, "기념이면서 소통인 예배: 동시대 문화 속 예배 모색" 한국실천신학회 (20) : 71-101, 2009

      18 김순환, "간행사:「복음과 실천신학」. 제26권 발간에 즈음하여" 26 (26): 3-4, 2012

      19 Park, Hae Jung,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n the Methodist Churches in Korea: 1885-1935" Drew U 1935

      20 Bradshaw, Paul,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Christian Worship: Sources and Methods for the Study of Early Litur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1 Kim, Kyeong Jin, "The Formation of Presbyterian Worship in Korea" Boston U. 1999

      22 McArther, A. Allen, "The Christian Year and Lectionary Reform" SCM Press, LTD 1958

      23 Brokhoff, John R, "Lectionary Preaching Workbook Series IV, Cycle 4" The CSS Publishing Company 1994

      24 김순환, "Eucharist: Christ's Feast with the Church" 대한기독교서회 2002

      25 위형윤, "Die Taufe als Sakramnet des Glaubens, oder der Kirche?" 한국실천신학회 (17) : 5-42, 2008

      26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1세기실천신학개론" CLC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