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원태, "지능정보사회의 규범체계 정립을 위한 법·제도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2 김윤명, "제4차 산업혁명의 선구적 법률,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2017
3 이원태, "인공지능의 규범이슈와 정책적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4 이중기,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7 (17): 1-27, 2016
5 김중권, "인공지능시스템에 의한 행정행위가 허용되는가?"
6 최계영, "인공지능: 파괴적 혁신과 인터넷 플랫폼의 진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7 최은창, "인공지능 시대의 법적·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8 손승우, "인공지능 기술 관련 국제적 논의와 법제 대응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6
9 이원태, "유럽연합의 로봇법 프로젝트," (23) : 2016
10 김성천, "신기술과 소비자법제 연구Ⅰ: 자율주행자동차" 한국소비자원 2016
1 이원태, "지능정보사회의 규범체계 정립을 위한 법·제도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
2 김윤명, "제4차 산업혁명의 선구적 법률,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2017
3 이원태, "인공지능의 규범이슈와 정책적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4 이중기,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의 법적 취급 : 자율주행자동차 사고의 법적 인식과 책임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17 (17): 1-27, 2016
5 김중권, "인공지능시스템에 의한 행정행위가 허용되는가?"
6 최계영, "인공지능: 파괴적 혁신과 인터넷 플랫폼의 진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
7 최은창, "인공지능 시대의 법적·윤리적 쟁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8 손승우, "인공지능 기술 관련 국제적 논의와 법제 대응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6
9 이원태, "유럽연합의 로봇법 프로젝트," (23) : 2016
10 김성천, "신기술과 소비자법제 연구Ⅰ: 자율주행자동차" 한국소비자원 2016
11 윤지영, "법과학을 적용한 형사사법의 선진화 방안(Ⅵ)"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12 황창근, "로봇에 대한 윤리와 법제의 대응이 필요하다"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22) : 2016
13 김기영, "로봇규제를 위한 법적 개념과 문제" 25 : 2016
14 "네이버지식백과"
15 한국은행 조사국, "글로벌 로봇산업의 현황과 과제" 2017
16 최승필, "규제완화에 대한 법적 고찰 - 인·허가 및 신고, 등록제도와 네거티브 규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17-347, 2011
17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缺陷製造物責任法案 審査報告書" 1999
18 "www.robolaw.eu/projectdetails.htm"
19 "wikipedia"
20 Ryan Calo, "The Case for a Federal Robotics Commission" The Brookings Institution 2014
21 Engelberger, "Robotics in Service" MIT Press 1989
22 Stephen Breyer, "Regulation and Its Reform" Harvard University Press 1982
23 David J. Lynch, "Policing the digital cartels"
24 "Oxford English Dictionary"
25 "European Parliament resolution of 16 February 2017 with recommendations to the Commission on Civil Law Rules on Robotics (2015/2103(INL))"
26 RoboLaw, "D6.2-Guidelines on Regulating Rob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