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대 권농 실시와 농법 정리의 의의 = The significance of promoting agriculture and organizing farming methods during reign of King Sej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29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왕조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결정적으로 필요한 생산활동 즉 農業을 중심으로 世宗代에 『농사직설』이 편찬된 배경과 『농사직설』 편찬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세종대에 이르러 완성된 형태가 자리잡은 농정책에서 수령은 특히 권농을 직접 수행하는 책무를 짊어지게 되었다. 수령은 자신을 보좌하는 勸農과 監考 등의 직임을 두어 권농을 실행하였다.
      조선 왕조 개창 이후 조선의 서적 편찬 사업 가운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농사직설』이 편찬된 것은 바로 그 시점에 조선(한국)의 농업기술을 정리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5세기 초반에 『農事直說』이 편찬될 수 있었다. 그리고 『농사직설』의 農事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農法 이외에 주술적인 택일법 등 다른 주장을 전혀 배제하고 있었다.
      『농사직설』은 당대 하삼도 지역 老農의 농사 경험, 견문, 지혜를 문자화한 것이었다. 농민이 실제로 개발하고 전승한 농법을 기록한 것이라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농사직설』의 현실적인 보급 대상은 농민이 아니었다. 세종대 권농의 실시를 담당하는 책무를 지닌 수령과 수령으로 나서야 할 관료층이 바로 『농사직설』의 반포 대상이었다. 이점에서 세종대 권농의 실시와 『농사직설』 편찬이 서로 맞물리는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사직설』은 편찬된 이후 조선의 농서 편찬에서 典範으로 간주되었다.
      번역하기

      조선왕조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결정적으로 필요한 생산활동 즉 農業을 중심으로 世宗代에 『농사직설』이 편찬된 배경과 『농사직설』 편찬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세종대에 이...

      조선왕조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결정적으로 필요한 생산활동 즉 農業을 중심으로 世宗代에 『농사직설』이 편찬된 배경과 『농사직설』 편찬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세종대에 이르러 완성된 형태가 자리잡은 농정책에서 수령은 특히 권농을 직접 수행하는 책무를 짊어지게 되었다. 수령은 자신을 보좌하는 勸農과 監考 등의 직임을 두어 권농을 실행하였다.
      조선 왕조 개창 이후 조선의 서적 편찬 사업 가운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농사직설』이 편찬된 것은 바로 그 시점에 조선(한국)의 농업기술을 정리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5세기 초반에 『農事直說』이 편찬될 수 있었다. 그리고 『농사직설』의 農事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農法 이외에 주술적인 택일법 등 다른 주장을 전혀 배제하고 있었다.
      『농사직설』은 당대 하삼도 지역 老農의 농사 경험, 견문, 지혜를 문자화한 것이었다. 농민이 실제로 개발하고 전승한 농법을 기록한 것이라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농사직설』의 현실적인 보급 대상은 농민이 아니었다. 세종대 권농의 실시를 담당하는 책무를 지닌 수령과 수령으로 나서야 할 관료층이 바로 『농사직설』의 반포 대상이었다. 이점에서 세종대 권농의 실시와 『농사직설』 편찬이 서로 맞물리는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사직설』은 편찬된 이후 조선의 농서 편찬에서 典範으로 간주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光麟, "「養蠶經驗撮要」에 대하여" 역사학회 28 : 1965

      2 李光麟, "「養蠶經驗撮要」 解題" 한국서지학회 6 : 1974

      3 李丞宰, "「農書輯要」의 吏讀" 진단학회 74 : 1992

      4 李鎬澈, "「農書輯要」의 農法과 그 역사적 성격" 경제사학회 14 : 1990

      5 金容燮, "「農事直說의 편찬과 기술" 애산학회 4 : 1986

      6 魏恩淑, "「元朝正本農桑輯要」의 농업관과 간행주체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8 : 2000

      7 李春寧, "李朝農業技術史" 韓國硏究院 1964

      8 李光麟, "李朝水利史硏究" 韓國硏究院 1961

      9 염정섭, "행촌 이암의 생애와 사상" 일지사 2002

      10 李樹健,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1 李光麟, "「養蠶經驗撮要」에 대하여" 역사학회 28 : 1965

      2 李光麟, "「養蠶經驗撮要」 解題" 한국서지학회 6 : 1974

      3 李丞宰, "「農書輯要」의 吏讀" 진단학회 74 : 1992

      4 李鎬澈, "「農書輯要」의 農法과 그 역사적 성격" 경제사학회 14 : 1990

      5 金容燮, "「農事直說의 편찬과 기술" 애산학회 4 : 1986

      6 魏恩淑, "「元朝正本農桑輯要」의 농업관과 간행주체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8 : 2000

      7 李春寧, "李朝農業技術史" 韓國硏究院 1964

      8 李光麟, "李朝水利史硏究" 韓國硏究院 1961

      9 염정섭, "행촌 이암의 생애와 사상" 일지사 2002

      10 李樹健,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11 최승희, "한국사 22-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1995

      12 전상운, "한국과학사의 새로운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13 김만태, "한국 택일풍속의 전승양상과 특징"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73-401, 2009

      14 염정섭, "한국 농서 번역의 현황과 전망" 韓國古典飜譯學會 5 : 2014

      15 金容燮, "조선초기의 勸農政策" 국학연구원 42 : 1984

      16 박진우, "조선초기 面里制와 村落支配의 강화" 서울대 국사학과 20 : 1988

      17 李泰鎭, "조선유교사회사론" 지식산업사 1989

      18 염정섭, "조선시대 농서편찬과 농법의 발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9 李泰鎭,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 태학사 2002

      20 李泰鎭, "세종대의 천문연구와 농업정책" 애산학회 4 : 1986

      21 李泰鎭, "세종대의 농업기술정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 : 1984

      22 염정섭, "세종대(世宗代) 농정책(農政策)의 전개와 의의" 애산학회 29 : 2003

      23 전용훈, "세종대 천문과 역법, 조선시대 학문기관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집현의 의미: 집현전 600주년을 기념하여" 2020

      24 염정섭, "고려의 중국 農書‧曆書‧擇日書 도입과 「吉凶逐月橫看 木板」의 성격" 한국중세사학회 (38) : 75-109, 2014

      25 김영진, "개화기 농서의 편찬 배경과 편찬 동기" 한국농업사학회 7 (7): 265-284, 2008

      26 魏恩淑, "高麗後期 農業經濟硏究" 도서출판 혜안 1998

      27 李宗峯, "高麗刻本 「元朝正本農桑輯要」의 韓國農學史上에서의 위치" 부산사학회 21 : 1991

      28 李泰鎭, "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6

      29 金容燮, "韓國中世農業史硏究" 지식산업사 2000

      30 金容燮, "韓國中世農業史硏究" 知識産業社 2000

      31 金容燮, "韓國中世農業史硏究" 知識産業社 2000

      32 金榮鎭, "農林水産 古文獻備要"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3

      33 金容燮, "農書 1" 아세아문화사 1980

      34 금재원, "秦漢代 擇日術의 유행과 보편화 과정 ― 出土 日書와 曆日의 분석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25) : 1-55, 2011

      35 金榮鎭, "朝鮮時代前期農書" 韓國農村經濟硏究院 1984

      36 金容燮, "朝鮮後期農學史硏究" 一潮閣 1988

      37 金容燮, "朝鮮後期農學史硏究" 一潮閣 1988

      38 李景植, "朝鮮前期土地制度硏究 (Ⅱ)" 지식산업사 1998

      39 金泰永, "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 지식산업사 1983

      40 최승희, "朝鮮初期政治史硏究" 지식산업사 2002

      41 강제훈, "朝鮮初期 田稅制度 硏究"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2

      42 김영진, "山家要錄" 농촌진흥청 2004

      43 王毓瑚, "中國農學書錄" 龍溪書社 1975

      44 吳仁澤, "『農書輯要』의 耕種法 硏究" 釜山大學校 大學院 1988

      45 김상태, "『農事直說』의 편찬과 보급에 대한 재검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6) : 3-35, 2010

      46 李泰鎭, "15-16세기의 低平 低濕地 開墾 동향" 국사편찬위원회 2 : 1989

      47 魏恩淑, "12세기 농업기술의 발달" 부산대 사학과 12 :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