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교사회주의적 접근을 활용한 북한연구: 유용성, 개념활용 그리고 구조화된 비교 = Applying Comparative Socialism Research approach to North Korean studies: Utiltiy, Concept Utilization, and Structured Compari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6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contrives a way to improve North Korean Studies via comparative socialism. Specifically, it explores why comparative socialism was not developed in the Cold War era and its relationship with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and Cold War history.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comparative socialism tends to emphasize North Korea’s universality as socialism, it does not collide with the “Singularity Perspective on North Korea.” Instead, comparison can help to capture the singularity of North Korea. Besides, this approach is also valid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North Korea after the “Arduous March” because many other socialist countries had coexisted with the market. Lastly, it suggests some comparative research tips and provides examples of “structured comparis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contrives a way to improve North Korean Studies via comparative socialism. Specifically, it explores why comparative socialism was not developed in the Cold War era and its relationship with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and Cold War h...

      This research contrives a way to improve North Korean Studies via comparative socialism. Specifically, it explores why comparative socialism was not developed in the Cold War era and its relationship with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and Cold War history. This paper argues that although comparative socialism tends to emphasize North Korea’s universality as socialism, it does not collide with the “Singularity Perspective on North Korea.” Instead, comparison can help to capture the singularity of North Korea. Besides, this approach is also valid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North Korea after the “Arduous March” because many other socialist countries had coexisted with the market. Lastly, it suggests some comparative research tips and provides examples of “structured compari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교사회주의 방법론이 북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구체적으로 냉전시기의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던 원인 및 비교역사분석과 냉전사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특히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사회주의적 보편성에 주목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접근이 북한의 특수성론과 대립하기 보다는 오히려 특수성을 정교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 역시 계획과 시장의 공존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고난의 행군 이후의 북한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비교사회주의 연구를 실시할 때에 고려해야 할 점들과 ‘구조화된 비교’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교사회주의 방법론이 북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구체적으로 냉전시기의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던 원인 및 비교역사분석과 냉전사와의 관...

      본 연구는 비교사회주의 방법론이 북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구체적으로 냉전시기의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던 원인 및 비교역사분석과 냉전사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특히 비교사회주의 연구가 사회주의적 보편성에 주목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접근이 북한의 특수성론과 대립하기 보다는 오히려 특수성을 정교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과거 사회주의 국가들 역시 계획과 시장의 공존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고난의 행군 이후의 북한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비교사회주의 연구를 실시할 때에 고려해야 할 점들과 ‘구조화된 비교’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오바니 사르토리, "현대정당론" 동녘신서 1986

      2 남성욱,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 한울아카데미 2004

      3 김정은, "사회주의농촌테제의 기치를 높이 들고 농업생산에서 혁신을 일으키자: 전국농업부문분조장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

      4 권숙도,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 과정 연구 : 북한, 베트남 사례 비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5 차문석, "사회주의 국가의 노동정책 : 소련·중국·북한의 생산성의 정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9

      6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문제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70

      7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7"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8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6"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6

      9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70

      10 정영태, "비교사회주의 측면에서 본 북한의 변화 전망: 리비아와쿠바 사례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7

      1 지오바니 사르토리, "현대정당론" 동녘신서 1986

      2 남성욱,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 한울아카데미 2004

      3 김정은, "사회주의농촌테제의 기치를 높이 들고 농업생산에서 혁신을 일으키자: 전국농업부문분조장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

      4 권숙도,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 과정 연구 : 북한, 베트남 사례 비교"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5 차문석, "사회주의 국가의 노동정책 : 소련·중국·북한의 생산성의 정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9

      6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문제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70

      7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7"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8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6"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6

      9 김일성, "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70

      10 정영태, "비교사회주의 측면에서 본 북한의 변화 전망: 리비아와쿠바 사례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07

      11 박형중, "북한정치 연구에서 ‘북한 특수성론’" 9 (9): 160-187, 1997

      12 고유환, "북한연구방법론의 쟁점과 과제" 통일평화연구원 11 (11): 5-32, 2019

      13 구갑우, "북한연구방법론" 한울아카데미 2003

      14 김영훈, "북한 집단농장의 분배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15 조한범,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성격연구: 비교사회주의론적 관점" 통일연구원 11 (11): 117-145, 2002

      16 이주영, "미국사학계의 새로운 냉전사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110) : 86-111, 2015

      17 과학백과사전출판사, "련합기업소는 사회주의공업에서 새로운 기업소조직형태"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79

      18 김정일, "김정일전집 10" 조선로동당 출판사 2015

      19 김일성, "김일성저작선집 제1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75

      20 막스 베버, "경제와 사회" 나남 2009

      21 Đcsvn, "Đcsvn, VKĐTT TẬP 37 1976" NXB Chính Trị Quốc Gia 2004

      22 Đcsvn, "Đcsvn, VKĐTT TẬP 36 1975" NXB Chính Trị Quốc Gia 2004

      23 Skocpol Theda, "Vision and Method in Historical Soc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24 Porter, Gareth, "Vietnam : The Politics of Bureaucratic Soci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25 Levitsky Steven, "Variation in Institutional Strength" 12 (12): 115-133, 2009

      26 Saxonberg Steven, "Transitions and Non-Transitions from Communism : Regime Survival in China, Cuba, North Korea, and Vietn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7 Sartori, Giovanni, "Totalitarianism, Model, Mania and Learning From Error" 5 (5): 5-22, 1993

      28 Friedrich Carl, "Totalitarian Dictatorship and Autocracy"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29 Brzenzinski, Zbigniew, "Theory and Poltics/ Theorie Und Politik" Martinus Nijhoff 1971

      30 Hankiss, Elemer, "The “Second Society”: Is there an Alternative Social Model Emerging in Contemporary Hungary?" 55 (55): 13-42, 1988

      31 Skocpol Theda, "The Uses of Comparative History in Macrosocial Inquiry" 22 (22): 174-197, 1980

      32 Siegel, Achim, "The Totalitarian Paradigm after the End of Communism Towards a Theoretical Reassessment" Rodopi 1998

      33 Huntington, Samuel, "The Third Wave : Democratiz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91

      34 Mann, Michael, "The Sources of Social Power Vol.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5 Kornai, Janos, "The Socialist System :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36 Himmelstrand, Ulf, "The Presence of Parsons and the Absence of Marx in Stein Rokkan’s Contribution to Political Sociology" 29 (29): 201-217, 1986

      37 Kerkvliet, Benedict, "The Power of Everyda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38 Ashley, Richard, "The Poverty of Neorealism" 38 (38): 225-286, 1984

      39 Kopstein, Jeffrey, "The Politics of Economic Decline in East Germany, 1945-1989"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7

      40 Brambor Thomas, "The Lay of the Land: Information Capacity and the Modern State" 53 (53): 175-213, 2020

      41 Khanh, Tran, "The Ethnic Chinese and Economic Development in Vietnam" Th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3

      42 Thelen Kathleen, "Structuring Politics: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parativ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43 Migdal, Joel, "State in Society : Studying How States and Societies Transform and Constitute One Anoth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4 Fleron Frederic, "Soviet area studies and the social sciences: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in communist studies" 19 (19): 313-339, 1968

      45 Saxonberg, Steven, "Semi-civil society: A missing link in explaining the transformation of communist dictatorships?" 17 (17): 199-218, 2021

      46 Stark David, "Remaking the Economic Institutions of Socialism: China and Eastern Europ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47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Record of a conversation between I. V. Stalin and the Leaders of the Socialist Unity Party of Germany, Wilhelm Pieck and Otto Grotewohl"

      48 Linz Juan, "Problem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Southern Europe, South America, and Post-Communist Europe" Johns Hopkins University 1996

      49 J.K.A. Thomaneck, "Politics, Society and Government i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 Basic Documents" Berg 1989

      50 Tucker, Robert, "On The Comparative Study of Communism" 19 (19): 242-257, 1967

      51 Abbott, Andrew, "Methods of Discovery" Norton &Company 2004

      52 Stahnke, Arthur, "Kombinate as the Key Structural Element in the GDR Intensification Process" 20 (20): 27-37, 1987

      53 Stalin, Joseph, "From Socialism to Communism in the Soviet Union" International Publisher 1939

      54 Ross, Corey, "Constructing Socialism at the Grass-Roots : The Transformation of East Germany, 1945-1965" Macmillan Press 2000

      55 Bergson, Abram, "Comparative Productivity: The USSR, Eastern Europe, and the West" 77 (77): 342-357, 1987

      56 Lange, Matthew, "Comparative Historical Methods" Sage 2013

      57 Walder, Andrew, "Communist Neo-Traditionalism : Work and Authority in Chinese Indust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58 Kott, Sandrine, "Communism Day-to-Day : State Enterprises in East German Societ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4

      59 Melzer, Manfred, "Combine Formation in the GDR" 33 (33): 88-106, 1981

      60 George Alexander, "Case Studies and Theory Development in the Social Sciences" MIT Press 2005

      61 Evans Peter, "Bringing the State Back 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62 Thelen Kathleen, "Advances in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3 노현종, "1970년대 이후 동독, 베트남, 북한의 체제변동 비교연구 : ‘국가-사회’관계의 동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