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Han Dynasty Relief Sculptures in Nanyang, Hen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56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한대(漢代) 화상석은 산동성, 하남성, 사천성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역적 특징의 구분이나 발달상의 연관관계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산동성 화상석의 인물 표현이나 주제는 다소 딱딱하고 엄격하며 유교적 색채가 짙은 데 비해 사천성 화상석의 주제나 표현은 다소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하남성 화상석은 그 두 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있으면서 두 가지 특징이 같이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자유로운 표현이나 주제가 나타난는 곳이 남양지역의 화상석들이다. 동한(東漢)의 남도(南都)로 알려질 만큼 정치, 경제, 문화적 중심지였던 남양지역 화상석은 1930년대부터 시작된 발굴을 통해 알려졌으며 약 3기로 발달이 구분된다. 초기는 기원전 50년에서 기원후 50년까지이며, 중기는 기원후 50년에서 100년까지이다. 후기는 기원후 100년에서 150년까지이다. 본 연구는 남양지역 화상석의 연구를 통해 한대 화상석의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첫째 남양 화상석의 전체적인 특징을 개관하고, 다음으로는 남양지역에서 나온 화상석의 여러 주제 주에서 하나의 독특한 지역적 특징으로 지적이 된 사람과 동물, 동물과 동물간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 화사석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는 남양 화상석이 대부분 개별 화상석의 형태로 보고가 되어서 무덤 안에서 전체 화상석의 배치를 알아보기 힘든 점을 고려하여, 온전한 형태로 발견되어진 남양 화상석 고분들(針織廠고분, 英莊고분 등)의 예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남양 화상석 고분이 가지는 한대 화상석 고분의 발달에 있어서의 위치와 한대 화상석 발달에 미친 영향 등을 알아본다.
      번역하기

      중국의 한대(漢代) 화상석은 산동성, 하남성, 사천성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역적 특징의 구분이나 발달상의 연관관계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산...

      중국의 한대(漢代) 화상석은 산동성, 하남성, 사천성 등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있다. 그러나 정확한 지역적 특징의 구분이나 발달상의 연관관계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산동성 화상석의 인물 표현이나 주제는 다소 딱딱하고 엄격하며 유교적 색채가 짙은 데 비해 사천성 화상석의 주제나 표현은 다소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하남성 화상석은 그 두 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있으면서 두 가지 특징이 같이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자유로운 표현이나 주제가 나타난는 곳이 남양지역의 화상석들이다. 동한(東漢)의 남도(南都)로 알려질 만큼 정치, 경제, 문화적 중심지였던 남양지역 화상석은 1930년대부터 시작된 발굴을 통해 알려졌으며 약 3기로 발달이 구분된다. 초기는 기원전 50년에서 기원후 50년까지이며, 중기는 기원후 50년에서 100년까지이다. 후기는 기원후 100년에서 150년까지이다. 본 연구는 남양지역 화상석의 연구를 통해 한대 화상석의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첫째 남양 화상석의 전체적인 특징을 개관하고, 다음으로는 남양지역에서 나온 화상석의 여러 주제 주에서 하나의 독특한 지역적 특징으로 지적이 된 사람과 동물, 동물과 동물간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 화사석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는 남양 화상석이 대부분 개별 화상석의 형태로 보고가 되어서 무덤 안에서 전체 화상석의 배치를 알아보기 힘든 점을 고려하여, 온전한 형태로 발견되어진 남양 화상석 고분들(針織廠고분, 英莊고분 등)의 예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남양 화상석 고분이 가지는 한대 화상석 고분의 발달에 있어서의 위치와 한대 화상석 발달에 미친 영향 등을 알아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Ⅰ. General Features of Nanyang Relief Sculptures
      • Ⅱ. Men and Animals Combat Subject in Nanyang Relief Sculptures
      • Ⅲ. Analysis of Iconographic Program in Nanyang Tombs-Cases of Relief Sculpture Tombs at Chengguanzheng, Yingzhuan, and Zhenzhichang, Henan
      • Conclusion
      • Introduction
      • Ⅰ. General Features of Nanyang Relief Sculptures
      • Ⅱ. Men and Animals Combat Subject in Nanyang Relief Sculptures
      • Ⅲ. Analysis of Iconographic Program in Nanyang Tombs-Cases of Relief Sculpture Tombs at Chengguanzheng, Yingzhuan, and Zhenzhichang, Henan
      • Conclusion
      • 〈Abstract〉
      • Bibliograph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