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로케 영화에서 도시경관과 상실의 지리 = The Cityscape of Busan and Its Geography of Lo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8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부산>, <부산항애>, 그리고 <성소>에 비장소적 장소상실의 도시경관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공간이론가들, 특히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 개념과 마르크 오제의 비장소 ...

      본 논문은 <부산>, <부산항애>, 그리고 <성소>에 비장소적 장소상실의 도시경관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공간이론가들, 특히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 개념과 마르크 오제의 비장소 개념에 기대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느와르적이고 스펙터클한 현실공간, 실재와 환상이 겹치는 공간, 그리고 게임 속의 환상공간에 재현된 장소 정체성의 상실, 장소와 인물들 간의 관계의 상실, 그리고 역사의 상실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공간성의 개념으로 분석한다. 인간보다는 오히려 건물과의 “단독적 계약”이 부각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도시경관은 그 추상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장소에서의 정서적 유대가 약화하는 비장소적 장소상실의 특성을 지닌다. <부산>, <부산항애>, 그리고 <성소>에서 폭력이 일상화된 도시경관은 가정, 술집, 직업소개소, 폭력배들이 싸우는 창고, 환상의 공간에서는 느와르적 분위기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로 인한 초근대 사회의 스펙터클한 이미지로 재현된다. 특히 <부산>과 <부산항애>에 나오는 초고층 건축물, 광안대교, 그리고 요트장은 영화 서사적 측면에서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이들 영화가 부산의 도시를 재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간에 대한 관객들의 감정이입을 끌어내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모두 부산에서 촬영된 이들 세 편의 영화에서 재현된 도시는 부산을 홍보하기 위한 일종의 관광상품으로도 기능하며 정서적인 유대보다는 ‘단독적인 계약’에 기초한 장소상실의 비장소성을 지닌 상실의 지리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렐프, 에드워드,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 오제, 마르크, "비장소" 아카넷 2017

      3 조아현, "부산의 과거와 현재 담은 영화감독 박희준" 뉴스1코리아

      4 임혜선, "박지원 감독이 말하는 영화이야기" 아시아경제

      5 de Certeau, Michel,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 of California P 1988

      6 Lynch, Kevin,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7 Kunstler, James H, "The Geography of Nowhere" Simon & Schuster 1993

      8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 of Minnesota P 2007

      9 Cresswell, Tim, "Place: An Introduction" Wiley 2004

      10 Arefi, Mahyar, "Non-place and Placelessness as Narratives of Loss: Rethinking the Notion of Place" 4 (4): 179-193, 1999

      1 렐프, 에드워드,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 오제, 마르크, "비장소" 아카넷 2017

      3 조아현, "부산의 과거와 현재 담은 영화감독 박희준" 뉴스1코리아

      4 임혜선, "박지원 감독이 말하는 영화이야기" 아시아경제

      5 de Certeau, Michel,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 of California P 1988

      6 Lynch, Kevin,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7 Kunstler, James H, "The Geography of Nowhere" Simon & Schuster 1993

      8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 of Minnesota P 2007

      9 Cresswell, Tim, "Place: An Introduction" Wiley 2004

      10 Arefi, Mahyar, "Non-place and Placelessness as Narratives of Loss: Rethinking the Notion of Place" 4 (4): 179-193, 1999

      11 Barthes, Roland, "Mythologies" Hill and Wang 1972

      12 Massey, Doreen, "Geography Matters!: A Reader" U of Cambridge P 1-11, 1984

      13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장선우 감독"

      14 "<부산>. 박지원 감독"

      15 "<돌아와요 부산항애>. 박희준 감독"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