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와 인지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두 과정의 통합 모형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의, 학습, 및 기억에 미치는 정서자극의 영향과 정서정보의 처리에 영향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1691
-
2009년
Korean
정서-인지 상호작용 ; anxiety ; pre-attention ; cingulate gyrus ; individual difference ; fear conditioning ; attention ; learning ; cognition ; emotion ; amygdala ; psychophysics ; fMRI ; ERP ; trace conditioning ; delay conditioning ; working memory ; hippocampus ; selective attention ; 정서학습 ; 공포조건화 ; 주의이동 ; 주의편향 ; 부적 점화 ; 사건관련전위 ; 기능적자기공명영상 ; 정신물리학 ; 가상환경 ; 인지심리학 ; 생물심리학 ; 인지신경과학 ; 신경기전 ; 사회신경과학 ; 정서얼굴표현 ; 주의조절 ; 불안 ; 작업기억 ; 선택적 주의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서와 인지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두 과정의 통합 모형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의, 학습, 및 기억에 미치는 정서자극의 영향과 정서정보의 처리에 영향을 ...
정서와 인지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두 과정의 통합 모형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의, 학습, 및 기억에 미치는 정서자극의 영향과 정서정보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개인차 및 정서 자극의 학습과정을 병렬적으로 연구하였다. 정서-인지 상호작용을 주제로 26건의 심리학 및 신경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16회의 학술대회 발표(국내 6회, 국제 10회)와 10회의 학회지 논문게재(학술진흥재단 등재지: 6건, SCI 저널: 4건)를 통해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구체적으로 네 가지 주제를 통한 다각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로, 정서적 자극에 대한 주의 이동 연구를 주제로 하여, 총 열 편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정보 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의와 관련된 다양한 효과 및 현상들을 확인하고 가능한 원인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정서적 자극에 대한 처리 과정에도 이러한 특징들이 일반화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정서와 연관된 주의, 억제, 보상, 판단 등에서 관찰된 특징적인 반응 경향은 정서적 정보 처리 과정에서의 초기 단계의 기제와 속성들을 규명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두 번째로, 개인이 가진 성격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정서-인지 상호작용 연구를 주제로 주의조절 척도의 한국어판을 표준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인의 주의조절 수준에 따른 정서정보처리의 뇌활동을 비교하였다. 또한 정서적 특질로서 충동성이 인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이에 관련된 뇌기제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개인의 특질을 문화적 수준으로 확대하여 다른 인종간의 정서정보파악의 문제점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인종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이해하려 시도하였다. 성격 및 문화와 관련된 정서정보처리의 특징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사회적 상황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증진이나 임상적 장면에서의 정신질환에 취약한 특성 파악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세 번째로, 학습을 통해 획득된 새로운 정서는 그와 관련된 정보에 대해 인지적 편향을 발생시키며 이는 주의와 기억의 단계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지각 단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서학습의 분야에서 최근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주제이며, 본 연구 결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권위 있는 심리학 저널인 'Emotion'의 최근호에 게재되었다. 정서학습과 정서자극 정보 처리에 대한 기존 결과를 확장시키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연구주제 및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정보 처리 과정에서 기억과 주의의 역할은 입력된 정보의 내용, 특히 정서적 속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후 처리과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움직이는 다수 자극에 대한 추적 과정을 통해 발견된 양측 시각장의 독립성은 추후 정서적 정보 처리에서의 추적 및 시야 간 독립성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환경에서의 정서적 특징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상환경을 심리학적 연구에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능동적 자율성이 기억의 효율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이같은 연구를 통해 인간의 정보 처리 모형을 정교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와 정서의 상호 작용 특성 및 정서 정보 처리 과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지침을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experiments using psychophysical & psychophysiological approaches, researches have been executed to understand emotion-cognition interaction and to mak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 integrated model. Researches for the influence of emotional ...
Through experiments using psychophysical & psychophysiological approaches, researches have been executed to understand emotion-cognition interaction and to mak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n integrated model. Researches for the influence of emotional stimuli to attention, learning, and memory, and for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affective learning to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were performed. Four themes are which are interested in: 1) attention shift to emotional stimuli, 2)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state to attentional process, 3) emotional properties represented in fear-conditioning, and 4) emotional propertied in the interaction of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we examined the modulatory effect of emotion on selective attention related neural activ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the emotional modulatory effect on attentional processing. Observed properties of attention, inhibition, reward, and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emotional information provide explanations for mechanism of neural substrate in initial stage of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ults produced in this researches will provide an essential information to medical treatment for mental disease which has emotional episode, a prediction and control for human behavior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Understanding emotional process and the influence of emotion to mental activities such as attention, memory, learning, consciousness and awareness will give a help to us for making a well-being and mentally health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