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계사하편 제1장과 卦象原理 =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繫辭) and the Providence of Guàxiàng(卦象) of I 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89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on the first chapter, the last volume of Xici(繫辭) in the I Ching is new attempting that is the study of I Ch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the main discourse in Xici.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composed of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Book of Changes.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tells on the Signs and Lines, on Creating and Act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composed of four equal parts, The first part is from "The eight trigrams are arranged" to "Good fortune and misfortune take effect through perseverance", The Second part is from "The tao of heaven and earth" to "become uniform through perseverance.", The third part is from "The Creative is decided" to "sages reveal themselves in the judgments.", The fourth part is from "It is great virtue of heaven and earth" to "by rectification of judgments".
      The first part explains the construction of Providence of Guàxiàng(卦象) that is composed of the images(xiàng 象) and lines(yáo 爻). Images are contained in the trigram from the Book of Changes. Lines are contained in the hexagrams from the Book of Changes.
      The second part explains the basis of Providence of Guàxiàng that is the tao of heaven and earth ; the tao of sun and moon.
      The third part symbolized Providence of Guàxiàng as The Creative and Receptive. It is based on the view expressed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The fourth part explains the contents of Providence of Guàxiàng that is the humanity(rén 仁) and justice(yì 義) as the way of man. This is the thought on which the Book of Changes is based.
      번역하기

      This study on the first chapter, the last volume of Xici(繫辭) in the I Ching is new attempting that is the study of I Ch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the main discourse in Xici.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

      This study on the first chapter, the last volume of Xici(繫辭) in the I Ching is new attempting that is the study of I Ch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the main discourse in Xici.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composed of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Book of Changes.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tells on the Signs and Lines, on Creating and Acting.
      The first chapter of the last volume of Xici is composed of four equal parts, The first part is from "The eight trigrams are arranged" to "Good fortune and misfortune take effect through perseverance", The Second part is from "The tao of heaven and earth" to "become uniform through perseverance.", The third part is from "The Creative is decided" to "sages reveal themselves in the judgments.", The fourth part is from "It is great virtue of heaven and earth" to "by rectification of judgments".
      The first part explains the construction of Providence of Guàxiàng(卦象) that is composed of the images(xiàng 象) and lines(yáo 爻). Images are contained in the trigram from the Book of Changes. Lines are contained in the hexagrams from the Book of Changes.
      The second part explains the basis of Providence of Guàxiàng that is the tao of heaven and earth ; the tao of sun and moon.
      The third part symbolized Providence of Guàxiàng as The Creative and Receptive. It is based on the view expressed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The fourth part explains the contents of Providence of Guàxiàng that is the humanity(rén 仁) and justice(yì 義) as the way of man. This is the thought on which the Book of Changes is ba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계사하편 제1장에서는 '象', '爻', '剛柔', '天地之道', '日月之道', '乾', '坤', '易', '簡','仁', '義' 등 周易이 표상하는 卦象原理의 중요 개념들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하편 제1장의 연구를 통해 주역 의 학문적 체계를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편 제1장에서는 첫째로 괘상원리를 형성하는 '象'과 '爻'를 밝히고, 둘째로 괘상원리의 근거가 되는 天地·日月之道를 밝히고 있으며, 셋째로 괘상원리의 표상체계가 乾道와 坤道임을 밝히고, 넷째로 괘상원리의 내용이 仁과 義임을 밝히고 있다.
      먼저 괘상원리를 형성하는 '象'과 '爻'는 각각 三爻單卦와 六爻重卦를 의미하는 것으로 象은 卦象으로 三才之道를 표상하는 三爻單卦인 八卦를 의미한다면, 爻는 六爻로 三才之道가 兩之작용하여 완성되는 六爻重卦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또한 괘상원리의 三爻單卦와 六爻重卦는 體用關係로 卦體爻用의 관계라 하겠다.
      둘째로 괘상원리의 근거인 天地·日月之道는 天道인 曆數原理를 말하는 것으로 曆數原理의 體十用九原理와 體五用六原理에 근거하여 괘상원리가 성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셋째로 乾道와 坤道에 괘상원리가 집약되어 있으며, 乾道와 坤道의 내용이 易簡之德임을 밝혀 괘상원리가 人道인 四德原理를 표상하고 있다. 즉, 易簡之德은 인간 본래성이기 때문에 자신의 인격성을 상징적으로 표상한 것이 卦象原理임을 알 수 있다.
      넷째로 괘상원리의 내용이 仁과 義임을 밝히고 있다. 仁과 義는 군자가 실천해야할 사명인 政治原理의 근거가 되며, 그 구체적 방법론을 理財(경제)·正辭(교육)·禁民爲非(형벌)로 밝히고 있다.
      번역하기

      계사하편 제1장에서는 '象', '爻', '剛柔', '天地之道', '日月之道', '乾', '坤', '易', '簡','仁', '義' 등 周易이 표상하는 卦象原理의 중요 개념들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하편 제1장의 연구를 통해 ...

      계사하편 제1장에서는 '象', '爻', '剛柔', '天地之道', '日月之道', '乾', '坤', '易', '簡','仁', '義' 등 周易이 표상하는 卦象原理의 중요 개념들을 밝히고 있기 때문에 하편 제1장의 연구를 통해 주역 의 학문적 체계를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편 제1장에서는 첫째로 괘상원리를 형성하는 '象'과 '爻'를 밝히고, 둘째로 괘상원리의 근거가 되는 天地·日月之道를 밝히고 있으며, 셋째로 괘상원리의 표상체계가 乾道와 坤道임을 밝히고, 넷째로 괘상원리의 내용이 仁과 義임을 밝히고 있다.
      먼저 괘상원리를 형성하는 '象'과 '爻'는 각각 三爻單卦와 六爻重卦를 의미하는 것으로 象은 卦象으로 三才之道를 표상하는 三爻單卦인 八卦를 의미한다면, 爻는 六爻로 三才之道가 兩之작용하여 완성되는 六爻重卦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또한 괘상원리의 三爻單卦와 六爻重卦는 體用關係로 卦體爻用의 관계라 하겠다.
      둘째로 괘상원리의 근거인 天地·日月之道는 天道인 曆數原理를 말하는 것으로 曆數原理의 體十用九原理와 體五用六原理에 근거하여 괘상원리가 성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셋째로 乾道와 坤道에 괘상원리가 집약되어 있으며, 乾道와 坤道의 내용이 易簡之德임을 밝혀 괘상원리가 人道인 四德原理를 표상하고 있다. 즉, 易簡之德은 인간 본래성이기 때문에 자신의 인격성을 상징적으로 표상한 것이 卦象原理임을 알 수 있다.
      넷째로 괘상원리의 내용이 仁과 義임을 밝히고 있다. 仁과 義는 군자가 실천해야할 사명인 政治原理의 근거가 되며, 그 구체적 방법론을 理財(경제)·正辭(교육)·禁民爲非(형벌)로 밝히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 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下篇 제1장의 본문과 구조
      • 3. 卦象原理의 형성과 근거
      • 4. 괘상원리의 표상과 내용
      • [한글 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下篇 제1장의 본문과 구조
      • 3. 卦象原理의 형성과 근거
      • 4. 괘상원리의 표상과 내용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역경철학연구소 硏經院"

      2 "송재국 교수의 주역 풀이" 예문서원 2000

      3 "동양철학에 있어서의 주제의 변천 한국동서철학연구회" 1984

      4 "繫辭上篇 제5장의 曆數原理" 범한철학회 (45) : 2007

      5 "第三易卦圖 출현의 논리적 근거" 충남대 유학연구소 3집 : 1995

      6 "正易의 圖書象數原理에 관한 연구" 1981

      7 "正易과 一夫" 아세아문화사 1981

      8 "正易思想의 根本問題" 1980

      9 "易學의 曆數原理와 卦象原理" 한국동서철학회 (29) : 2003

      10 "易學의 변화지도와 시간성 원리" 한국동서철학회 (38) : 2005

      1 "역경철학연구소 硏經院"

      2 "송재국 교수의 주역 풀이" 예문서원 2000

      3 "동양철학에 있어서의 주제의 변천 한국동서철학연구회" 1984

      4 "繫辭上篇 제5장의 曆數原理" 범한철학회 (45) : 2007

      5 "第三易卦圖 출현의 논리적 근거" 충남대 유학연구소 3집 : 1995

      6 "正易의 圖書象數原理에 관한 연구" 1981

      7 "正易과 一夫" 아세아문화사 1981

      8 "正易思想의 根本問題" 1980

      9 "易學의 曆數原理와 卦象原理" 한국동서철학회 (29) : 2003

      10 "易學의 변화지도와 시간성 원리" 한국동서철학회 (38) : 2005

      11 "易學의 河圖洛書原理에 관한 연구" 2005

      12 "易學의 時間觀에 關한 硏究" 1992

      13 "孟子의 역학적 이해" 새한철학회 33집 3권 :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1.4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