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도부사 ‘너무’와 ‘몹시’의 의미와 기능 = A Study of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Degree Adverbs Neomu (너무) and Mobssi (몹시)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5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피수식어의 정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 정도부사 중에서도 ‘너무’와 ‘몹시’에 초점을 맞춰 그 의미와 기능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너무’와 공기하는 후행어의 ...

      본 연구의 목적은 피수식어의 정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 정도부사 중에서도 ‘너무’와 ‘몹시’에 초점을 맞춰 그 의미와 기능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너무’와 공기하는 후행어의 의미를 [부정], [긍정], [중립]으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기능적인 특성 살펴보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너무’가 수식하는 후행어가 [부정]의 의미일 경우 ‘너무’는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의 의미기능을 한다. 둘째 후행어의 의미가 [긍정]일 경우 그 기능에 따라 ①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피수식어들과 공기하여 [강조]의 의미기능만을 수하고, ② ‘깨끗하다, 예쁘다’ 등과 호응하여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와 더불어 [부정결과]라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크다, 작다, 빠르다, 느리다, 간단하다, 복잡하다’ 등과 같은 중립의 후행어를 수식할 경우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의 의미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몹시’와 공기하는 후행어의 의미를 [부정], [긍정], [중립]으로 나누어 각각의 의미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몹시’가 수식하는 후행어가 부정의 의미일 경우 ‘몹시’는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의 의미기능을 하는데, ‘너무’에 비해 그 정도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후행어의 의미가 긍정일 경우 ① 화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피수식어들과 공기하여 [강조]의 의미기능만을 수행한다. 한편 긍정②는 [지나침]과 [반어]의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크다, 작다, 빠르다, 느리다, 간단하다, 복잡하다’ 등과 같은 [중립]의 후행어를 수식할 경우 [지나침], [강조], [높은 정도]와 더불어 [긍정 강조]의 의미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report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gree adverbs in Korean. As yet, no framework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which degree adverbs may be listed, implying that an understanding of their meaning and function i...

      The study report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gree adverbs in Korean. As yet, no framework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which degree adverbs may be listed, implying that an understanding of their meaning and function is lacking. Degree adverbs are those that indicate the semantic feature of ‘degree,’ which is an intra-lexical distinction, multivalent, and a relative concept. This semantic concept necessarily includes ‘norms of judgment’ and graded ‘degree scales.’ The present paper considers the adverbs neomu and monssi. I will show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classify these as degree adverbs, and suggest that we need to revise existing terms to label degree adverbs on the basis of their meanings and fun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너무’의 의미기능
      • 3. ‘몹시’의 의미기능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너무’의 의미기능
      • 3. ‘몹시’의 의미기능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범, "화용론 연구의 거시적 관점: 이론과 실제" 소통 312-, 2012

      2 박동근, "현대국어 강조부사 범주의 설정과 기능적 분석" 한글학회 (275) : 129-163, 2007

      3 정철주, "현대 국어의 정도부사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83

      4 이석규, "현대 국어 정도 어찌씨의 의미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8

      5 朴仙子,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3

      6 강범모, "한국어 사용 빈도" 한국문화사 148-149, 2009

      7 서상규,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 한국문화사 136-235, 2014

      8 안주호, "한국어 구어에서 정도부사 ‘되게’에 대하여" 언어과학회 24 : 149-166, 2003

      9 박미선, "중국인 학습자의 정도부사 ‘너무’의 사용 경향 연구-중국 요녕대학교 한국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중언어학회 (37) : 85-112, 2008

      10 한길, "정도어찌씨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37․38 : 372-377, 1983

      1 이성범, "화용론 연구의 거시적 관점: 이론과 실제" 소통 312-, 2012

      2 박동근, "현대국어 강조부사 범주의 설정과 기능적 분석" 한글학회 (275) : 129-163, 2007

      3 정철주, "현대 국어의 정도부사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83

      4 이석규, "현대 국어 정도 어찌씨의 의미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8

      5 朴仙子, "한국어 어찌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3

      6 강범모, "한국어 사용 빈도" 한국문화사 148-149, 2009

      7 서상규,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 한국문화사 136-235, 2014

      8 안주호, "한국어 구어에서 정도부사 ‘되게’에 대하여" 언어과학회 24 : 149-166, 2003

      9 박미선, "중국인 학습자의 정도부사 ‘너무’의 사용 경향 연구-중국 요녕대학교 한국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중언어학회 (37) : 85-112, 2008

      10 한길, "정도어찌씨에 관한 의미론적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37․38 : 372-377, 1983

      11 손춘섭, "정도부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9 : 97-130, 2001

      12 김경훈, "정도부사의 의미기능" 서울 산업대 31 : 255-265, 1990

      13 최홍열, "정도부사의 유의어 연구" 역락 87-, 2005

      14 신지연, "정도부사의 범주화 기준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78 : 71-87, 2002

      15 서상규, "정도부사에 대한 국어학사적인 조명과 그 분류에 대해" 연세대 국어국문학회 23 : 221-224, 1991

      16 손세모돌, "정도부사들의 유표적 자질 분석" 한말연구학회 4 : 179-211, 1998

      17 한 길, "정도부사 ‘훨씬’, ‘가장’, ‘더/덜’의 용법" 35 : 184-202, 1983

      18 박소영, "정도부사 ‘아주, 거의, 매우’의 의미와 분포" 담화인지학회 8 (8): 85-108, 2001

      19 고혜원, "정도부사 ‘너무’의 의미와 공기 특성" 중앙어문학회 (46) : 121-139, 2011

      20 한영균, "유의적 정도부사의 빈도⋅분포⋅결합관계의 분석과 그 활용 - 학습자 사전의 용법 기술의 관점에서 -" 한국어의미학회 35 : 335-394, 2011

      21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796-823, 1959

      22 김선희, "우리 사회 속의 우리말" 한국문화사 167-, 2001

      23 김영희, "셈숱말로서의 정도부사" 한글학회 190 : 133-162, 1985

      24 봉미경, "말뭉치에 나타난 부사 ‘더’와 ‘덜’의 의미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34 : 159-183, 2011

      25 윤평현, "국어의미론" 도서출판 역락 143-144, 2008

      26 손남익, "국어부사어와 공기어 제약" 한국어학회 9 : 157-179, 1999

      27 서정수, "국어문법" 뿌리 깊은 나무 763-, 1994

      28 홍사만, "국어 특수조사 신연구" 역락 46-, 2002

      29 이충우, "국어 정도부사의 동사수식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30 홍사만, "국어 정도 부사의 피한정어 연구" 한국어문학회 76 : 153-175, 2002

      31 임규홍, "국어 정도 부사 '너무'의 화용론적 의미" 배달말학회 (30) : 1-22, 2002

      32 孫男翼, "국어 부사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5

      33 배진영, "구어와 문어 사용역에 따른 정도부사의 분포와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54) : 95-140, 2012

      34 김혜영, "구어 속 강조적 정도부사의 사용과 의미" 한국어학회 48 : 101-129, 2010

      35 주경희, "‘좀’과 ‘조금’" 국어학회 36 : 379-399, 2000

      36 J. Sinclair, "Words and Phrases" Corpus, Concordance, Collocation 1991

      37 R Lakoff, "Language and Women's Place" Harperand Row 44-47,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